Skip to main
SBS
'펜트하우스'로 살펴보는 '개껌 콘텐츠'의 위력
개껌 씹어보신 적 있나요? 전 없습니다... 물론 여러분도 그렇겠죠.. (당연한 걸 왜 물어...) 저는 개를 키우지 않아 잘 몰랐는데요. 개껌 중에서도 가장 하등으로 치는 게 바로 소가죽으로 만든 것이라 합니다. "가죽이 싼데 너무 질기기 때문에 연하게 만들기 위해 유해물질로 화학처리를 많이해요" "소가죽 벨트랑 차이가 없다는 썰도 있죠" "아아.. 세상에나... 그거 개가 먹을 수도 있는 건데.. 그럼 개껌은 사주지 말아야겠네요?" "오우.. 노노!! 개껌 자체는 개의 치석제거와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전 우리 금동이에겐 뼈랑 쌀가루로 만든 개껌을 사서 매일 밤에 하나씩 준답니다" "물론...비싸죠..(눈물)" (임종헌 아웃스탠딩 에디터) 웬일인지 저는 이 대화에서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떠올렸습니다. '뜯고 씹고 맛보고 즐기며' 고된 현실을 잠시 잊도록 해주는 드라마의 쾌락적 요소를 극한으로 끌어올린 최고의 인기작이지만 (=개껌의 순기능) 재미를 위해 셀 수 없이 과하고 자극적인 설정을 넣으며 뜨거운 비판을 받고 있는 작품이란 점에서요. (=식감을 위한 해로운 화학처리) 다만 오늘 저는 펜트하우스를 옳고 그름의 잣대로 해부해보려는 건 아니고요. 이 드라마가 만들고 있는 재미있는 풍경들에 집중해보고자 합니다. 김순옥 유니버스를 우습게 보지마라 많이들 아시듯 김순옥 작가는 흥행 타율이 높기로 유명합니다.
자의반 타의반 '플랫폼 종속'을 택한 지상파 방송사
요즘 유튜브에서 눈에 띄는 동영상 포스팅이 있습니다. 지상파 방송사 콘텐츠입니다. (1) 주로 과거 방영했던 프로그램에 대해 재미있는 부분만 편집해서 올리거나 (2) 특정 캐릭터 및 이슈를 키워드로 잡아 현대적 분위기로 큐레이션해서 올리곤 하고요. (3) 현재 방영 중인 프로그램도 일부 내용을 편집해서 업로드하곤 합니다. 대신 비교적 짧은 분량으로 말이죠. (4) 그리고 촬영분량 중 일부를 아예 유튜브용으로 빼는 걸 보면 확실히 위 액션이 제작단계에서 기획 및 고려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관련 영상은 수십만건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5) 심지어 뉴스와 같은 일부 최신 콘텐츠와 드라마 및 예능 등 옛날 프로그램을 통째로 실시간 스트리밍하기도 합니다. 아시다시피 과거 유튜브에서 지상파 콘텐츠는 수없이 불펌이 이뤄졌습니다. 아무래도 여타 크리에이터의 콘텐츠와 비교해 압도적인 퀄리티를 가졌기 때문이겠죠. 그때마다 회사측의 대응은?
지상파 광고 시장은 얼마나 줄어들고 있을까?
'지상파 방송사들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이야기는 클리셰에 가까울 정도로 매년 반복되는 말인데요. (참조 - 방송시장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특히 광고 시장에서의 지상파의 위치를 살펴보면 한때 시장을 주도했다는 과거의 영광은 이미 사라진지 오래고 (참조 - 광고산업 14조4399억 5%↑…지상파TV 줄고 모바일 늘어) 승승장구하는 디지털 플랫폼들에 비교하면 때때로 초라하게 몰락하고 느낌마저 주죠. (참조 - 네이버 광고매출, 지상파 방송3사보다 2배 이상 많아) (참조 - 광고시장 제왕 '네이버·유튜브·페이스북') 또한, 지상파 3사는 TV 광고 시장에서조차 케이블채널사업자들에게 주도권을 조금씩 빼앗기고 있습니다. (참조 - 지상파 광고비, 케이블에 추월당했다) 특히 요즘 CJ E&M과 JTBC를 보면 거의 지상파 사업자들과 맞먹는 포스를 뿜어내고 있죠. (참조 - 어떻게 CJ는 지상파 광고매출을 앞지를 수 있었나) 그래서인지 매년 광고 시장에 관한 새로운 전망이 나올 때면 지상파 3사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은 늘 쏟아집니다. 특히 올해의 경우, 평창동계올림픽, 러시아월드컵, 지방선거 등 대형 이벤트가 많이 있음에도 지상파의 실적을 낙관하는 사람은 거의 없죠. (참조 - 2018년 광고시장, 온라인·케이블 ‘맑음’ 신문·지상파 ‘흐림’) 하지만 위기를 계속 말하다 보면 아이러니하게도 위기감마저 익숙해져서 지금 얼마나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는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윤성원
2018-01-17
창고 대방출하는 SBS..목표는 동영상 포털?
SBS가 네이버, 유튜브와경쟁할 수 있는 ‘동영상 포털’이 되겠다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뜬금없이 왜 '동영상 포털'이냐구요? 지금까지 SBS는 짧은 방송 콘텐츠를네이버나 다음 등 외부 포털에공급하는 스마트미디어랩(SMR) 사업, 온라인 월정액 서비스 푹(POOQ) 등을꾸준히 추진해왔는데요.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온라인 사업에서큰 성과를 거두진 못했습니다. 모바일앱으로 방송 콘텐츠를 팔아보고재밌는 예능 클립을 네이버, 카카오 등다른 포털 사이트에 제공해 봤지만 지상파 채널의 줄어드는 영향력과 매출을메꿔주기에는 한~~~참 역부족이었죠. 이런 상황에서 SBS는 여러 대안을 고민했고여러 신사업 중 하나로스스로 동영상 포털로 거듭난다면 온라인에서 규모있는 비즈니스가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하는데요. 저도 처음 이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갑자기 왜 ‘동영상 포털’을 화두로 제시했을까? 지상파 방송사가 ‘온라인 비즈니스’를제대로 할 수 있을까? 등등 여러 의문이 들었습니다. SBS에서 ‘동영상 포털’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김혁 미디어비즈니스센터장님을 찾아뵙고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최준호
2017-01-18
'떠나는 인재, 떨어지는 영향력'..왜 지상파는 위기일까?
지난 몇 년간 방송가에서 지상파 3사를 대표하는 PD, 아나운서들의 줄사표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당장 떠오르는 유명인만 하더라도 이명한, 나영석, 신원호, 김석현, 김성주, 전현무, 오상진, 박지윤 등이고요. 나열하자면 끝이 없습니다. 이들은 왜 ‘최고의 직장’이라 불리는, 그리고 청춘을 바쳐 어렵게 들어간, 지상파 방송사를 떠나는 걸까요?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마치 '엑소더스'를 연상케 할 만큼 요즘 들어 더욱 확산되는 갈까요? 지난해 방영한 드라마 <프로듀사>에서 하나 흥미로운 장면이 있습니다. 탁예진(공효진)PD가 대기실로 들어가 인기가수 신디(아이유)의 옷차림을 보고 너무 야하다 지적을 합니다. 본심이 그렇기보다는 지상파방송인 만큼 심의에 걸릴까 걱정되기 때문이죠. 이때 신디는 코웃음을 치며 "뭐 여기만 방송사인가, 그까짓 거 출연 안하면 되잖아요"라는 식으로 대응하는데요. 성질 드럽기로 소문난 탁PD는 굴욕스럽게도 내가 잘못 생각했다며 지적을 철회하죠. 당시 표정은 이랬습니다.
네이버·다카오·피키·SBS의 변화..'미디어도 정체되면 죽는다'
제일기획이 지난달 발표한 자료를 보면2014년 유선 인터넷 광고 시장은 지난 2013년과 비교해 6.8% 줄어든 1조 8674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 검색광고는 7% 줄어 1조 2291억원디스플레이(배너) 광고 6.4% 하락한 6383억원에 그쳤죠. 더불어 지상파TV 광고비도 전년대비 8% 감소한 1조 682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광고시장이위축된 원인도 있지만, 올드미디어의 위기가‘숫자’로 증명된 셈입니다. 반면 모바일 광고 시장은 지난해 82.4% 급성장해8391억원을 기록했다고 하는데요. 많은 산업 영역이 ‘모바일로 가지 않으면 죽는다’는 이야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미디어, 언론 분야는 이미 삶과 죽음의 사이에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요즘 눈에 띄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는 4곳의 뉴미디어 플랫폼과 기업들의 움직임을정리해 보겠습니다. 1. 네이버 - 네이버앱, 네이버 포스트 유선 인터넷 광고 시장의 역성장이 가장 큰타격을 입힌 기업은 ‘네이버’일 것입니다. 내부적으로 느껴는 위기감도 상당하죠.최근 네이버는 네이버앱을 업데이트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미리 볼 수 있도록 개편했습니다. 과거에는 네이버가 편집한 뉴스 콘텐츠가 가장 먼저 노출됐지만, 이제는 개인이 좋아하는메뉴를 먼저 볼 수 있도록 한 것이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바일 네이버앱는 더 이상언론사 뉴스를 최우선으로 노출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또 여성 이용자들을 위한 뷰티 분야를 신설했으며, 상대적으로 가벼운 콘텐츠를 노출했던 ‘컬처’ 부분도 조만간 개편할 계획입니다.
최준호
2015-03-25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