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기술
접근성 기술은 어떻게 발전하는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홍윤희님의 기고입니다. 휠체어를 타는 장애청소년을 양육하는 저는 장애인보조기기에 관심이 많습니다. 아이가 어릴 때는 휠체어처럼 접근과 이동에 필요한 보조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저희 아이는 남의 도움이 필요한 수동휠체어를 타고 활동보조인이 밀어줘서 등교를 해 왔는데요. 토도웍스가 만든 전동키트를 단 휠체어를 타면서 혼자 등교를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참조 - 토도웍스 홈페이지) 그런데 청소년 시기에 접어들면서 세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부산 여행을 다녀오더니 부쩍 '요리하고 싶다' '혼자 목욕하고 신변처리하고 싶다'는 소원이 늘었습니다. 부산 바다를 보면서 '어릴 적 엄마에게 안겨 가던' 바닷물에 혼자서 휠체어로 발을 담가 보고 싶다고 합니다. 휠체어로는 모래사장을 달릴 수 없거든요. 이게 가능하려면 집에 적절한 높이의 싱크대, 변기, 샤워기가 있어야 하며 휠체어 높이에서 쉽게 사용 가능한 조리시설, 도구가 필요합니다. 바닷물에 발을 담그려면 모래사장을 움직일 수 있는 휠체어가 있어야겠죠. 장애자녀가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교육받고 일할 수 있으며,
홍윤희
2022-12-09
입는 로봇이 개발되면 휠체어는 필요 없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홍윤희님의 기고입니다. 제 아이는 10년 동안 휠체어를 탔습니다. 사람들은 장애를 극복하는 신기술 뉴스가 나오면 제게 보내주곤 합니다. '이런 기술이 있으니 미래에는 걱정할 게 없다' 라고 하면서요. 몇 개 기억나는 게 있습니다. TED 콘퍼런스에도 소개됐던 '입는 로봇'인 '외골격 로봇(exoskeleton)'입니다. 입으면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있어서 산업 혹은 군사 용도로 많이 쓰입니다. 척수마비 장애인도 이 로봇을 착용하면 걸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개발되고 있죠. 단 비쌉니다. 한 유럽 기업의 인터뷰에 따르면 현재 생산 단가만 4만5000달러, 즉 4500만원 가량입니다. 그리고 선천적으로 걸을 수 없는 경우엔 근육량 때문에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참조 - Exoskeleton developers must keep improving capabilities, cost, says maxon manager) 몇 년 전 계단을 오를 수 있는 휠체어 영상도 주변에서 많이 보내줬습니다. 스케보 브로(Scewo Bro)라는 스위스 회사에서 만든 휠체어입니다. 정말 획기적이더군요. 동시에 '이건 또 얼마나 비쌀까?' '돈을 많이 벌어야 하나'란 생각도 들었는데요. 실제로 이 휠체어의 가격은 4000만원(약 4만달러) 이상입니다. 제가 봤던 한국에서 보았던 가장 비싼 수입 활동형 휠체어가 1000만원대이니 그보다도 4배가 비싸네요. 결정적으로 국가에서 주는 휠체어 보조금이 200만원 남짓인 걸 생각하면, 정말 돈을 많이 벌어야겠죠. 저는 다른 게 걱정되더군요. 두 가지였습니다. 첫 번째는 기술의 발전이 자칫 세상의 장애물을 개인이 그 기술을 사서 극복해야 한다는 식의 편견을 낳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홍윤희
2021-06-02
발명했다고 끝이 아니다?.. '특허 권리' 지키는 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함영석님의 기고입니다. '발명'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누군가 특허를 획득했다는 것과 누군가 어떤 기술을 발명했다는 것이 동일한 의미로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A기업이 세계 최초로 반도체 기술의 특허를 획득했다' 그렇다면, 반도체 기술의 발명은 누가 했을까요? 당연히 A기업의 연구원들 중 누군가 발명을 해 기업이 특허를 획득했을 겁니다. 그런데 발명자란에 내 이름이 들어간 것만으로는 실제 특허출원에서 권리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발명을 한 사람은 특허를 받을 권리가 당연히 생기는 것이지만, 특허를 출원할 때 권리를 받을 사람을 정해야 하는 거죠. 그렇다면 발명자와 출원인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요? 특허기술에 다수의 이해관계인들이 있는 경우는 어떨까요?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발명자와 출원인 먼저 '발명자'는 무엇이고, '출원인'은 무엇일까요?
함영석
2021-05-28
기술과 트렌드를 읽지 못해 사라진 '그때 그 사업들'
*이 글은 외부필자인 길진세님의 기고입니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직장에 다닐 수 있다는 건 굉장한 행운입니다. 아웃스탠딩을 비롯한 많은 매체에서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창업동기를 말할 때 빠지지 않고 말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그런 의미에선 저도 행운아인데요. 직장생활을 꽤 오래하며 2번째 회사에 있는데도 제가 좋아하고 하고 싶어 했던 신사업 개발이라는 업무를 계속 하고 있거든요. 하지만 대기업에서 신사업은 그야말로 양날의 검입니다. 트렌드를 항상 공부하고 멋진 스타트업들과 협업할 수 있다는 점은 좋지만.. 경직된 대기업 구조 속에서 무언가를 만드는 건 어렵기도 하고, 전문분야 없인 회사 안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다는 걱정도 드는데요. 통신회사에서 신사업을 할 때는 멀티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잘 썼지만, 금융회사에 오고 나선 엄격한 보안규정과 망 분리 덕분에 아무것도 쓰지 못하고도 있습니다. 2010년까지는 회의록을 항상 구글 독스로 정리했는데 이후로는 방치하고 있고요. 일종의 디지털 화석이랄까요. 그러다 얼마 전, 정말 오랜만에 들어가봤습니다. 무려 10년 만에 열어보는 회의록과 업무파일들..
길진세
작가, 한국금융연수원 교수
2021-03-08
마윈 '과학자와 기업가는 완벽히 결합해야 합니다'
알리바바 회장 마윈의 연설은 매번 할때마다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요. 지난 5월 말 중국 과학자협회 연례행사에서 중국 최고의 과학자들 앞에서 과학기술의 미래와 기업과의 관계에 대해 자기 의견을 피력했죠.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인공지능, IOT, 블록체인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밝혔습니다. 이날 마윈 연설 주제는 '믿기 때문에 볼 수 있다 (因为相信,所以看见)'였는데요. 과학자와 기업가의 연관성과 미래 사회에서 역할에 대해 깊은 통찰을 보여줬죠. 아래는 연설문 전문을 번역한 것입니다. 오늘 저희 고향 항저우에 오셔서 감사합니다. 1999년 첫 회 '과학자협회 연례회의'가 항저우에서 열렸을 때 알리바바도 마침 항저우에서 설립됐죠. 저는 과학기술 발전이 이렇게 빠른데 대해 너무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은데요. 알리바바의 발전은 과학기술 발전의 혜택을 많이 받았기 때문입니다. 과학기술의 혜택을 받는 기업인으로서 이런 대회에 초대받은 것에 큰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과학자와 기업가가 일맥상통한 부분 저는 어릴 때부터 선생님이나 과학자가 되려는 꿈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블록체인이 (제발) 무사히 자리 잡으려면
지난 15일 저녁 혜화로 향했습니다. 인터넷의 아버지라 불리는빈트 서프의 강연을 들으려고요. 그는 구글 수석 부사장이고1973년부터 인터넷 기술을 만들어국제적 표준 프로토콜을 보급했습니다.‘인터넷 에반젤리스트’라 불릴 만하죠. 이날 자리에서도 인터넷 생태계, 가짜뉴스, IoT를 통해 모이는 데이터 문제, 5G 등등에 대한 그의 의견을 들을 수 있었어요. (참조 - "비판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힘들겠지만ㅠ") 물론 청중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아무래도 인터넷의 아버지가 생각하는 인터넷의 미래,거기에 블록체인의 자리가 있느냐였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빈트 서프의 의견은 명료합니다.이 기술에는 한계가 있다는 거죠. 이는 아웃스탠딩에서 다룬 이전 기사에서도 거론했던 부분인데요. (참조 - 블록체인 기술 입문편) (참조 - 블록체인이 해결해야 할 난제들) 그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데이터 변화를 볼록이 생성되는 주기에 따라 잰다(rating)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은 모든 상황에 쓰이긴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나 인터넷에서 엄청난 속도로트랜잭션이 이뤄지는데 블록체인에선그 정도는 아닌 것 같다고 내다봤습니다. 그렇다고 블록체인이 아예 쓸모없다는 건 아니고요. 빈트 서프의 입을 빌려그 미래를 헤아릴 수 있습니다.
김지윤
스텔러스(Stellers) 창업자
2018-05-16
콘텐츠 마케팅 7가지 기술 트렌드 미리보기
브랜드들은 출판을 하고, 마케터들은 콘텐츠를 만듭니다. 서비스, 재화 사용자들은 믿을만한 (잘 정리된!) 콘텐츠를 보고, 적어도 바람직한 소비를 하고자 하죠. 즉 브랜딩, 스토리텔링의 시각에서 음식, 패션, 뷰티, 엔터테인먼트, IT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콘텐츠 마케팅의 힘이 커졌습니다. 이제는 마케팅 효과로서의 콘텐츠와 제품으로서의 콘텐츠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도 보이는데요. (쉐어하우스, 자체 앱) (그리드잇 ‘오늘 뭐 먹지’, 페이스북) (다노, 페이스북과 유튜브) (서울스토어, 자체 앱과 인스타그램) 등등... via GIPHY 4대 매체(TV, 라디오, 신문, 잡지) 말고도 온라인 매체가 늘어난 현상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봅니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스마트폰과 매분 매초 붙어있으리라고 상상하지 못했고요. 소셜 미디어와 메신저, 스마트폰 앱으로 매일의, 아니 시시각각의 뉴스를 보게 되리라고 생각지 못했으니까요. 따라서 이 현상을 기술 트렌드와도 연관지어서 볼 수 있겠는데요.
장혜림
2017-09-15
왜 지금 다시 큐레이션인가?
글에 들어가기 앞서본 기사는 '정답을 제시한다'기보다는 '함께 고민해 봤으면 하는 주제를 던진다'는의미에서 작성했다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한동안저를 괴롭힌 '고민'이 하나 있었습니다. 그 고민의 시작이제가 '콘텐츠 큐레이션 업체'에서일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촉발된 것인지, (참조 - 이해진 의장이 주목한 모바일앱, 피키캐스트!) 아니면,지난해 어느 독서토론 모임에서'큐레이션 대 알고리듬'이라는 주제에 대해이야기하면서 증폭됐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참조 -트레바리 넥스랩B <큐레이션 대 알고리듬>) (참조 - CURATION AND ALGORITHMS) * 본 기사에서 사용하는 '큐레이션'은알고리듬 기반의 추천 시스템이 아닌,'휴먼 큐레이션'을 지칭합니다. 그 고민은기사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왜 지금 다시 큐레이션인가?"입니다. 잘 아시겠지만'큐레이션'이라는 용어는디지털 시대가 도래한 이후거의 모든 분야에서 주목하는 개념인데요. 많은 사람들이너무 광범위하게 사용하다보니이제 '큐레이션'의 의미를 규정하기도 어려워졌고,
윤성원
2017-07-2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