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노조
카카오에 노조가 생기고 일어난 일들.. 서승욱 지회장 인터뷰
"카카오의 주요 특성은 극도의 유연화입니다.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게 한 발판이었지만 최소한의 안전망은 갖추지 못했습니다" "노동조합이 기업의 유연화를 경직하게 한다는 비판을 많이 받는데요" "유연과 안전의 균형을 찾아나가는 작업이라 생각합니다"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 노조 불모지로 통하던 IT 업계에 과반 달성을 앞둔 노조가 등장했습니다. 2023년 1월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 지회인 크루유니언은 노조 조합원 수가 19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는데요. *카카오 본사 전체 사원수는 2022년 6월 반기보고서 기준 3603명. 카카오 노조 측은 최근 잦은 근무제 변화와 경영진 교체 등 불안정한 카카오 환경으로 노조 가입자 수가 2~30% 정도 가파르게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2018년 카카오 노조는 100명의 인원으로 출발했는데요. 카카오 노조 인원을 증가하게 한 근무제 변천사 등의 이야기를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을 만나 듣고 왔습니다. 카카오에 노조가 등장하게 된 이유 "안녕하세요, 지회장님. 카카오 노조가 출범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카카오만 보면 노동 시간이 과할 정도는 아녔어요. 전체 데이터가 없었으니 정확하진 않고 체감상 그랬죠" "출범 당시까지만 해도 노동 시간을 기록하지 않았거든요" "지금처럼 근태 관리 시스템이 보편화된 시대가 아니라 노동자가 일을 많이 하는지 안 하는지를 알 수 없었고요" "당시 포괄임금제가 보편화돼 있어서 노동 시간을 측정할 필요성도 못 느꼈습니다" *포괄임금제 근로계약 체결 시 연장, 야간, 휴일근로 등을 미리 정해 정된 수당을 지급하는 방식을 의미함. "돌이켜 생각해 보면 노동 시간 기록이 우선돼야 그에 걸맞은 해결책도 나오는 건데요. 요즘에도 시간 기록이 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죠"
테크기업 내 노조결성 현상..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요즘 테크업계에서 눈에 띄는 현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노조결성이 잇달아 일어나고 있는 것! 가장 먼저 움직임이 나타난 곳은 국내 최대 인터넷기업인 네이버입니다. 2018년 오세윤 위원장을 필두로 일부 노동자들은 민주노총 산하조직으로 화학섬유식품노조 네이버지회를 결성했는데요. 이는 회사설립 19년 만에 이뤄진 일입니다. 네이버지회측은 결성 당시 다음과 같이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수평적인 조직문화는 수직적인 관료문화로 바뀌었고 뛰어난 사업성과로 굉장한 이익을 내고 있으나 복지와 임금체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신뢰를 받는 회사, 투명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회사, 이른바 열정페이가 사라지고 근로조건 개선이 이뤄지는 회사를 만들기 위해 연대하고 노력할 것입니다" 그러자 카카오, 넥슨, 스마일게이트 등 다른 대형 IT회사에서도 노조가 결성됐는데요. 이들은 회사에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려고 하고 있습니다. (1) 네이버 노조는 사내 자살사건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여론에 참여하며 재발방지 대책마련과 경영진 책임론을 주장했고요. (2) 넥슨 노조는 임직원 16명에게 대기발령 조치가 내려지자 회사가 업무환경 변화의 책임을 직원에게 돌리는 일이라 반발했습니다. (3) 카카오 노조는 임금교섭과 별개로 추가적인 연봉인상안을 요구했으며 (4) 스마일게이트 노조는 고질적인 문제인 야근이슈를 해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님, 단체 행동에 당황하셨어요?
오랜만에 네이버 그린 팩토리를 찾았습니다. 지난 20일은 네이버 노조 최초의 ‘단체 행동’이 진행된 날이었거든요. 오래전 처음 찾았을 땐 이 건물의 엄청난 위용에 놀랐었는데 이번에 찾았을 때는 "'정말 세게게 나가는데?”라며 이 플래카드에 놀랐습니다" "알고 보니 ‘투쟁적 발언’이 아니라 요즘 유행어라고 하더라고요" "제가 한국드라마를 안보니 ㅜㅜ 위트있는 문구를 강성노조의 도발로 이해했었네요" 아무튼 저는 ‘단체 행동’이 예정돼 있었던 12시 10분. 건물로 들어갔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였는데요. 네이버 노조에 따르면 현재 여러명의 ‘리더급’을 포함해 네이버 전체 계열사 직원 중 30%정도가 네이버 노조에 가입했다고 합니다. 이날도 약 300여명이 단체 행동에 참여했죠. 아, 단체행동이라는 용어가 생소하실 수도 있을 텐데요. (참조 - 단체행동) (참조 - 쟁의 행위)
최준호
2019-02-2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