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벤치마킹
내 트리를 꾸며줘!아이디어 도용 이슈가 주는 시사점 4가지
"'내 트리를 꾸며줘!(Color My Tree)'를 벤치마킹한 다른 서비스에는 그들만의 고유한 고민이 녹아있었어요" "그런 경우는 훌륭한 벤치마킹이라 여기며, 서로 건강한 경쟁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언박서즈의 'Deco My Tree' 서비스에서는 그런 고민이 보이지 않습니다" (산타파이브 조단원 대표) "어떤 서비스 두 가지를 놓고 봤을 때 화면에서 드러나는 주요 기능(main features)이 같으면 두 서비스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서비스 운영을 해보면 그 주요 기능보다 그 기능을 받쳐주는 디테일이 서비스 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큽니다" "같은 아이디어로 사업을 해도 그 사업이 모두 같은 사업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언박서즈 신희철 대표) 지난해 12월 15일, IT 서비스 메이커들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디스콰이엇에 '프로젝트를 도용당했어요. 메이커 분들의 도움을 구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한 편 올라왔습니다. (참조 - 산타파이브 디스콰이엇 게시글) '내 트리를 꾸며줘!'(이하 내트꾸)라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3년째 운영하고 있는 산타파이브 팀의 팀원이 올린 글이었는데요. 내트꾸를 도용한 서비스가 등장했고 이 상황을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IT 서비스 메이커들의 조언을 구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내트꾸는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에만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롤링페이퍼 서비스입니다. 사이트에 가입해 내 트리를 만들고 지인들에게 트리 접속 링크를 보내면 지인들이 내 트리에 오너먼트 형태로 익명의 메시지를 남기게 되고요. 메시지 내용은 트리 주인이 크리스마스 당일이 돼야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공했지만 실패한 벤치마킹, 실패했지만 성공한 벤치마킹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오힘찬님의 기고입니다.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란, 경영 목적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가장 성공적인 해결책이나 문제해결 방법을 말합니다. 그리고 베스트 프랙티스의 특징과 장점을 배우는 경영 전략을 '벤치마킹(Benchmarking)'이라고 하죠. 모방과는 다릅니다. 다양한 사례를 분석한 후 새로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참조 - Prominent beneficiaries of Benchmarking) 그리고 해외 기업을 벤치마킹한 스타트업의 주요 목표는 국내 실정에 맞게 비즈니스를 안착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해외 사례와 똑같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거나 실패하거나 또는 해외에서는 실패했으나 국내에서는 성공하는 사례가 생겨납니다. 그럼 해외 비즈니스 모델을 벤치마킹한 어떤 사례들이 있을까요? 정리했습니다. 국내와 해외 모두 안착한 사례 (1) 퍼즐데이터 - 셀로니스 2015년 설립된 퍼즐데이터(PuzzleData)는 국내 최초 프로세스 마이닝 분석 플랫폼 프로디스커버리(ProDiscovery) 프로세스 마이닝 전문 스타트업입니다. 프로세스 마이닝은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추적하는 기술로 정보 시스템에서 로그 데이터를 마이닝해 다양한 프로세스의 성능을 이해하고, 기존 프로세스에 대한 리소스 할당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할 때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프로세스 자동화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물결이 가속하면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지만,
오힘찬
테크 칼럼니스트
2023-11-10
삼성과 애플에 '통한' 성공 공식, 왜 우리 기업엔 '안' 통할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정훈님의 기고입니다. 베스트프랙티스 (Best Practice)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예전엔 경영전략이나 마케팅을 공부하다 보면 자주 등장했던 말입니다. 일본식 경영과 ISO 인증 같은 것이 유행하고,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말을 많이 쓰면서 모든 것을 규격화하던 때의 이야기죠. 그러다 보니 가장 좋은 방식이 무엇인가를 찾아서 그것을 따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또는 가장 효율적인 경영 방식이었고요. 베스트 프랙티스는 제조뿐 아니라 마케팅 영역에서도 많이 활용하죠. 우린 벤치마킹을 하면서 성공한 회사의 핵심성공요인 (KSF :Key Success Factor)을 분석해서 우리 회사에도 적용하려는 시도를 많이 하니까요. 한마디로 모범답안 같은 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질문을 바꿔 볼게요. 이런 'Best Practice'들은 여전히 시장에서 유효할까요? 시장에서 가장 잘 먹히는 방식 같은 것이 있을까요? 제목에 이미 결론을 냈지만, 베스트 프랙티스 같은 건 이제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점점 더 성공하기 어려워지지 않을까 싶네요. 하나의 예를 들어 보죠. 직원들은 임원분들이 컨퍼런스 같은 곳에 가는 것을 무서워합니다. 좋(다고 하는)은 케이스를 보고 와서 왜 우리는 이렇게 못하지? '우리도 이런 거 한번 해볼까..'하고 말할까봐서죠.
최정훈
브랜드 칼럼니스트
2023-04-25
‘사업구조 분석’으로 이익이 나는 시점을 예측해봅시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정우님의 기고입니다. '이익'과 '성장'이 스타트업에게 주는 의미 새로운 전략으로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늘면서 몇 가지 변한 인식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이익'입니다. 과거에는 많은 기업이 신사업을 기획할 때, 언제쯤 손익분기점에 도달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습니다. 기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치밀하게 숫자를 관리하고요. 그 사업이 실현 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해 '사업타당성 평가'라는 작업을 거쳤습니다.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오면 실행 여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죠. 타당성의 근거는 대부분 투자금 대비 예측 가능한 이익입니다. 많은 사업이 엑셀로 정리된 숫자 위에서 이익을 검증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검증은 '숫자상의 검토'에 불과한 경우가 많습니다. 미리 정해진 가정과 기준에 맞춰 차분하게 정리된 숫자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엔 한계가 있죠. 그나마 과거는 지금처럼 변화가 빠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몇 년간의 변화를 안정적으로 예측하고, 그에 맞춰 계획을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최정우
고위드프렌즈 대표이사
2021-09-23
“문제 정의가 중요하다”..스타벅스가 다른 이유!
요즘 들어 주위에 ‘스타벅스’가정말 많이 보이지 않나요? 과거에는 유동 인구가 많은 곳,번화가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스타벅스가이제는 대한민국 곳곳에 스며든 느낌. 최근 자료를 보니 국민 5만명 당 1곳의매장이 설치돼 전국 1000곳을 넘었더군요. 일본은 인구 10만명 당 매장이 1곳이라고 하니한국 스타벅스가 얼마나 잘나가는지 알 수 있습니다. 매출도 2015년 7739억,지난해는 무려 1조2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71억원에서 852억원으로 늘어 수익성도 좋아지고 있죠. 이런 스타벅스 코리아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을까? 궁금하던 차에 서점에서 <스타벅스, 공간을 팝니다>라는 책을 발견했습니다. '공간을 판다'는 제목을 보고스타벅스가 빌딩 가치를 높인 후 권리금 올려서 엑싯(exit)하는재밌는 이야기가 나올 줄 알았는데그런 스토리는 없어서 약간 아쉬웠는데요. 스타벅스 코리아에서 인사팀장으로 7년간 재직한 분이 쓴 책으로마케팅, 인사, 모바일 서비스 도입 등여러 문제를 해결한 흥미로운 내용이 많더군요. 개인적으로 기업에 대한 책을 고를 때는 한 회사에서 오랜 기간 근무한 사람이 쓴 책이나언론인이 오랜 기간 여러 사람을 만나서취재한 책들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자의식 과잉이 보이는 이상한 자서전이나그때그때 트렌드에 따라 급하게 나오는 책들보다는 확실히 정보 가치가 큰 이야기들이 많거든요.
최준호
2017-08-14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