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부트스트래핑
'부트스트래핑'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지 않고 살아남는 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원대로님의 기고입니다. Canva와 Airbnb의 공통점 호주 시드니에 본사를 둔 온라인 그래픽 툴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캔바(Canva)'를 아시나요? 2012년 멜라니 퍼킨스가 동료 2명과 공동 창업한 이 스타트업은 2021년 2억달러(약 2600억원)를 조달할 때 기업가치가 400억달러(약 52조원)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한 세계 5대 유니콘 스타트업입니다. 그러나 실제 이 사업은 2006년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졸업 앨범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로 시작했습니다. 호주 전역의 학교들을 대상으로 다이렉트 메일 마케팅을 할 때는 가족들까지 나서 일일이 편지를 접고, 봉투에 넣고, 우표를 붙이는 일을 직접 다 했다고 합니다. 이후 4~5년간 100여개 벤처캐피털로부터 모두 투자 거절을 당했지만, '쉬운 온라인 디자인'이라는 컨셉을 추구하며 생존한 끝에, 2012년 드디어 300만달러(약 39억원) 시드 펀딩에 성공하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조 - 창업 8년만에 기업가치 47조 찍은 SaaS 스타트업) 이젠 누구나 다 아는 '에어비앤비(Airbnb)'는 2008년 'Airbed and Breakfast'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습니다. 당시 미국 대선 기간 중 방문객들이 샌프란시스코에서 마땅한 숙박 시설을 구할 수 없을 때, 창업자들이 자기 아파트에서 이들에게 말 그대로 숙박 공간과 간단한 아침(시리얼)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였죠. 이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켜 다른 사람들도 자신들의 집이나 방을 공유할 수 있게 하자는 플랫폼 사업을 구상했으나, 2010년에야 겨우 Y Combinator의 지원을 받게 됩니다.
원대로
Wilt Venture Builder CEO
2023-04-17
알람 앱으로 연매출 100억원.. 전세계 1위 알람 알라미 이야기
세상에는 두 가지 유형의 사람이 있다고 하죠. 아침에 한 번에 일어날 수 있는 사람과, 알람을 여러 개 맞춰 놓아야 겨우 일어날 수 있는 사람. 후자인 경우 인생이 조금 피곤합니다. 알람을 듣고 어쨌든 일어나는 데 성공하면 다행인데요. 최후의 최후 알람까지 듣고 못 일어나는 경우도 간혹 있으니까요. 그 날이 하필 중요한 날이라면, 인생은 더 많이 피곤해지겠죠. 물론 한 번에 일어나는 사람도 아침 기상이 쉬운 것만은 아닐 테고요. 전 세계 사람들을 '확실하게 깨우는 데' 9년째 진심인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바로 '알라미(Sleep If You Can)'라는 알람 앱을 서비스하는 딜라이트룸인데요. 지금까지 누적 앱 다운로드 횟수가 무려 6000만 건입니다. 전 세계 200만명 이상이 '알라미' 알람으로 매일 아침 잠을 깨고 있고요. 글로벌 97개국 알람 카테고리 1위 앱입니다.
투자를 받지 않고 비상장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
얼마 전이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유니콘 규모의 스타트업 회사를 다니고 있던 지인과 만났는데요. 그는 일정 기간 관리자로 근무하다 고민 끝에 퇴사를 결정했습니다. "조심스럽게 여쭤봅니다만 혹시 가는 곳이 정해지셨나요?" "차후 행보가 어떻게 되세요?" "음.. 따로 알아보진 않았어요. 그냥 당분간 생각없이 쉬고 싶네요" 그리고 한 마디를 덧붙이더라고요. "이제는 성장이란 말이 싫어요" 아.. 이때 강한 임팩트가 느껴졌습니다. 문득 과거 한 스타트업 대표님과 나눴던 이야기가 오버랩됐거든요. 회사는 시리즈 A-B-C 투자를 넘어 상장을 준비하는 단계까지 성장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롤러코스터와 같은 등락을 겪어야 했고 이루 말할 수 없는 시행착오를 극복해야 했습니다. 저는 평소 궁금한 걸 여쭤봤죠. "실례를 범하는 질문일 수 있습니다만 앞으로도 대표님은 계속 창업자로 남아서 경영을 하실 의향인가요?"
"토큰 모델 설계는 기존의 BM 설계와 다릅니다"
"'좋은' 토큰 모델이란 무엇일까요? 어떻게, 어떤 프로세스로 모델을 설계할 수 있을까요? 사실 누구도 이런 질문에 명쾌하게 대답하진 못합니다" "저 또한 토큰 모델을 공부하고 설계할 때 어떤 이론적 베이스, 방법론이 필요할까 고민했고요. 수학적으로 얘기하진 않더라도 최소한 경제학적인 시스템을 설계할 때 이론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그렇다면 토큰 모델 설계가 기존 비즈니스 모델 설계와 뭐가 다른지부터 따지게 되죠. 제 생각에 기존 비즈니스 모델은 규칙이나 환경이 이미 주어져 있고, 비즈니스를 하는 쪽에서 하나의 주체로써 이윤을 극대화하는 게 최선의 전략입니다" "반면에 블록체인 산업에서는 생태계 관점에서 여러 플레이어가 포함되고, 각자 이기적으로 행동할 때도 네트워크가 디자이너의 목적에 부합해서 굴러가도록 최선의 규칙을 찾아야 합니다" "탈중앙화 네트워크라는 것 자체가 어떤 중앙화한 주체가 없이 모두가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조직이잖아요" "개개인이 이곳에서 자기 이익을 추구해도 전체 질서가 유지되도록 인센티브를 연동(alliance)하는 게 중요합니다. 토큰 모델을 '보이지 않는 손'으로 설계하는 거죠" (디콘 공동창업자 송범근) 지난 11일 서울대학교에서 디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서울대 블록체인 학회인 디사이퍼에서 연 콘퍼런스였어요. 5개월 전에 처음 생긴 학회인데 큰 강당을 가득 채울 정도로 큰 규모의 콘퍼런스를 열었습니다. 성황리에 마쳤고요ㅎㅎ 앞서 10일에 열렸던 이더리움 연구회 발표회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자리였습니다. 그래서 기자는 머리를 싸매고 눈물을 머금으며 7시간을 보냈습니다..^ㅡㅠ (참조 - 이더리움 연구회 취재 기사는 이겁니다!) 그.러.나! 제가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또한 토큰 이코노미라는 개념에 관심 있는 독자분들께 흥미로움을 드릴 만한 강연도 접했습니다*_* 암호화폐 연구소를 표방하는 디콘(Decon)의 파트너이자 '외계어 없이 이해하는 암호화폐'의 저자 송범근 씨의 강연! 토큰 모델이 굴러가는 메커니즘을 디자인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과 그간 컨설팅을 하며 얻은 고민을 전달하는 시간이었죠.
김지윤
스텔러스(Stellers) 창업자
2018-08-13
부트 스트래핑, 외부투자 없이 어떻게든 자립하기!
우리는 흔히 스타트업이라 하면 '혁신적인 사업모델과 획기적인 기술력으로 단기간 내 빠른 성장을 도모하는 신생회사'로 정의내리곤 합니다. 이 과정에서 따라붙는 게 하나 있으니 바로 '지속적인 자본조달'입니다. 이것은 오랜 기간 시행착오를 반복한 끝에 일종의 관행으로 굳어졌는데요. 초기 및 엔젤투자, 시리즈A(초기투자), 시리즈B(중기투자), 시리즈C(후기투자), 시리즈@(후기 보완투자), 프리IPO(상장 전 투자), IPO(기업공개)로 이어지는 공식이 만들어졌죠. 지금은 실리콘밸리 뿐 아니라 전세계 스타트업이 이 길을 따르고 있습니다. 확실히 돈이 들어오면 말이죠. 어느 정도 검증된 회사라는 타이틀이 생기고 더 많은 채용과 마케팅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빠른 성장을 견인하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창업자들이 제품을 만들고 비즈니스 고도화에 집중하는 것만큼 투자자와 만나고 회사 유망성을 설명하는 데 굉장히 많은 시간을 쓰고 있죠. (참조 - 제품기획자와 자본기획자) 만약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을 때 주위 사람들로부터 축하를 받기도 하고요. 하지만 말이죠. 세상에 공짜는 없다고 투자유치가 무조건 좋은 것만큼은 아닙니다. 과거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몇 가지 한계와 단점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는 한국 IT벤처업계 현실상 초기투자를 받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