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시장
고객의 문제보다 시장의 문제에 집중하세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박태영님의 기고입니다. 창업을 하면 고객의 문제에 집중하라는 조언을 듣습니다. 비슷한 얘기로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많이 듣게 됩니다. 이 둘은 언뜻 같은 얘기로 들리지만, 사실은 전혀 다른 접근입니다. 고객의 문제를 해결한다고 해서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지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면 고객의 문제도 해결이 되거나 중요하지 않아집니다. 고객이 느끼는 문제는 항상 존재합니다. 고객이란 끊임없이 더 좋은 것, 더 편한 것, 더 저렴한 것을 원하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이틀 걸리는 배달은 하루 만에 오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하루 만에 오는 배달도 30분 만에 오지 않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결국 고객의 문제라는 것은 불편함, 욕심처럼 더 나은 것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도의 차이가 있더라도 항상 폭넓게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에 비해 시장의 문제는 조금 더 구조적입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커머스 시장은 지리적인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온라인에서 다른 플레이어와 똑같은 상품을 팔아야 한다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상품도 같고 어느 것을 골라도 상관없는데, 굳이 우리 서비스에서 사게 할 이유를 만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본질적 시장 문제를 해결하는 설루션이 결국 사업의 핵심적인 내용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제품이지만 제일 빠르게 배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식으로 해결하겠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사업의 정체성은 빠른 배송 커머스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만 더 빠르게 할 수 이유가 그 회사의 경쟁력이 됩니다.
박태영
홀릭스 창업자
2024-02-01
'농부시장 마르쉐@'에서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를 배우다
*이 글은 외부필자인 배수현님의 기고입니다. 성수동 주택 길 한적한 일요일 오후, 골목 어귀에 사람들이 몰려 있습니다. 간판도 딱히 없는 공간 한 켠 칠판에는 '농부시장 마르쉐'라고 써 있습니다. 이 북적이는 사람들은 한갓진 곳에 있는 시장을 어떻게 알고 찾아온 걸까요? 토종 오이, 쑥부쟁이, 사과대추 등 일반 마트에서는 볼 수 없는 신기한 과일과 채소가 나무 바구니에 담겨 있습니다. 바코드도 포장재도 없이 생산자가 직접 소개하는 활기찬 시장은 일반 마트와는 무척 다른 분위기입니다. 그 흔한 가격 흥정도 없습니다. 제품을 묻고 만지느라 곳곳에는 끊이지 않는 대화가 이어집니다. 여기저기 기웃대며 남의 이야기를 듣는 재미 또한 쏠쏠합니다. 작은 시장인데 한 바퀴를 도는 데까지 무척 시간이 걸렸습니다. 클릭 몇 번이면 당일에 집 앞까지 배송되는 시대에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는 마르쉐 농부시장은 어떤 매력으로 10년째 지속 가능한 형태의 플랫폼이 되었을까요? 농부시장 마르쉐를 통해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로 가는 여정을 살펴보려 합니다. 시장의 본질은 대화에 있다 '마르쉐@'을 기획한 이보은 상임이사는 마르쉐의 시작이 도시의 옥상텃밭이라고 말합니다. 도시 옥상의 빈 땅을 개간해 시작한 '문래옥상텃밭'에서 손수 키운 옥상의 작물들은 도시의 속도와는 전혀 다른 경험을 주었죠.
배수현
2022-05-20
요즘 주식시장을 떠도는 '복잡계'라는 있어 보이는 말에 대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홍진채님의 기고입니다. 요즘 주식 시장을 다루면서 '복잡계'라는 표현이 많이 들립니다.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워낙에 다양하여, 한두 가지 지표만으로는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다, 복잡계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이야기죠. 복잡계 이론에는 창발, 자기조직화, 상호작용, 적응, 비선형, 카오스 등등 세부적인 여러 개념들이 있습니다. 이들 중 상당수를 주식 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로 주식시장을 설명하면 왠지 멋있어 보입니다. 뭐 좋습니다. 저도 가끔 그러긴 하니까요. 문제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복잡계 이론이 주식 시장에 대해서 뚜렷한 예측 모델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한두 가지 지표로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입증하면서 특정 방법론을 기각할 수는 있습니다. 또한, 거시적으로 변동성의 분포 등을 제시하며 블랙 스완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아직은 거기까지입니다. "주식 시장은 쉽게 예측하기 어렵고, 과거에 일어난 적 없던 무서운 일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정도의 묘사를 그냥 좀 더 있어 보이게 표현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겠습니다. 같은 내용인데 그냥 좀 더 있어 보이기만 할 뿐인 표현 방식을 '지적 허세'라고 부릅니다. 이런 지적인 허세가 허세임을 알고, 흥미 차원에서, 혹은 함부로 미래를 예단하려 하지 말자는 겸손의 차원에서 이야기를 하는 건 별로 해롭지 않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복잡계 이야기를 곁들이면서, 세상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므로 과거에 쉽게 통했던 방법론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우리는 새로운 방법론을 찾아야 한다, 라고 한 단계 논리 점프를 할 때 발생합니다. 우리 사회가 생성하는 정보, 한 개인이 매일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점점 많아지고, 이른바 '초연결' 사회가 되면서 세상이 점점 더 복잡해진다는 묘사는 그럴싸해 보입니다.
홍진채
2021-07-21
투자자가 '스타트업의 시장'을 평가하는 8가지 기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택경님의 기고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주요하게 고려하는 점들을 정리하면 크게 ‘팀’과 ‘시장’으로 나눌 수 있죠. 지난 글에서는 이중 투자자들이 팀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참조 - 스타트업 투자자가 팀을 평가하는 6가지 기준) 이번 글에서는 투자자가 스타트업의 시장을 평가할 때 어떤 점들을 주요하게 검토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아울러 매쉬업엔젤스의 사례와 기준에 대해서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투자자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경향적으로 뒷단의 투자자일수록 여러 지표(Traction)를 통해 시장을 중요하게 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드투자의 경우 아직 제품개발은 안 되었고 초기 비즈니스모델만 있거나 약간의 지표가 나온 극초기 스타트업을 투자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제한된 정보에 기반해 미래 시장을 예측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의 니즈와 제품의 경쟁력을 집중적으로 고려합니다. 반면에 Pre시리즈A나 시리즈A 이상 투자부터는 의미 있는 지표를 가진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기에 시장과 관련된 좀 더 심도 있는 검토를 하는 편이죠. 시리즈C, D까지 가면 시장에서 순위가 어느 정도 정해지고 격차도 생기기 때문에 지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게 됩니다. 시장성을 평가하는 8가지 기준 투자자는 팀과 미팅을 하거나 관련 자료를 요청해 우선적으로 시장을 파악합니다.
이택경
2019-12-18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