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애플TV
TV를 바꿔야 하나 고민하다가 5만원대에 해결했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미준님의 기고입니다. 저희 집 TV는 2014년에 나온 스마트TV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집이 그렇듯이 IPTV도 인터넷과 연결되어 그냥 이용하고 있었죠. 그런데 저희 부부는 벌써 1년 넘게 이 환경을 바꿀까 심각하게 고민해왔는데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케이블채널을 포함한 IPTV는 전혀 안 보고 있고, 삼성의 스마트TV 자체 앱으로 넷플릭스와 유튜브만 쓰고 있는데요. 이조차도 한계가 느껴졌기 때문이죠. 8년 가까이 쓰다 보니 이제는 이 스마트TV에 설치되어 있는 넷플릭스와 유튜브 어플리케이션이 너무 노후했고, 언제부터인지 업데이트 지원이 되지 않아서, 잔 버그도 많고 화질도 별로니까요. 게다가 티빙이나 쿠팡플레이처럼 최신 앱도 지원되지도 않고 있고요. 하지만 바꾸기 망설여지는 건 TV 자체가 최고급 QHD는 아니지만 적당히 괜찮은 Full HD의 55인치이고 크게 고장 난 건 아니라는 사실 때문이죠. 고물가 시대에 TV를 새로 사는 결정도 쉬운 일은 아니었고요. 아마도 요즘에 저회와 같은 상황에 놓인 분들이 굉장히 많을 겁니다. 이렇게 고민하던 우리 부부에게 갑자기 떠오른 것이 있는데요. 바로 회사 회의실에서 몇 년 전에 사용하던 크롬캐스트와 애플TV 셋톱박스였습니다. 노트북 화면을 큰 TV 화면에 띄워놓고 함께 보기 위해서 사용했죠. 기억을 더듬어 보니 자취하던 후배 몇몇이 필수템이라고 했던 기억도 났는데요. 일단 지갑을 접고 검색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한국에선 주목받지 못한 크롬캐스트와 애플TV 너무나 오래된 서비스지만 사실 국내에서는 여러 이유로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 스마트TV 시장인데요.
이미준
프로덕트 오너
2023-01-18
애플은 어떻게 오스카에서 넷플릭스의 뺨을 때렸나
5년 차 '넷플릭스'가 신인 '애플TV+'에게 뺨을 맞았습니다. 제94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이하 오스카)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넷플릭스는 2018년 '치욕의 대지'로 처음 오스카 후보에 올랐는데요. 그 후로 매년 오스카 후보에 작품을 올리는 5년 차 OTT플랫폼입니다. 반면 애플TV+는 2019년 서비스를 시작한 후로 처음 오스카 후보작을 냈습니다. 신인인 거죠. 이 신인이 첫 오스카에서 5년차를 제치고 최고 영예인 작품상(Best Picture)을 차지했습니다. 물론 이번 시상식에서 예상치 못하게 진짜 '뺨'을 때린 사건도 있었는데요. (참조 - Will Smith SLAPS Chris Rock at Oscars 2022) 이 이야기가 가장 '핫'했던 건 사실이지만,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아닙니다. 싸우는 얘기가 흥미롭다고요? 걱정마세요. 이것도 사실 싸우는 이야기입니다. 오스카를 차지하기 위해 넷플릭스가 그동안 어떻게 싸웠는지, 갑자기 나타난 애플TV+는 어떻게 넷플릭스의 뺨을 때렸는지 정리했습니다. 이미 오스카는 OTT 싸움터 2022년 오스카는 윌 스미스가 크리스 락의 뺨을 때리기 전까지 '작품상을 누가 받을 것인가?'에 가장 큰 관심이 쏠렸습니다. 죄송합니다. 윌 스미스 얘기는 그만하겠습니다. 팬데믹 이후 OTT의 강세는 오스카에서도 이어졌습니다. 'OTT영화가 상을 받을까?'가 아닌 '어떤 OTT가 상을 받을까?'에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후보만 보더라도 알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파워 오브 도그'가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등 총 12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고요. '돈 룩 업'(넷플릭스), '듄'(HBO맥스) 등이 주요 부문 후보 리스트에 올랐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최고 영예인 작품상은 '애플TV+'의 '코다'가 차지했습니다.
조각난 OTT 서비스, 이대로 괜찮을까?
*이 글은 외부필자인 김현주님의 기고입니다. 방통위 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는 만 13세 이상 국민 10명 중 6명이 OTT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2019년에는 52%로, 2020년 14.3%가 증가한 셈입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미디어 시청 시간이 늘어났다는 응답 또한 32.1%로 OTT 서비스 이용과 시간 모두 증가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OTT 연대기 (1) 2016년의 OTT : 넷플릭스, 옥수수, 왓챠 대표적인 OTT 서비스를 떠올려보면 넷플릭스를 많이 이야기합니다. 넷플릭스는 2016년 국내에 정식 서비스되어 지금까지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와 같이 2016년에 출시된 왓챠 또한 지금까지 마니아층을 보유하면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물론, 넷플릭스와 왓챠 이전에 푹(POOQ)과 SKT 통신사 이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OTT 서비스인 옥수수(oksusu)가 있었습니다. 옥수수는 2016년, 넷플릭스와 같은 해 SKT 통신사 고객만 이용할 수 있는 제한을 풀고 유료 서비스로 바뀌었는데요.
김현주
2022-01-20
OTT 춘추전국시대, 구독 서비스가 무료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4가지 방식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미준님의 기고입니다. 넷플릭스만으로 살아갈 수 있을 줄 알았더니 왓챠, 티빙, 웨이브도 모자라서 쿠팡플레이에 디즈니플러스, 애플TV까지 나왔습니다. '오징어게임'과 '지옥'이 있는 넷플릭스는 계속 기대작을 예고하고 있고, 왓챠에는 '체르노빌' 같은 HBO의 시리즈와 '해리포터'가 있죠. 전 티빙을 보지 않았는데 '여고추리반'에서 혹하고 '술꾼도시여자들' 때문에 결국 티빙을 시작하게 되었죠. 그리고 웨이브의 '유 레이즈 미 업'과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도 잔잔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죠. 디즈니플러스의 '마블 MCU'와 애플TV의 이선균 배우가 나온다는 작품도 기대가 되고, 쿠팡플레이의 'SNL' 새 시즌은 이미 엄청난 반응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디즈니플러스 국내 도입으로 본 한국인들의 통장 모습.jpg'라는 온라인 밈인데요. 각 OTT 서비스마다 매력적인 오리지널 콘텐츠가 있어서 어느 곳도 놓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니 우리 통장은 매달 위기가 아닐 수 없는데요. 새 시대의 세금이라는 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많은 언론들이 어떤 서비스가 살아남을 것인가에 집중하는 분위기인데요, 사실 사용자로서 제 관심사는 어쨌든 좋으니 가장 '효율적으로' 좋은 콘텐츠를 다 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죠. 친구들과 계정을 공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모두 쉐어할 수는 없으니 어떻게든 무료로 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게 됩니다.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으로서 이번 글에서는 OTT 구독 서비스가 갖는 시스템적 특징과 무료 프로모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죄송하지만 이 글에서 직접 무료로 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것은 아니고요,
이미준
프로덕트 오너
2021-12-08
넷플릭스가 전통적 TV처럼 '편성표'를 만든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두형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유럽 전역은 코로나로 인한 재봉쇄에 들어갔었습니다. 제가 있는 프랑스 역시 마찬가지였는데요. 지난 봄에 있던 1차 봉쇄보다는 덜 엄격하지만 집에 있는 시간 역시 길어졌습니다.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넷플릭스를 보는 시간도 늘어났습니다. 새로운 서비스 '넷플릭스 다이렉트' 그런데 최근 넷플릭스와 관련한 흥미로운 뉴스가 있었습니다. 지난 11월 5일 프랑스 내에서 '넷플릭스 다이렉트(Netflix Direct)'라는 선형(Linear) 방식의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시작됐다는 내용입니다. 선형 방식은 간단히 말해 전통적인 콘텐츠 제공 혹은 소비 방식입니다. 즉 일반적인 TV 프로그램처럼 미리 정해진 편성대로 송출되는 콘텐츠를 시청하게 되는 건데요. 지금까지 넷플릭스 이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어떤 콘텐츠를 볼지 스스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서비스는 이제 이러한 이용자들의 권한을 굉장히 제한하게 됩니다. 예컨대 오후 2시부터 3시까지는 '킹덤 시즌2'의 에피소드 1, 이어서 '더 크라운 시즌 2'를 편성해 이를 볼 수밖에 없게 한다는 건데요. 여기에 더해 시청 장소도 제한하게 됩니다.
이두형
리옹 2대학 사회학 박사과정
2020-12-28
넷플릭스가 파 놓은 '경제적 해자', 충분히 깊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재용님의 기고입니다. 미국에서 시작된 ‘OTT’라는 바람은 강풍이 되어 전 세계를 휩쓸고 있습니다. OTT 중에서도 대장격인 넷플릭스는 ‘코로나19’라는 바람과 결합하여 태풍으로 발전해 세상을 강타했죠. 주변에서 진짜 대박이라고 인정한 드라마만 간헐적으로 시청하는 저는 여태껏 넷플릭스를 유료결제한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올해 ‘킹덤’과 ‘인간수업’으로 넷플릭스에게 항복 선언했고, ‘슬기로운 의사생활’을 보며 눈물을 펑펑 쏟았습니다. 이렇게 정기구독자를 한 명 추가한 넷플릭스의 성장세는 말 그대로 파죽지세입니다. 주가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250조원(2059억달러)에 달합니다. 주식시장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야겠지만, 여차하면 300조원 수준인 삼성전자를 뛰어넘을 기세입니다. 그렇다 보니 국내 미디어 콘텐츠 시장을 해외업체가 잡아먹을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진 것 같습니다. 정부에서 국내 콘텐츠와 미디어 사업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대대적으로 발표할 정도니 말입니다. (참조 - ‘한국판 넷플릭스’ 탄생할까…정부 “국내 미디어시장, 10조원으로 키운다”) 이쯤 되면 회계사로서 궁금해집니다.
이재용
파인드어스 이사
2020-07-06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