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제주도
제주는 어떻게 '몰입형 미디어아트'의 섬이 됐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호근님의 기고입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남쪽으로 717km, 차로 약 7시간 30분을 가면 산악 지형으로 이뤄진 작은 마을 '레보 드 프로방스'가 나옵니다. '레보'는 '튀어나온 바위'라는 뜻인데요. 이름처럼 우뚝 솟은 바위 위에 오래된 성벽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마을 주민은 고작 349명. 산업화로 석재가 많이 필요했던 1800년대에는 이곳에서 석회암을 채굴했기 때문에 인구가 꽤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1차 세계대전 이후 건축용 석재 수요가 급격히 줄었고, 결국 1935년에 채석장이 문을 닫습니다. 사람들이 떠나며 유령도시처럼 변했던 이곳은 현재, 매년 150만명이 찾는 관광지입니다. 프랑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하나로 손꼽히기도 하고요. 전체 인구의 62%가 도소매, 운송, 숙박업 및 요식업에 종사한다고 하니, 관광 산업으로 마을이 되살아난 셈입니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2012년 3월, 잠들었던 채석장에서 빛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길이 60m, 높이 14m에 달하는 채석장의 벽면과 천장 그리고 바닥이 빈센트 반 고흐와 폴 고갱의 작품으로 뒤덮였습니다.
양호근
2021-11-30
빈집 살리려다 죽을 뻔한 '다자요' 생존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호근님의 기고입니다. 제주시 한라수목원 초입에 '다자요'의 사무실이자 공유오피스인 '데스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남성준 다자요 대표는 이곳을 '슬픈 공간'이라고 칭했습니다. 회사가 어려워져서 직원 절반을 내보내 빈 공간을 공유오피스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 공간은 아픈 기억인 동시에 다시 채워야 할 가치입니다. 새소리가 먼저 맞는 이곳에서 남성준 대표를 만났습니다. 잘 나가던 사업이 갑자기 중단되다 다자요는 2015년 10월 제주에서 움텄습니다. 아이디어는 간단명료합니다. 1. 예스러움이 묻어있는 제주의 빈집을 10년간 무상으로 빌립니다. 2. 주변과 조화로우면서도 깔끔하게 다시 디자인해 숙소로 활용합니다. 3. 임대기간이 지나면 주인에게 돌려줍니다. 끝. "공간을 다르게, 다른 관점에서 비틀어보고, 그 공간에 가치를 더하는 회사입니다" (남성준 대표) (참조 - 1억으로 빈집 재생...새로운 숙박 상품 만드는 '다자요' 이야기) 흉물스러운 폐가가 살아나니 마을에 좋습니다. 골칫거리였던 헌 집을 깔끔하게 고쳐서 돌려주니 주인도 좋네요.
양호근
2020-12-14
로망과 현실 사이, 제주 동네책방 생존전략 3가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호근님의 기고입니다. '작은 책방의 섬 제주' '책으로 가득한 섬' '섬에서 책으로 힐링하다' 한두 해 전부터 반가운 기사들이 자주 눈에 띕니다. 제주도 곳곳에 개성 있는 작은 서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거든요. 5년 전만 해도 네 곳에 불과했던 제주도 동네책방은 7월 말 기준으로 60곳에 달합니다. 작년 말 기준, 우리나라에 583개 동네책방이 있습니다. 제주도는 수도권 다음으로 가장 동네책방이 많은 '책방의 섬'이 되었습니다. (참조 - 제주 독립서점, 지역 서점의 두 배) (참조 - 퍼니플랜 #안녕하세요오늘의동네서점) (참조 - 제주책방올레 여행[제주착한여행]) '동네책방'은 10평 안팎의 작은 공간에서 독립출판물이나 취향에 맞는 책을 골라 진열해놓고 판매하는 공간입니다. 다양한 서적을 두루 파는 종합서점과 대비되는 개념이죠. 냉정하게 얘기해서 찾는 이가 없으면, 더 정확히는 사는 이가 없으면 '망하기 딱 좋은' 사업입니다.
양호근
2020-08-28
콘텐츠는 잘 나가지만, 갈수록 줄고 있는 제주 '해녀'의 해법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호근님의 기고입니다. “기계 장치 없이 맨몸과 오로지 자신의 의지에 의한 호흡조절로 바다에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여성” (해녀박물관) 해녀는 그 자체만으로 희소가치가 높은 콘텐츠입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지역의 문화가 이렇게 다양한 콘텐츠로 재생산된 사례도 찾기 힘듭니다. 사진집이나 책은 물론이고 공연, 다큐, 영화, 뮤지컬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게임, 주방용품, 해녀를 내세운 라면까지 나왔죠. 하지만 꾸준히 늘어나는 콘텐츠와 별개로 해녀 숫자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1970년대 1만4000여 명이던 해녀는 지난해 말 기준 3820명으로 40년 사이에 1만 명이 줄어들었습니다. 콘텐츠는 늘어나는데 생산자는 줄어드는 상황... 제주 해녀 콘텐츠는 과연 지속가능할까요? 해녀 콘텐츠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 그 해답을 찾아가는 ‘물질’을 지금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콘텐츠로 본 해녀의 역사 해녀는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있는 독특한 ‘나잠어업’ 문화입니다.
양호근
2020-06-16
제주에 뿌리내린 독립잡지 ‘씨위드’가 3년을 버텨낸 힘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호근님의 기고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으로부터 독립해 버텨내기는 정말 힘듭니다. 독립잡지도 마찬가지입니다. 독립잡지는 소규모 출판을 통해 주류 미디어가 다루지 않는 다양한 주제를 담는데요. 매해 열리는 북 페어에 참여하는 독립잡지가 600~700종이라고 합니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콘텐츠도 많이 늘어난거죠. 그런데 이들 중 절반가량이 1년 사이에 새로 창간한 잡지입니다. 바꿔말하자면, 사무실 임대기간 2년을 버티지 못하고 폐간한 잡지가 그만큼 많은 겁니다. ‘자본 독립’을 선언하고 태어났지만, 자본과 공간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지기 일쑤죠. 문화예술 전문지 ‘씨위드(Seaweed)'는 2017년 제주도에서 창간했습니다. 어느덧 4년차에 접어들어 7호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양호근
2020-03-23
1억으로 빈집 재생...새로운 숙박 상품 만드는 '다자요' 이야기
“사람들의 제주의 자연을 보러 찾아오는데 자연을 훼손하는 건축이 계속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또 제주에는 지금 도시로 떠난 사람들이 남기고 간 2만5000채의 빈집이 있는데 이 집들을 헐고 새로 집을 짓습니다” “돈이 되는 개발을 위해 자연경관을 망가뜨리는 일이 진행되고 있는 거죠” “시멘트를 부어가며 만든 집들이 한라산을 가로막고 푸른 바다를 막고 있어요” (남성준 다자요 대표, 사진=다자요) 얼마 전 모자란 깜냥이지만 한국관광공사에서 진행한 관광 벤처기업 집단 컨설팅에 컨설턴트로 참가한 일이 있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남성준 다자요 대표를 만났는데요. 제주도의 ‘빈집’을 재생하는 사업을 크라우드 펀딩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참조 - 빈집프로젝트.com) 제주도에 난개발이 진행된 이후 미분양 건물이 늘어나고 있고 자연경관이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문제 제기가 아니었는데요. 다자요 빈집 프로젝트는 제주도 고유의 집들을 ‘재생’시켜 제주의 경관 유지와 관광객 유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죠.
최준호
2018-07-3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