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캐릭터
아트토이 기업 팝마트는 랜덤박스를 버리고 ‘중국의 디즈니'가 될 수 있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마야님의 기고입니다. 랜덤박스(럭키 박스) 마케팅, 한 번쯤 들어보셨죠? 무슨 내용물이 들어있는지 모르는 박스를 일정 금액을 지불해 구매합니다. 운이 좋으면 지불한 금액보다 훨씬 비싸거나 희귀한 제품이 들어 있다는 기대 심리와 호기심을 이용해 구매를 유도하는 일종의 마케팅 기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스타벅스 럭키백을 비롯해 몇몇 브랜드가 비슷한 마케팅을 시도했는데요. 대부분 일회성 화제 몰이로 그쳤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조금 다릅니다. 보통 '블라인드 박스(盲盒)'라고 부르는 랜덤박스는 지난 5년 사이 새로운 소비 형태로 자리 잡으며 큰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전문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블라인드 박스 시장 규모는 2015년 22억6000만위안(4200억원)에서 2021년 139억1000만위안(2조5900억원)으로 크게 성장했고요. 2024년에는 300억위안(5조6000억원)대로 두 배 이상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랜덤박스나 뽑기 같은 개념 자체는 중국에서도 당연히 예전부터 존재했는데요. '블라인드 박스'가 마케팅 트렌드 이상의 거대한 사회 현상이 되기까진 한 브랜드의 역할이 매우 컸습니다. 바로 '팝마트(Popmart)'입니다. 팝마트는 전 세계 키덜트족이 사랑하는 중국 아트토이 회사입니다. 아트토이를 피규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피규어가 애니메이션 및 영화 캐릭터 등 기존 지식재산권(IP)을 3D 형태로 만든 것이라면, 아트토이는 상용화를 목적으로 기획부터 제작까지 작가가 직접 콘셉트를 잡고 만든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김마야
프리랜서 기고가
2023-11-21
버튜버를 마케팅 무기로 활용해 봅시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서양수님의 기고입니다. 전 세계에서 슈퍼챗을 가장 많이 받은 유튜버는 누구일까요? 1위가 '루시아', 2위가 '코코'입니다. 작년 한 해 슈퍼챗 수익만 각각 20억원, 18억원 수준이었는데요. 사실 둘 다 버츄얼 유튜버, 즉 '버튜버'입니다. 실제 사람이 아닌,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태로 영상에 등장하죠. 심지어 2022년 슈퍼챗 순위 20위 중 11개가 버튜버 채널이라는 사실이 상당히 놀랍습니다. (참조 - "슈퍼챗만 40억" 대박 난 그녀의 정체…'버츄얼 캐릭터'라고?) 이러한 흐름만 보자면, 적어도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만큼은 버튜버가 확고한 입지를 다진 듯합니다. 아직 국내에서는 버튜버가 활성화되었다고 하긴 어렵지만요. 새로운 흐름을 발 빠르게 캐치하고, 이미 활용하는 기업도 분명히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버튜버가 과연 어떤 존재이며, 기업 마케팅에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실제 버튜버 사례를 3가지로 분류해서 정리했습니다.
서양수
'유튜브 마케팅 인사이트' 저자
2023-10-30
F&B 브랜드들은 지금 캐릭터에 푹 빠졌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윤진호님의 기고입니다. 먹는 브랜드를 보다 보면 '캐릭터'도 자주 접하게 됩니다. F&B 브랜드에서 캐릭터를 활용하는 방식은 주로 글로벌 기업에서 많이 사용했습니다. 할랜드 샌더스 창업주를 모티브로 한 KFC의 할아버지 캐릭터, 수년간 광고에 등장하며 10대 팬덤을 만든 펩시의 펩시맨, 맥도날드의 피에로 마스코트 로날드 맥도날드까지 정말 다양한데요. 최근 들어 국내 F&B 브랜드들도 다양한 캐릭터를 등장시키고 있습니다. 커피를 마시러 가도 버거를 먹으러 가도 도넛을 먹으러 가도 소주를 마실 때도 온갖 곳에 캐릭터가 등장합니다. 이렇게 먹는 브랜드와 캐릭터가 만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모티콘 등록 실전편: 3대 플랫폼 등록, 직접 도전해봅시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은선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기고에서는 캐릭터를 그려내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드렸습니다. (참조 - 이모티콘 제작 실전편: 어떤 툴로 어떻게 만들까요?) 이제 내 캐릭터가 사랑받을 수 있도록 플랫폼에 등록해봐야겠죠? 이모티콘 제작의 가장 마지막 과정이자 작가로서의 첫 발걸음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 다룰 플랫폼은 카카오톡, 라인, 네이버 OGQ 마켓인데요. 등록 절차와 주의 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필수적으로 확인할 문서가 있습니다. 플랫폼별 '가이드라인'입니다. 앞서 설명했던 'OSMU' 개념을 기억하시죠? 우리가 만든 이모티콘은 1개이지만, 여러 플랫폼을 매개로 다양한 사용자들과 만나게 되는데요. 우리가 등록할 플랫폼마다 가이드라인이 조금씩 다릅니다. 등록하기 전에 잘 확인해야 두 번 작업하지 않겠죠. 가이드라인은 각 플랫폼 상세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조 -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제작가이드) (참조 - 라인 크레이터스 마켓 가이드라인)
김은선
2021-06-22
꾸준히 사랑받는 캐릭터를 만들려면 ‘캐릭터 매뉴얼 북’부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은선님의 기고입니다. 조카가 '포켓몬스터' 캐릭터를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카드, 인형, 피규어 등등.. 저의 유년시절에도 인기 많았던 피카츄, 파이리, 꼬부기를 소환하며 어떤 포켓몬을 제일 좋아하는지 이야기 나누다 보니 묘한 기분이더군요. 캐릭터는 왜 사랑받는 걸까요? 시간이 지나도 변함없어서? 아니면 시간의 흐름과 유행에 맞춰 그 모습을 조금씩 달리하는 변화를 시도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캐릭터란 ㅇ 차별화된 형태로 상징적인 모습에 ㅇ 개성과 성격 스토리라인이 더해져 ㅇ 대중에게 어필하는 유니크한 이미지를 말합니다. 이모티콘으로서의 캐릭터란 타깃층에 어필할 수 있고,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는 방법과 수단이죠. 하지만 앞서 다뤘던 'OSMU'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단순히 '메시지 전달' 역할로만 존재하는 건 아닙니다. 캐릭터는 이모티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아예 "이모티콘=캐릭터"라는 의견도 있을 정도죠. 이제 앞서 살펴본 기획을 바탕으로 캐릭터를 창작해볼 차례입니다.
김은선
2021-03-05
이모티콘 만들 때도 ‘기획'이 필요합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은선님의 기고입니다. 이모티콘이 돈이 될 수 있다는 건 이제 알았습니다. (참조 - N잡러를 꿈꾸는 금손들의 장터,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시장) 그럼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먼저 장비부터 살까요? 아이패드와 애플펜슬이 있다면,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으려나요? 콘텐츠가 어떤 형태든지 그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 '기획'이 중요하다는 점은 충분히 공감하실 겁니다. "캐릭터만 그리면 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이모티콘 또한 하나의 콘텐츠이기에 그 뼈대를 이루는 기획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이모티콘 제작에서 '기획'이란 어떤 걸까요? 이모티콘 기획하기를 크게 '2W1H'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WHO TO SAY : 타깃층 정하기 멋진 그림체로 화려한 이모티콘을 만들어도 사용자가 전혀 없다면 이모티콘으로서 기능을 상실하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모티콘을 기획할 때는 '이모티콘을 구매하는 사용자', 즉 '타깃층'에 대해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타깃층에 따라 선호도가 다릅니다. 그에 맞춰 기획 방향도 달라지죠.
김은선
2021-01-29
'일본의 펭수' 쿠마몬이 10년간 인기를 끌 수 있었던 비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금동우님의 기고입니다. 한국은 펭수, 일본은 쿠마몬 2019년 4월 2일 ‘자이언트 펭TV’라는 타이틀로 시작, 일반적인 어린이 프로그램 캐릭터가 보여온 모범적인 이미지를 벗어나 깨방정을 떨거나 질투하는 등 솔직한 모습을 표출하며 국민적 스타로 성장 중인 펭귄 캐릭터. 위와 같은 짧은 소개글만으로도 누구를 지칭하는지 바로 눈치채셨을 텐데요. 바로 ‘펭수’ 입니다. MBC TV 예능 프로그램 ‘아육대(아이돌 스타 육상선수권 대회)’를 패러디한 ‘EBS 아이돌 육상 대회’에 다른 캐릭터와 함께 등장하며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EBS 사장님의 이름을 거침없이 부르며 투덜대는 모습 등을 통해 이제는 수많은 직장인들이나 성인들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였죠. ‘자이언트 펭TV’ 첫 방송 이후 약 6개월 만에 유튜브 채널 구독자수가 25만명을 기록하더니, 급기야 1월 29일엔 200만명을 넘어섰는데요. 정말 핫한 라이징 스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일본에도 다소 엉뚱하지만 귀여운 이미지로, 그것도 오랫동안 인기를 유지 중인 유사한 느낌의 캐릭터가 있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본 하면 워낙 전세계 캐릭터 시장을 견인하는 캐릭터 천국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자체에서 만든 이 캐릭터의 성공은 여러모로 우리에게도 참고할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쿠마모토 현의 명물 '쿠마몬'의 탄생 혹시 ‘쿠마몬(くまモン)’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쿠마몬은 쿠마모토(熊本) 현에서 2010년 3월 5일 자체 마스코트로 지정한 캐릭터인데요. 이 쿠마몬이라고 하는 캐릭터 이름은, 일본어로 곰을 의미하면서 지역명인 ‘쿠마(熊)’와 현지 사투리로 사람을 의미하는 ‘몬’이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즉 ‘곰의 모습을 한 쿠마모토 출신 사람’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캐릭터라고 이해할 수 있죠.
금동우
한화생명 동경주재사무소장
2020-02-25
중국의 카카오프렌즈, 스얼뚱을 소개합니다
다른 메신저와 차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모티콘 - 라인프렌즈와 카카오프렌즈는 이제 이들 기업의 가장 주요한 수익모델이 되었습니다. (참조 - 카카오프렌즈 2017년 실적) 카카오프렌즈의 라이언은 '라전무'라 불릴 만큼 카카오의 매출에 큰 영향을 주죠. 라인은 국내에 이용자가 적긴 하지만 라인프렌즈는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서도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 중 하나인데요. 라인 서비스가 안되는 중국만 해도 라인프렌즈 매장이 10 곳이 넘고 온라인 매출도 엄청납니다. (참조 - 중국서 하루 만에 46억 매출... K팝 안 부러운 '캐릭터 한류') 미국과 일본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IP 사업으로 성공한 것과 달리 카카오와 라인프렌즈는 이모티콘 캐릭터도 성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죠. 중국에서도 이 가능성을 발견하고 도전한 기업이 있는데요. 바로 이번 기사에서 소개할 스얼뚱(十二栋)입니다. 중국의 '국민 이모티콘' 개발사 한국의 국민 이모티콘이 카카오프렌즈의 라이언이라면 중국에는 '장차오옌퇀즈(长草颜团子)'가 있죠. 머리에 풀이 나있는 이 귀여운 캐릭터는 중국의 국민 메신저 위챗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모티콘 중 하나입니다.
콘텐츠 마케팅 관련 주요 리포트 정리
연말이다 보니 올해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내년을 전망하는 각종 자료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콘텐츠 마케팅에 관심 있는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을 자료들을 몇 가지 발췌해서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1. 페이스북은 이미 눈팅용 플랫폼이 되었다. 최근에 본 리포트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자료는, 메조미디어가 발표한 <2018 디지털 동영상 이용 행태 조사>였는데요. (참조 - 2018 디지털 동영상 이용 행태 조사) 사람들이 일주일 평균 9.2시간을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 사용하며 이에 대해선 남녀 차이가 거의 없다는 등 요즘 워낙 핫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사람들이 어떤 행태로 소비하는지를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다만, 그보다 제 눈길을 더욱 끌었던 건... '플랫폼별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였는데요. 특히 저는,
윤성원
2018-12-1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