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파리바게뜨
뉴욕 최고의 요리로 뽑힌 돼지곰탕을 보며 생각한 한식의 세계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윤진호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글에서 만두, 핫도그, 김밥으로 대표되는 뜨거운 K-푸드 이야기를 전해드렸는데요. (참조 - 만두, 핫도그, 김밥.. 미국에서 K푸드가 핫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른 카테고리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앞서 살펴본 만두, 핫도그, 김밥은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포장식'입니다. 즉, 반대편에는 매장에서 먹거나 픽업하는 '비포장식'이 있겠죠. 만만찮게 큰 이 시장에도 최근 K-웨이브가 불기 시작한 모습입니다. 사실 미국 내 한식 산업은 2015년부터 이미 성장해 왔습니다. 2020년 매출이 57억달러(7조3872억원) 수준으로 추정되는데요. 2021년 이후로 성장세가 더 매섭습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푸드 시장을 보유한 미국으로 가봅시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가 미국에서 사랑받는다? 여러분에게 가장 익숙한 국산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는 무엇인가요?
'후발주자' 파리바게뜨는 어떻게 시장을 장악할 수 있었나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영준님의 기고입니다. SPC는 베이커리 부문에서 현재 손꼽히는 식품그룹입니다. 호빵, 크림빵 등 양산빵으로 유명한 SPC삼립, 파리바게뜨와 파리크라상을 브랜드로 거느린 파리크라상, 던킨도너츠와 배스킨라빈스를 보유한 비알코리아를 모두 가지고 있는 곳이죠. 이 중에서도 파리바게뜨가 SPC의 핵심입니다. 매출을 기준으로 봐도 전체 그룹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죠. 단순히 규모 정도가 아니라 파리바게뜨가 현재의 SPC를 만들었습니다. 후발주자 샤니 현 SPC그룹의 회장 허영인 회장이 아버지인 허창성 회장으로부터 물려받을 당시 샤니는 작은 기업이었습니다. 형인 허영선 전 회장이 물려받은 삼립의 1/10 사이즈에 불과했고 대표 브랜드나 상품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허영인 회장은 빵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유학으로 빵을 배워온 유학파였고 시장을 파악하는 날카로운 눈을 가지고 있었죠. 1980년대는 이전까지 사람들의 배를 채워주던, 공장에서 생산하는 양산빵에서 베이커리 빵으로 중심이 옮겨가던 시기였습니다. 사람들의 소득이 늘면서 좀 더 신선한 고급 빵을 찾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허영인 회장은 베이커리 사업 진출을 추진했습니다.
김영준
'멀티팩터' 저자
2021-04-26
SPC가 편의점과 쿠팡으로 간 이유
‘SPC삼립’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저와 비슷하거나 윗 세대라면 찬바람이 싸늘하게~ 라는 CM송과 북극곰이 생각나실 수도 있고요. 동네마다 있는 파리바게뜨를 떠올리는 분이 가장 많을 거 같습니다. 이 회사는 1945년 상미당 빵집으로 시작해 삼립호빵, 누네띠네 등 다양한 제과 브랜드를 만들어냈는데요. 그룹 내에 파리크로와쌍, 던킨도너츠 등 다양한 프랜차이즈도 운영하면서 그룹 전체 연 매출은 2조원이 넘습니다. 국내 식품 기업 전체에서는 10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기업 집단이죠. (참조 - 식품업계, 매출 올랐지만 영업이익은 하락) 왜 갑자기 삼립호빵, 누네띠네 파리바게뜨 이야기가 나왔냐고요? 지난 3월 이 회사 관련 짧은 기사를 접했는데요. 미국의 대체 식품 스타트업 ‘잇 저스트’와 제휴를 맺었다는 이야기에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잇 저스트의 간판 상품 ‘저스트에그’는 식물성 달걀인데요. 유기농 달걀보다도 2배 비싸지만 채식 열풍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판매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합니다.
최준호
2020-06-23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