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최준호
아웃스탠딩 최준호 기자입니다.d
주문형서비스란 무엇일까
개요 만약 ‘장사의신’이 있다면 머리에서발 끝까지 소비자를 분석하고,정확한 시간과 장소에 필요한 물건과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아닐까요? 주문형 서비스(on Demand)는이 같은 장사의 끝(!)을 지향하는서비스들입니다. 소비자가 있는 곳까지 찾아가서,상품과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 경제 생활의 중심이 ‘생산자’가 아닌‘소비자’가 되는 개념이 주문형 서비스죠. 물론 이런 주문형 서비스는전혀 새로운 시도는 아닙니다. 저 멀리 조선시대의 보부상들도전국 각지에서 각종 생필품을구한 뒤에 필요한 곳을 찾아다니며물건을 팔았죠. 너무 옛날 이야기를 한다구요? 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다양한비디오, 뉴스 등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는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시장도 주목 받았습니다. 특히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기술이늘어남에 따라 ‘니가 좋아하는 음악이 이거지?’‘너는 오늘 이영화를 보고 싶을거야!’라고 취향을 저격하는 많은 온라인 서비스들이봇물 터지듯 등장했습니다. 현재 ‘주문형 서비스’라고 하면 IPTV나N스크린 서비스에서 제공하는다양한 영화나 드라마 VOD를 뜻하는 경우가 많죠.
최준호
2015-01-14
O2O란 무엇일까
개요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아마존(Amazon), 이베이(e-bay) 등상품을 주문하면 집까지 배달해주는전통적인 전자상거래(e-commerce)강자들이 등장했는데요. 최근 모바일, 핀테크, 아이비콘, NFC 등분야의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며O2O(Onlie to offline)라 불리는온라인과 오프라인 쇼핑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트렌드가 나타나며2015년 가장 핫한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O2O를 쉽게 설명하자면PC온라인 서비스나 스마트폰 앱 등으로실제 오프라인에서 영업 중인호텔, 식당, 옷가게 등을 소비자와연결해주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뜻합니다. 사실 형태만 놓고보면 O2O서비스는크게 새로운 서비스는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팬션이나 호텔을 예약하거나,티켓몬스터나 옥션 등에서 식당 쿠폰을구매해 사용하는 방식도 O2O서비스죠. 그런데 요즘엔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O2O 방식 전자상거래가과거 아마존, 이베이의 성공 직전처럼국내외에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잭팟’으로주목받고 있습니다. 전자신문이 국내 주요 벤처투자사 10곳을대상으로 한 2015년 유망 투자 분야조사에서도O2O가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을 것으로 전망됐죠. 왜 그럴까요? O2O는 기존 ‘인터넷’의 밖에 있었던,민간의 모든 상거래를 품을 수 있는서비스모델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국민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들고,쇼핑 관련 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준호
2015-01-14
카카오톡의 지난 역사 살펴보기
소개 : 대한민국 대표 모바일 메신저사이트주소 : http://www.kakao.com/talk/ko제작사 : 다음카카오( 구 아이위랩, 카카오)출시일 : 2010년 3월형태 : 모바일앱 개요 카카오톡은 모바일 기반의 인스턴트 메신저입니다.휴대폰 전화번호만 등록하면 지인들과1:1 대화, 그룹채팅, 음성메시지 등을 ‘무료’로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0년 3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버전이처음 출시됐고, 이후 윈도우폰, 블랙베리,노키아(오비) 버전이 연달아 선보였죠.PC 버전은 윈도우(2013년 6월), 맥(2014년 5월)을각각 출시했습니다. 카카오톡은 한달 먼저 나온 인포뱅크의 엠앤톡,그해 5월에 나온 다음의 마이피플 등과 초기 치열한시장 경쟁을 펼쳤으며, 최소 기능으로 출시 후 사용자들에게서 답을 찾는 ‘린스타트업’ 방식으로이용자들에게 인정받기 시작했습니다. 이석우 다음카카오 대표는 지난 2012년 한 강연에서“스타트업에서 실행되지 않는 아이디어는 ‘죄악’”이라며“카카오톡은 기획자 1명, 개발자 2명, 디자이너 1명 등4명이서 2개월 만든 서비스였다”고 말했는데요. 다음카카오의 전신인 아이위랩은 2006년 창립 이후여러 서비스를 선보였지만, 사용자들에게 외면 받았습니다. 결국 서비스를 선보이고 사용자들에게 물어보자는'린스타트업'의 방식에 따라 당시 카카오는 폐쇄형마이크로 블로그 ‘카카오 아지트’,트위터 카피캣 ‘카카오수다’와 함께 ‘카카오톡’을 선보였습니다. 이중 카카오톡에 대한 이용자 반응이 가장 좋았고,이용자들의 반응에 따라 회사의 역량을 집중했죠. 특히 2011년 11월에 출시된 카카오톡 이모티콘은카톡 대화를 기존의 ‘문자’나 다른 메신저와 확실하게 차별시켜며 대세를 굳혀버리는결정적인 계기가 됩니다.
최준호
2015-01-14
1...131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