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헬싱키'와 베를린 '코드대학'으로 본 교육혁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배동훈님의 기고입니다. 2020년에 중학교에 입학한 제 조카는 입학식도 제대로 치뤄보지 못하고 1년 내내 비대면수업만 했습니다. "집에서 공부시키기가 너무 힘들어요" "이래저래 학부모 시간만이 아니라 노력과 금전 부담도 증가했어요" 처형 이야기처럼 갑작스런 변화에 교사도 학생도 학부모도 고생이 컸습니다. 대학생은 더합니다. 매년 등록금만 1000만원 가까이 냈는데, 교수 강의가 시중 인터넷 강의보다 나을 게 없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등록금을 반환해 달라는 요구가 나올 법 합니다. "19세기식 교실에서 20세기식 선생님이 21세기 학생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런 비판이 예전부터 회자될 만큼 교육은 어제 오늘 문제가 아닙니다. 현 교육 시스템으로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특히 코딩, 디자인 같이 디지털 산업혁명을 이끌 분야에서 말이죠. 현재 유럽에서는 IT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과 교육기관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곳이 핀란드의 '하이브 헬싱키'와 독일의 '코드대학'입니다. 혁신 코딩 학교 '하이브 헬싱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