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정의민 기자
주로 뉴미디어, 동영상OTT,
음원, 게임, 웹툰 및 웹소설, 언론,
북콘텐츠, 작문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동학대 이슈를 대하는 유튜브의 자세 外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CeoDoo_Vkc8 요즘 핫한 IT벤처업계 이슈를 동영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유튜브, 키즈콘텐츠에 광고 금지령 - "아동 보호에 대한 우려 제기 때문" - 키즈유튜버 광고 수익 직격탄 2. 네이버·카카오 콘텐츠 시장에서 '전쟁' - 네이버, 스튜디오N 중심 제휴 확대 - 카카오, 영상제작사·영화사 등 인수 3. 페이스북, 국내 통신사와 망 사용 계약 - 최근 KT·세종텔레콤과 계약 체결 - 해외 CP중 페북이 가장 망 사용료 적극적 4. 스타트업 탈잉,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 일부 회원의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까지 해킹 - 최근 4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5. 자율주행 스타트업 코드42, 300억 투자 유치 - 기아차‧SK‧LG‧CJ서 300억원 투자 유치 - ‘프리-A라운드’로선 국내 스타트업 중 최대 규모
밀어붙이기 vs 결사반대, 모빌리티 상생안은..없다?! 外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T0Ye_dJfF8g 요즘 핫한 IT벤처업계 이슈를 동영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밀어붙이기 vs 결사반대, 모빌리티 상생안은..없다?! 外 - 정부, '택시제도 개편방안' 입법 추진 계획 밝혀 -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과속입법'이라며 반대 2. 손정의 투자 방식에 대한 의문 확산 - 우버와 슬랙, 위워크 등의 손실로 비전펀드 위기설 제기 - "막대한 자본금이 만든 거품은 사라질 것" 3. 삼성전자 vs LG전자, 8K TV 전쟁 격화 - LG "삼성 8K TV는 국제기준에 미달" - 삼성 "8K 화질 평가 기준 자체가 잘못" 4. 고소득 유튜버·인플루언서 과세 강화 - 정부, 인플루언서 대상 관련 자료 수집하고 있어 - "해외 지금 소득 포함해 철저하게 관리할 계획" 5.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여행사 ‘토머스쿡’ 파산 - 영국 정부, 발 묶은 여행객 송환 작업 나서 - 파산 직전까지 17억파운드(2조5250억원) 부채에 시달려
위워크의 추락, 뉴먼 CEO 결국 사퇴 外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IBvVEaqEQOU 요즘 핫한 IT벤처업계 이슈를 동영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위워크 뉴먼 CEO 결국 사퇴 - 뉴먼 "나를 향한 정밀한 검증에 시선 몰렸다" - 손정의 역시 뉴먼 사임 지지한 것으로 알려져 2. 마이크로 모빌리티 경쟁 치열 - 국내 관련 기업들의 서비스 확대 이어져 - 해외 기업 '라임' 오는 10월 국내시장 공략 나서 3. 프롭테크 시장의 폭풍성장 - 국내 프롭테크 누적 투자액 1조 넘어 - 누적투자 100억 원 이상인 프롭테크 기업은 13개 4. 페이스북 뇌과학 스타트업 '컨트롤-랩스' 인수 - 뇌 전기 신호 이용해 컴퓨터와 통신하는 기술 - AR과 VR 담당하는 리얼리티 랩스팀으로 합류 예정 5. 디즈니, 트위터 인수 포기한 '썰' - "트위터 이용자들이 느끼는 불쾌감 상상 이상" - "소셜미디어, 좋은 능력과 나쁜 능력 동시에 가져"
네이버페이 독립, 금융업계 본격 진출 外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ADjsNROv7P8 요즘 핫한 IT벤처업계 이슈를 동영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네이버페이 자회사 독립 - 본격적인 금융 플랫폼 사업에 나서는 모습 - 카카오와의 경쟁 구도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 2. 지상파 인재 유출과 성적 추락 - 박진경 PD 퇴사 보도에 MBC 측 부인 - 지상파 인재 유출 관련 이슈는 계속 이어질 것 3. 페이스북, 리브라 출시할 수 있을까? - 리브라협회, 리브라 출시 의지 내비쳐 - 암호화폐 놓고 각국 우려는 여전 4. 첫 국제 회계기준 “가상화폐, 화폐 아냐” - '무형자산' 또는 '재고자산'으로 분류 - 가상화폐 제도권 진입 더 어려워질 전망 5. 마켓컬리 새로운 도전 의지 밝혀 - 신규 BI 공개, 포장재 변경 등 추진 - 새벽배송 업계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토스의 증권업·인터넷은행 진출은 '삐걱삐걱' 外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Fnju821KY6Y 요즘 핫한 IT벤처업계 이슈를 동영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토스의 증권업·인터넷은행 진출은 '삐걱삐걱' - 이승건 대표, 공개석상서 금융감독원 향해 불만 표출 - “우리에게 수행할 수 없는 안을 요구하고 있다” 2. 아이폰11 발표 이후 판매량 전망 엇갈려 - 트리플 카메라 장착한 아이폰11프로 놓고 인덕션 노롱 - 동시에 판매량 갱신 가능성 등 긍정적 평가도 이어져 3. 옥수수+푹 통합한 OTT '웨이브' 출범 - 해외 OTT기업의 성장 속에서 국내 통합 OTT 등판 - 2023년 유료 가입자 500만명, 연매출 5000억원 달성 목표 4. 카카오모빌리티, '타고솔루션즈' 인수 - 타고솔루션즈는 국내 최대 택시가맹사업자 - 카카오모빌리티는 내달 대형 택시인 라이언택시도 선보일 예정 5. 英사모펀드에 매각된 '여기어때' - 최문석 이베이코리아 전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선임 - 업계 1위 야놀자 추격 위한 발판 마련했다는 평가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대면은 부담스러워요”..언택트 비즈니스가 뜬다!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V-Q0kMXCUkQ "혼자 볼게요.. 말 걸지 마세요.." '언택트'란 접촉(contact)을 뜻하는 단어에 언(un)이 붙어 ‘접촉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인데요. 사람과의 접촉은 부담스럽고 디지털 기기 사용은 익숙해서 대면접촉이 없는 환경을 더 선호하는 '언택트족'은 계속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죠. 이 같은 소비 태도가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면서 일반 시장은 물론 스타트업 업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IT업계가 프롭테크 시장을 주목하는 이유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z7b1gxTxQTA '프롭테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프롭테크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데요. 부동산 산업에 첨단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기업 등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워낙 광범위한데다 기술 활용도 역시 낮은 영역인데요. 여기에 빅데이터, 인공지능, VR 등의 기술혁신이 일어나면서 파급력이 점차 커지는 모습입니다. 많은 이들이 프롭테크 시장을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한데요.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식당에 등장한 로봇들.. "쓸만한가요?"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WLRRrCiRMk4 로봇이 가져다준 음식을 먹고 로봇이 내려준 커피를 마시는 모습 영화 속이 아닌 현실에서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서빙 로봇과 바리스타 로봇, 바텐더 로봇이 실제 매장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이 로봇들은 우리 삶에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을까요? 운영자의 관점에서 이 로봇들의 쓸모를 고민해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고객센터가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수 있을까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OzEACnRqas 인공지능(AI) 기술 기업인 스켈터랩스가 AI 기반 대화엔진 인텐트 분류에 대한 자체 성능 테스트 결과를 공개했는데요. 인텐트 분류 정확도, 그러니까 질문의 의도 파악 수준이 글로벌 탑 수준의 기업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국내에서 인공지능이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는 날.. 가까워지고 있는 걸까요? 스켈터랩스 정수익 책임 프로덕트 매니저는 사람을 대체하기보다는 사람의 삶을 돕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국내 무인편의점 상용화, 아직은 안되는 3가지 이유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WteWKRvc54M 약 2년 전 국내에 무인편의점이 등장하면서 업계가 떠들썩했었는데요. 하지만 확산 속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부 매장을 직접 방문해봤는데요. 무인편의점의 상용화가 더딘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교육 플랫폼'을 꿈꾸는 독서실 회사, '작심' 이야기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1qUsbwPKsc '교육 콘텐츠 플랫폼'을 꿈꾸며 출발한 독서실 '작심(ZAKSIM)' 클래식하고 개방적인 인테리어와 온라인 교육 콘텐츠 무상 제공 전략으로 설립 2년 만에 업계 성장률 1위, 작년 기준 매출 160억, 누적 투자액 200억원이라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작심의 차별점에 대해 강남구 대표는 1) 지방 우선 확장 전략 2) 클래식한 스터디카페 컨셉 3) 직관적인 슬로건이라고 설명하는데요.
모빌리티 시장의 봄이 아직 멀게 느껴지는 이유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7rGWdap-Bs&t 정부의 택시 개편안 발표에 대해 업계에는 사실상 택시의 손을 들어줬다는 평이 많았는데요. 정부는 혁신과 상생이 개편안의 취지라며 실무협의기구를 구성하고 구체적 제도 개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토부는 모빌리티 업계와의 소통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죠. 기자가 직접 가봤는데요. 모빌리티 시장의 봄이 아직은 멀게 느껴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과연 대세가 될 수 있을까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Cc2bYjCtLb0 강남역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가 많아지면서 이용자는 계속 늘고 있는데요. 해결해야 할 사회적, 제도적 과제들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 활성화 앞에 놓인 몇 가지 과제를 정리했습니다.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경험을 물려주는 실리콘밸리 창업자들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otmu-3hrM9o 실리콘밸리의 강점 중 하나는 자수성가의 가능성, 즉 실력과 열정으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빌게이츠, 워렌버핏, 제프 베조스 등 자수성가형 성공 사례가 많죠. 그런데 이들의 성공 이면에는 이른바 ‘돌려주기(Pay it forward)’ 문화가 존재합니다. 실리콘밸리에 존재하는 돌려주기 문화의 배경과 대표적인 사례 몇 가지를 정리했습니다.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실리콘밸리 ‘돌려주기’ 문화)
인스타그램 성장 비결은 '자신에게 집중하는 것'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4h_zpVATo5w 얼마전 아웃스탠딩은 ‘인스타그래머블하다는 것!’ 이란 주제로 <토크콘서트>를 진행했습니다. 인스타그램을 비즈니스(콘텐츠, 커머스, 마케팅) 관점에서 분석하고 실제 사례를 들어봤는데요. '인플루언서 라이프'를 발제하신 모델 김유진님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전략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1.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고민하고 있는 모습 그대로를 표현하는데 집중했습니다. 2. 사진은 자신이 드러내고 싶은 한 가지가 가장 잘 보이도록 촬영하세요. 3. 가장 인기가 많은 콘텐츠는 라이프스타일 관련 사진이었습니다. 사람들은 타인의 삶에 관심이 많습니다. 4. 팬들과의 소통은 정말 중요합니다. 다양한 소통 방법이 있지만 저는 라이브 방송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합니다. 5. 좋아요 기능 삭제에 대해선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을 흥미롭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해당 내용을 설명하신 유진님을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만나보세요.
네이버를 알려면 먼저 한성숙 대표를 알아야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CjfxhasfPl4 네이버 한성숙 대표가 취임한지 어느덧 2년이 훌쩍 넘었습니다. 지금까지 네이버가 사회 전반에 끼친 영향력 만큼 다양한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전망 이전에 지금까지의 네이버를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한성숙 대표가 어떤 사람이며 어떤 숙제를 갖고 있는지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한성숙의 네이버’를 이해하기 위한 일곱 가지 키워드)
끝끝내 살아남은 창업가의 조언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6eW8iAFL4iA 저명한 벤처 투자가 벤 호로위츠! 과거에 그는 수많은 위기와 역경을 이겨낸 스타트업 창업자였는데요. 후속 투자유치 실패, 자본잠식 도달, 재무관리와 비용통제 실패 등을 극복하고 회사의 성장을 이끌었죠. 그의 악전고투기와 후배 창업가에게 전하는 조언을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투자금 2000억원을 말아먹은 한 CEO의 악전고투기)
스타트업 문화의 현실과 10가지 조언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CjKBEq5Vx6E 언론과 대중문화에서는 스타트업을 이상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은데요. 하지만 이상과 현실 사이에는 괴리감이 존재하죠. 특히 직원과 창업자가 상대방을 불신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스타트업이 좋은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잡스병 걸린 창업자와 말 안듣는 직원들)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공방정식 열 가지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JQYP1lSHHpE 플랫폼 비즈니스란 무엇일까요? 알긴 아는데.. 명확하게 설명하긴 쉽지 않죠.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성공적 플랫폼 비즈니스를 위해 따라야 할 지침, 그리고 플랫폼 비즈니스의 실패 사례를 정리했습니다.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플랫폼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스타트업 이직 꿈꾸는 당신에게 '하고 싶은 말'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1vkozz3NGKs "스타트업은 자유롭고 수평적 조직문화 속에서 주도적으로 일하며 무한한 성장을 경험할 수 있는 곳" 이라는 환상(?)을 갖고 있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스타트업으로의 성공적인 이직을 꿈꿀 때 이런 질문들을 떠올리게 됩니다. "연봉 협상은 어떻게 해야 할까?" "직급은 마음껏 올릴 수 있을까?" "스톡옵션을 받는 건 어떤 의미일까?"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스타트업으로 이직할 때 연봉, 직급, 스톡옵션은 어떻게?)
자율감각쾌락반응 'ASMR'에 대해 알아보자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Lva4mX7OXX0 유튜브에는 다향한 형태의 영상 콘텐츠가 존재하는데요. 독보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콘텐츠가 있습니다. 그건 바로 'ASMR' 비교적 언어의 장벽이 낮은 만큼 구독자 백만을 넘긴 크리에이터도 많고 조회수가 천만을 넘긴 영상도 수두룩하죠. 그런데 'ASMR'이 정확히 무엇인지 관련 연구 결과는 있는지 콘텐츠에 비해 정보는 많지 않은데요.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상단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유튜브에서 사랑받는 콘텐츠, ‘ASMR’의 거의 모든 것)
콘텐츠를 커머스에 활용한 마케터 '게리 베이너척'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5q4b_VuWq50 많은 기업들이 미디어 기업처럼 직접 뉴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콘텐츠 제작에 투자한 노력과 시간만큼 마케팅 효과를 경험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관련된 고민에 빠진 이들이 알아두면 좋을 사례가 있는데요. 고객을 만들기 위해 콘텐츠와 소셜 미디어라는 도구를 활용했던 ‘게리 베이너척(Gary Vaynerchuk)’의 이야기입니다.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SNS로 수백억원을 버는 남자, 게리 베이너척)
넷플릭스의 조직문화, 핵심은 '성과 우선주의'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XHmki5zPOE 직군별 업계 최고 연봉을 시시각각 조사하며 직원에게 최상의 대우를 유지하는 회사! 자유로운 업무 환경은 물론 휴가도 언제든 쓸 수 있는 회사! 하지만 성과가 부족하면 퇴직금을 선물하는 회사.. 바로 '넷플릭스'입니다. 넷플릭스의 조직문화가 다른 회사들과 조금 다른 이유,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넷플릭스, 직장인이 아닌 스타 플레이어를 원하는 회사)
문제의식 가진 인재들과 함께한 tvN의 성장기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qCDMh5fndQY tvN의 초창기는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당시 지상파와 케이블의 격차는 ‘넘사벽’이었고 제작 프로그램은 선정성 논란에 휘말리기 일쑤였죠. 그러나 지상파가 갖고 있는 한계를 분석하고 문제의식을 가진 인재들을 모아서 혁신에 나선 결과 '폭풍성장'을 이루었죠. tvN이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한 과정과 이를 견인한 전략을 정리해봤는데요.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A급 인재는 A급 성과를 낸다”..방송시장을 강타한 tvN 이야기)
장사천재 백종원의 외식경영 어록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cgvqT1lL6i0 대중들에게 '백종원'은 잘 나가는 방송인으로 익숙한 것이 사실인데요. 하지만 아시는 것처럼 그는 요리 연구가이자 외식 프랜차이즈 대표입니다. 지금껏 이룬 것들만 보아도 그가 단순히 요리를 좋아하는 것을 넘어 경영자로서도 인정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저술서적(작은식당)과 강연(백종원의 장사이야기) 등에 담긴 그의 경영관을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외식경영 어록 10선)
급격한 성장은 독이 될 수도.. 세진컴퓨터가 주는 몇 가지 교훈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bvoH5YBEXc 컴퓨터 판매를 위해 전국에 백화점식 매장을 세우고 평생 무상수리와 무료교육, 가격파괴를 내세워 PC판매 기준 업계 빅3로 부상했던 '세진컴퓨터' 하지만 급격한 성장만큼 빠르게 위기를 맞이하며 결국 사람들의 추억 너머로 사라져버렸는데요. 세진컴퓨터의 성장과 실패, 그리고 교훈점을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세진, 혜성처럼 나타나 혜성처럼 사라진 컴퓨터회사)
준비되지 않은 창업의 결과..'아이러브스쿨'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youtu.be/nPhBbdORydg 150만원으로 시작한 사업을 1년여 만에 500억원 가치로 끌어올린 사람. 그러다가 모든 걸 잃고 20억 원대 채무자가 된 사람. 아이러브스쿨 창업자 김영삼 씨의 이야깁니다. 그는 "준비되지 않은 창업이 실패를 불렀다"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그가 창업할 당시 배경과 성장, 실패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아이러브스쿨 이야기..”준비되지 않은 창업이 실패를 불렀다”)
'스타일난다'가 쇼핑몰 대박신화의 주인공인 이유
*본 포스팅은 동영상 콘텐츠로서 최소한의 텍스트만이 제공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MxjShccvZk [스타일난다]는 온라인 쇼핑몰 업계에서는 그야말로 '신화'입니다. 단 한번의 투자없이 이익잉여금과 신사업 성공만으로 '6천억 매각'이라는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죠. 22세 소녀였던 김소희 전 대표가 신화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스타일난다]의 시작과 끝, 그리고 성장 이면에 있는 김 전 대표의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상단에 있는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을 텍스트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참조 – 쇼핑몰도 강소기업이 될 수 있다! 스타일난다 이야기)
1...5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