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함영석
특허, 상표, 디자인 등 각종 지식재산 관련 소송 등 법적 분쟁에서 고객의 지식재산권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자 활발하게 소통하는 변리사입니다.
발명했다고 끝이 아니다?.. '특허 권리' 지키는 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함영석님의 기고입니다. '발명'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누군가 특허를 획득했다는 것과 누군가 어떤 기술을 발명했다는 것이 동일한 의미로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A기업이 세계 최초로 반도체 기술의 특허를 획득했다' 그렇다면, 반도체 기술의 발명은 누가 했을까요? 당연히 A기업의 연구원들 중 누군가 발명을 해 기업이 특허를 획득했을 겁니다. 그런데 발명자란에 내 이름이 들어간 것만으로는 실제 특허출원에서 권리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발명을 한 사람은 특허를 받을 권리가 당연히 생기는 것이지만, 특허를 출원할 때 권리를 받을 사람을 정해야 하는 거죠. 그렇다면 발명자와 출원인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요? 특허기술에 다수의 이해관계인들이 있는 경우는 어떨까요?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발명자와 출원인 먼저 '발명자'는 무엇이고, '출원인'은 무엇일까요?
함영석
2021-05-28
스타트업이 성공적으로 '기술장벽'을 만드는 방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함영석님의 기고입니다. 벤처기업, 스타트업.. 이런 이름을 들으면 어떤 기업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정의를 찾아보니..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위험성은 크지만 성공할 경우 높은 기대수익이 예상되는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독자적인 기반 위에서 사업화 하려는 신생 중소기업" 예상했던 이미지와 비슷한가요? 말 그대로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창업을 하고, 투자유치를 하면서 그 비즈니스 규모를 확대해 나가는 게 일반적입니다. 물론 최근 들어서는 인공지능 기반 다양한 기술과 인력들을 얻기 위해 빅테크 기업이나 기존 대기업들의 인수와 합병도 한창이죠. 특히 현대자동차와 같이 제조업 기반 기업들조차 이러한 기술 기반 기업 인수에 뛰어들고 있는데요. 인공지능 로봇개로 유명한 미국의 보스턴다이내믹스를 현대차가 인수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그럼 스타트업의 성공 키워드는 뭘까요?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에 기반한 독자적인 비즈니스 모델일 텐데요. 투자자들이 찾는 스타트업의 미래가치는 현재가 아니라 미래고, 미래를 담보할 가치는 그 기업의 기술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함영석
2021-04-30
오리온이 '초코파이'를 빼앗긴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함영석님의 기고입니다. '초코파이' 하면 사람마다 다양한 추억이 떠오를 것 같은데요. 특히 남자분들은 군대에서 초코파이가 귀하다는 걸 알게 되죠. 초코파이는 참 오랫동안 그리고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특별한 맛으로 기억되는 하나의 브랜드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아주 어릴 적 초코파이를 사러 가게에 들렀다, 당황한 적이 있습니다. 어릴 때라 브랜드가 뭔지, 상표가 뭔지 모르다 보니 그냥 가게에서 팔고 있는 초코파이를 하나를 사가지고 나왔죠. 그런데!!! 분명 초코파이가 맞는데!!! 뭔가 내가 먹던 맛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묘하게 맛이 달라 속은 느낌이 들었는데요. '이거 가짜 초코파이 아니야?' 이렇게 친구들과 이야기했죠. 당시에는 광고 매체가 많지 않아 동양제과(현 오리온)나 롯데제과, 해태제과, 크라운제과 등 브랜드로 제품을 구별하기보다 '초코파이' 같은 과자 이름으로 먹고 싶은 과자를 찾았으니까요. 그러고 보면 초코파이가 이름과 함께 특별한 맛을 기억하게 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했던 것 같네요.
함영석
2021-04-02
'특허괴물'의 공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함영석님의 기고입니다. (참조 - '특허괴물 공격' 8년간 580건 당했다) 특허괴물 관련 기사를 몇 개 찾아봤습니다. 제목만 봐도, 국내 대기업들이 주력사업에 대한 특허이슈로 머리가 아플 것만 같은데요. 내용도 대부분 비슷합니다. 특허괴물에게 소송 제기를 당했단 건 특허괴물이 보유한 특허에 침해가 되는 제품을 기업이 제조하거나 판매하고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이런 침해 사실을 기초로 특허괴물은 상대 기업에게 당장 특허침해를 중단하고 손해를 배상하라고 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려면 자신들의 특허에 라이선싱 계약을 하라고 강제하는 것이기도 하고요. (참고로 라이선싱 계약 내용은 절대 공개되지 않습니다. 기업 입장에서 굴욕적일 수 있고, 특허괴물 입장에선 원하는 목적을 이룬 것이니 공개할 필요가 없죠) *라이선싱 계약 특허, 실용신안, 의장, 상표 따위의 공업 소유권과 노하우의 공여에 관하여 상호 간에 맺는 계약. 과거 한 기업 지식재산권(IP)팀에 속한 임원의 강의를 들은 적 있는데요.
함영석
2021-02-25
'아마존' 사례로 이해하는 영업방법(BM) 특허 (+활용팁)
*이 글은 외부필자인 함영석님의 기고입니다. 다들 아시죠? 요즘 정말 핫한 기업 '아마존'입니다. 온라인 시장 선두주자답게 코로나 시대 어마어마한 주가 상승률과 시가총액을 만들어가고 있죠. 혹시 현재의 아마존을 있게 한 특허 아시나요? 아마존은 1990년대 일찌감치 영업방법(BM)에 관한 특허를 인정받아 업계 선두로 나가게 됐는데요. 특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겠습니다. 위 특허가 바로 '영업방법'에 관해 아마존이 획득한 특허인데요. 발명자에 익숙한 이름도 보입니다.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가 발명자 중 한 명으로 돼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은 발명자 기재 자체가 매우 까다로워 한국처럼 발명자 이름에 사장을 당연하게 포함하지 않습니다. 제프 베조스가 기재된 건 실제 발명의 기여를 했다는 의미겠죠.
함영석
2021-01-20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