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초록창' 네이버 통합검색, AI 에이전트로 진화한다
이승아
2025-06-13
네이버가 AI 검색 기반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인다.

네이버는 12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D2SF에서 ‘AI 시대의 네이버 검색 방향성’을 주제로 생성형 AI 기반의 새로운 검색 전략을 소개했다.

이날 김상범 네이버 검색플랫폼 리더는 “네이버는 독보적인 검색 인프라, 한국 사용자에 특화된 풍부한 데이터를 갖추고 있어 AI 검색 시장에서 차별성 확보를 위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27년간 구축하고 고도화해 온 검색 인프라, 풍부한 데이터 기반 검색 사용자 인사이트를 확보하고 있다. 블로그, 카페, 지식iN 등 UGC 서비스를 통한 차별화된 콘텐츠와 쇼핑, 지도, 페이 등 버티컬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는 것 또한 강점이다.

이를 결합해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AI 검색 경험을 제공하는 통합 에이전트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통합 에이전트는 2026년 'AI 탭'을 통해 선보인다. AI 탭은 현재 네이버가 운영하고 있는 AI 검색 결과 요약 서비스 'AI 브리핑'을 기반으로 고도화된다.

AI 탭은 통합검색에서 별도의 페이지 형태로 노출된다. 연속 대화 등을 통해 사용자 맥락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추론과정을 통해 예약, 구매, 결제 등 최종 액션까지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예를 들어, AI 탭에서 ‘5살 아이와 제주도 갈 만한 곳 추천해 줘’라고 입력하면 플레이스 에이전트를 통해 질의 맥락을 고려한 다양한 장소들이 추천된다.

추천된 장소를 선택해 코스를 요청하면 네이버 지도에서 최적의 동선을 안내한다. 이후 일부 코스 수정을 요청하면 전체 동선과 아이동반 등 맥락을 고려해 대체 장소를 추천하고 예약까지 연결해 준다.

김재엽 네이버 검색 플랫폼 리더는 “정보, 쇼핑, 로컬, 금융 등 주제별 DB와 서비스가 결합된 버티컬 검색의 강점을 살린 AI 브리핑은 다양한 버티컬 에이전트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향후 사용자의 검색 과정을 하나의 경험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한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AI 브리핑은 현재 네이버 검색에서 3%만 적용되고 있다. 올해 비중을 20%로 확대한다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또 금융, 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에 특화된 AI 브리핑을 순차 도입할 예정이다. 해외 문서 번역·요약, 긴 영상 핵심 요약 등 다국어 지원 및 멀티미디어와 결합한 형태도 선보인다.

네이버는 AI 검색 환경에서도 콘텐츠 창작자가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AI 하이라이트 프로젝트(가칭)’도 준비 중이다. AI 브리핑에 인용된 창작자 콘텐츠를 'AI픽' 배지로 강조해 콘텐츠 유입을 유도하거나 AI 검색에 최적화된 출처를 모아 카페 가입·이웃 맺기·유료구독 등을 할 수 있는 직관적 사용자경험(UX)도 구상하고 있다.

김재엽 리더는 “네이버는 국내 사용자에 대한 가장 깊은 인사이트로 통합검색이라는 독보적인 검색 모델을 통해 검색 시장을 지켜왔다"며 "AI 검색에서도 버티컬 에이전트를 특화시키며 끊김없는 검색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