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가격비교
네이버 가격비교 시대가 저물어갑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미준님의 기고입니다. 모바일을 바탕으로 2015년 쿠팡이 빠른 배송을 앞세운 종합몰로 부상하기 전까지 국내 이커머스의 시장 점유율은 세분화되어 있었다는 표현들이 여기저기에 많지만, 저는 이 시기의 커머스 매출은 사실 네이버에서 내려주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하듯 인터넷만 켜면 네이버로 접속하던 시절 국내 이커머스의 모든 길이 '네이버 가격비교'에서부터 시작되는 시기가 있었죠. 하지만 그로부터 꽤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 한 시대를 풍미했던 네이버 가격비교 서비스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네이버 가격비교의 진화사 인터파크와 롯데닷컴이 90년대 말 이커머스의 문을 연 이후로 yes24와 같은 초창기 버티컬 커머스들이 생겨납니다. 2000년대 초반 cafe24, 메이크샵과 같은 쇼핑몰 호스팅 서비스를 필두로 엄청나게 많은 개인 쇼핑몰이 쏟아지던 시기가 있었는데요. 어느 순간부터 사람들은 개별 쇼핑몰을 모두 외워서 방문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고, 검색포털 서비스를 통해서 쇼핑몰들을 찾아다니기 시작했죠. 이렇게 기업, 개인 모두 쇼핑몰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옥션과 G마켓 중심으로 오픈마켓이 성장하기 시작하자 동일 상품을 낮은 가격으로 사기 위한 가격경쟁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이런 배경으로 2006년 에누리 닷컴과 다나와와 같은 상품 가격을 비교해주는 서비스가 인기가 높아졌고. 같은 해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에서도 가격비교 서비스를 내놓았는데요. 바로 이것이 네이버 가격비교의 시작이었죠. 저는 네이버 가격비교의 역사를 4단계로 나눠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이미준
프로덕트 오너
2025-07-17
국내 이커머스에 절대강자가 없었던 이유 '메타 쇼핑몰' 이야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미준님의 기고입니다. 요즘 가장 핫한 용어는 '메타'인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이 사명을 바꾸기 전부터 여기저기서 '메타버스'에 대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죠. 게다가 개인들의 커리어에 있어서도 '메타인지'가 중요하다고 하니까요. 이커머스 세상에도 '메타'가 있습니다. 바로 메타 쇼핑몰 서비스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메타 쇼핑몰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커머스의 정의는? 메타 쇼핑몰은 이커머스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엄밀히 얘기하면 이커머스가 아닙니다. 이커머스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려면 이커머스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겠죠? 이커머스(e-commerce)란 온라인상에서 일어나는 상거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말 그대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파는 것을 말하는데요. 사실 사용자들의 생각하는 이커머스는 '물건의 형태를 가진 상품을 사는 곳'이라는 느낌이 강합니다. 서비스를 결제하는 것을 이커머스라고 잘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죠. 때문에 많은 분들이 종종 이커머스하면 '쿠팡'을 쉽게 떠올리면서도 '배달의민족'을 이커머스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배달앱은 O2O(Online to Offline)라는 다른 개념으로 생각하죠. 하지만 배달 서비스를 포함한 음식을 온라인으로 거래한다는 점에서 '배달의민족'은 역시나 이커머스죠. 소비자가 아닌 업계의 시각으로 보면 좀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미준
프로덕트 오너
2021-11-19
대기업과 경쟁을 걱정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다나와를 보자
“네이버가 이 서비스 따라하면 어떻게 하실겁니까?” 스타트업이 항상 받는, 지겹고 곤혹스러운 질문입니다. 트래픽과 자본력을 보유한 대기업과 어떻게 경쟁할거냐는 거죠. 여기에 대한 정석적인 답은 다음 기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참조 - 스타트업이 대기업보다 경쟁우위에 있는 열가지) 그러나 오늘은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해 좀 더 생생한 답을 드리고자 합니다. 네이버와 직접 경쟁하면서도 10년 넘게 잘 성장하고 있는 기업, 바로 다나와입니다. 다나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격비교 사이트입니다. 가격비교 사이트는 고객이 가격 비교를 통해 지마켓, 쿠팡 등에서 상품을 구입하면, 이 업체들에게 1-2% 가량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다나와의 가장 큰 경쟁자는 '네이버쇼핑'입니다. 가격 비교 사이트의 매출은 결국 트래픽에서 나오는만큼, 다나와가 네이버쇼핑에 많이 밀리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요. 예상과 달리 실적이 상당히 견조합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