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네이버쇼핑
역대 최대 실적 네이버.. 리스크 테이킹 대신 안정 택한 이유
같은 현상을 두고도 각자의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르게 평가할 수 있는데요. 최근 발표된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을 둘러싼 평가도 그렇습니다. 네이버의 AI 전략을 둘러싼 상반된 평가는 두 가지 사자성어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는데요. 바로 염구작신(染舊作新)과 고식지계(姑息之計)입니다. 옛 것을 물들여 새것을 만든다는 뜻의 '염구작신'은 안정 속의 점진적인 개선을 의미하고요. 이와 반대로 '고식지계'는 당장에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을 뜻하죠. 이처럼 IT 업계에는 네이버의 AI 전략을 향한 상반된 시선이 존재하는데요. 다만 현재로선 '염구작신'형 전략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이 더 우세한 편입니다.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이 발표된 직후에 전략이 공개된 것도 이 같은 긍정적인 평가에 힘을 실어줬죠. 이번 기사에는 지난 네이버의 3분기 실적을 간략히 훑어본 뒤 네이버가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AI 분야에 얼마만큼을, 어떻게 투자하려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분기 최대 실적 기록했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3분기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규모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는데요. 연결 기준 2조7156억원의 매출과 525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고요, 영업이익은 38.2% 늘어났습니다. 매출 증가폭보다 영업이익 증가폭이 컸기에 영업이익률 또한 상승했는데요.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3.8%포인트 상승한 19.3%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이 2년 전보다 60% 가까이 성장했습니다"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이익이 동반성장하는 비즈니스 모델임을 다시 입증했습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 모든 사업 부문의 매출이 고르게 성장하면서 이 같은 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는 게 네이버 측의 설명인데요. 지난 3분기에 서치플랫폼(검색광고 등)에서는 9977억원(전년동기 대비 11% 증가)을, 커머스에서는 7254억원(12% 증가)을, 핀테크에서는 3851억원(13% 증가)을, 콘텐츠에서는 4628억원(6.4%)을, 클라우드(17% 증가)에서는 1446억원의 매출을 벌어들였습니다. 각 사업 부문별로 매출 증대를 이끈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네이버 커머스는 어쩌다 역성장했나
매출과 반대로 가는 것 네이버가 2024년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습니다. 네이버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6105억원, 영업이익 472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8.4% 증가했고요. 영업이익은 26.8% 늘었습니다. 직전 분기인 2024년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7.6% 커졌죠. 매출,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었습니다. 영업이익률도 개선됐습니다. 2024년 2분기 영업이익률은 18.1%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 2분기보다 2.6%포인트, 직전 분기보다 0.7%포인트 늘었죠. 네이버 측은 핵심 사업 영역인 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등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5% 이상 성장하며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는데요. 그중 커머스 매출은 719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보다 13.6% 증가했습니다. 이는 크림의 성장과, 소다의 편입이 포함된 매출이었습니다. 직전 분기보다 2.2% 늘어난 액수였는데요. 매출 성장과 다르게 가는 그래프가 있었습니다. 바로 '거래액'이었습니다. "2분기 네이버 전체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성장했습니다" (최수연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커머스 거래액이 성장했다고 말했는데요. 2023년 4분기와 비교하면 역성장한 액수였습니다. 거래가 줄어든 네이버 커머스
쿠팡부터 오아시스까지.. 이커머스 7곳의 매입채무, 정산주기 살펴봤습니다
최근엔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이커머스 업계의 매입채무, 판대매금 정산주기와 관련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높아졌는데요. 이미 정부와 국회에서는 그동안 법 밖에 놓여 있던 이커머스 업체들의 판매대금 정산주기를 법제화하고, 기업들이 판매대금을 회사 운영자금으로 유용하지 못 하게 하는 방향으로 입법을 추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커머스 업체들이 셀러들에게 지급해야 할 판매대금을 마치 자신들의 쌈짓돈인양 마음껏 유용해 왔다는 사실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높아졌기 때문이죠. 지난번 기사에서는 컬리가 올해 초부터 판매대금 정산주기를 대폭 늘리는 방식으로 지난 1분기 3개월 동안에만 회사 매입채무를 692억원(46.28%)이나 급증시켰고, 이를 통해 현금과 현금성자산 역시 3개월 만에 609억원(43%)이나 늘릴 수 있었다는 사실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어서 쿠팡, SSG닷컴, 컬리 지마켓(옥션), 11번가, 오아시스마켓 등 국내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들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매출 대비 매입채무의 비중과 업체별 정산주기 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는 2023년 말 시점을 기준으로 설명드리되 분기별 공시 자료가 있는 회사는 최신 분기 실적을 기준으로도 보충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버의 커머스 부분은 따로 상세한 재무 실적과 성과를 공개하지는 않고 있어 매입채무 등의 구체적인 지표는 확인할 수 없었는데요. 네이버는 정산주기에 대해서만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매입채무란 어떤 채무를 말하고, 이 금액이 늘어나게 되면 회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커머스 기업들의 매입채무가 어떻게 국가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죠. 매입채무 = 줘야 될 외상값 매입채무란 유통업체가 상품은 납품받았지만 아직 납품업체들에게 돈은 지급하지 않은 상품대금을 말하는데요. 쉽게 말해 외상대금이라고 이해하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쿠팡이 기존 사업자들을 제치고 시장을 압살한 과정 (2010년~2023년 1분기)
얼마 전 유통 업계에 재미있는 소식이 나왔죠. 쿠팡의 1분기 매출이 신세계그룹 이마트의 동기 매출을 뛰어넘으면서 골든크로스를 맞이한 겁니다. 쿠팡은 올해 1분기 매출 약 7조 3990억원(분기환율 적용), 영업이익 1362억원을 내면서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고요. 이마트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7조 1354억원, 영업이익 13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람들은 왜 이 골든크로스에 주목했을까요? 이 소식은 쿠팡이 이커머스 시장에서 국내 최대 규모 회사가 된 것을 넘어 전통 유통 강자까지 넘어설 수 있는 플레이어로 성장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쿠팡은 이제 본격적으로 전통 유통 강자들과 600조 규모 국내 유통 시장을 두고 다투게 된 것이죠. 그렇다고 쿠팡 앞에 장밋빛 미래만 남아있는 것은 아니고요. 이커머스 시장에서 통상 독점적 사업자, 절대강자의 기준인 점유율 30%도 아직 달성 못한 상태죠. 하지만 현재 쿠팡이 국내 이커머스 업계에서 웬만한 경쟁자들을 압살하면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여러모로 이커머스 역사에 남을 발자취를 만들고 있습니다. 쿠팡의 히스토리를 따라가면서 쿠팡 사업이 고도화하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주요하게 경쟁하는 업체가 달라지거나, 경쟁의 전선이 확대된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번 기사에서는 쿠팡이 어떻게 경쟁자들을 제치고 현재 위치까지 오르게 됐는지 쿠팡의 주요 비즈니스 모멘텀을 중심으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참조 - 대한민국 이커머스의 역사) 2010년, 쿠팡의 시작과 소셜커머스 3인방 2010년은 소셜커머스 모델이 등장하면서 관련 업체가 우후죽순 생겨나던 시기였습니다. 쿠팡 또한 하루 하나의 상품을 싸게 파는 소셜커머스 모델로 시장에 처음 등장했죠.
IT 공룡 네이버의 10년 성장세를 재무제표로 살펴봤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승환님의 기고입니다. 늘 PC를 켜면 등장하는 녹색 창, 공기처럼 사용하는 '국민 포털' 네이버가 23년이 넘는 기업이라고 느껴지시나요? 또한 133개 종속회사를 거느렸으며, 시가총액 31조원이 넘는 거대 기업이라는 사실은 알고 계시나요? 최근 2~3년 사이에 급속히 규모를 키우고 있는 네이버. 오늘은 10년 전과 비교해보며 현재의 네이버가 어떤 기업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0년 전 네이버는 어떤 기업이었을까요? 공식 명칭 '네이버㈜'는 인터넷 검색사이트 운영 등 온라인 정보제공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6월 2일 설립했습니다. 네이버 서비스 자체는 1997년에 시작했으니 2년 차이가 나네요. 당시 인터넷 검색 시장에선 야후, 엠파스, 알타비스타가 경쟁 중이었고, 이메일, 카페, 블로그 등은 다음이 강자였습니다. '항해하다'라는 뜻의 'Navigate'에 사람의 접미사 'er' 붙인 네이버는 인터넷 검색 사이트로 시작해서 지식검색과 카페 등으로 성공의 발판을 만듭니다. 그로부터 15년이 흐른 2012년의 네이버는 자산총계 3조원, 영업수익 2조3893억원을 내는 인터넷 정보서비스 강자로 성장했습니다. 2001년 53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은 10여 년 만에 7021억원으로 늘었습니다. 바야흐로 '네이버 아니면 다음' 밖에 없는 세상을 만들었죠. 당시 네이버의 주요 서비스는 ㅇ 인터넷 포털 네이버(한국, 일본) ㅇ 온라인 게임 포털 한게임(한국, 일본) ㅇ 글로벌 메신저 LINE(라인) ㅇ 온라인 기부 서비스 '해피빈' ㅇ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미투데이' 등이고요.
이승환
2022-11-24
쿠팡 vs. 네이버, 드디어 시작된 전자상거래 2파전
지난 몇 년간 커머스업계에선 격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1) 원래 이베이코리아(지마켓+옥션)가 명목상 1위를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2) 쿠팡, 티몬, 위메프 등 신흥강자가 시장에 참여해 판을 뒤흔들었고 (3) 롯데, 신세계, GS 등 전통 유통회사가 적극적으로 디지털 대응에 나섰으며 (4) 네이버, 카카오 등 대형 플랫폼회사도 경쟁에 가세한 모양새죠. 흡사 춘추전국시대를 연상케 하는데요. 최근 들어 시장의 판도가 정해지고 마지막 승자가 가시화되는 분위기입니다. 주인공은 누구일까, 현재 이 시점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는 바로 쿠팡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쿠팡은 소프트뱅크로부터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한 뒤 물류망 구축과 기술 고도화를 추진했는데요. 이것이 시간이 지나 파괴력을 발휘하면서 거래액의 퀀텀점프를 일으켰습니다. (참조 - 쿠팡의 실적개선을 견인한 다섯 가지 요소) 지금은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큰 비즈니스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로 꼽히죠. 그렇다면 쿠팡이 독보적인 1등일까, 흥미롭게도 그렇진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적은 노출 속에서 조용히 세를 불리고 있는 회사가 하나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네이버입니다. 네이버쇼핑에는 쿠팡을 포함해 앞서 언급한 플레이어가 모두 입점했는데요. 아무리 날고 기는 커머스 사업자라고 해도 네이버를 통할 수 밖에 없는 셈입니다. (참조 - 전자상거래 회사 '네이버'에 관한 몇 가지 이슈)
'라이브커머스'에 던지는 3가지 의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지윤님의 기고입니다. 라이브커머스 기사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대부분 아래와 같지 않나 싶습니다. "채팅! 쌍방향 소통! 라이브로 00억 매출!" "모바일 라이브커머스는 채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TV홈쇼핑과 다릅니다!!" ..예상 가능한 이런 이야기는 일단 접어두기로 하겠습니다. 오늘 기고에서는 크게 3가지 의문으로 라이브커머스의 현주소를 정리해보려 해요. 1) 라이브커머스가 TV홈쇼핑과 다른가요? 2) 라이브커머스는 아무나 할 수 있나요? 3) 라이브커머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감사하게도 라이브커머스를 해본 네 분이 경험을 공유해주셨습니다. 트레져헌터 허영주 팀장(듀자매) 네이버쇼핑라이브 아뜨랑스편 조회수 1위 방송 10만뷰, 좋아요 114만개 기록! (참조 - 라이브커머스계 아이돌 듀자매 포트폴리오) ㅇ 팔로워 860만 틱톡커 먹스나 소고기, 항정살, 명동김치, 독일제 후라이팬, 양념 돼지껍데기 등 식품 전문 라이브 판매! (참조 - 먹스나 공식 틱톡)
김지윤
스텔러스(Stellers) 창업자
2021-01-26
공정위, 네이버쇼핑에 265억원 과징금 부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얼마 전 IT벤처업계에서 흥미로운 뉴스가 떴습니다. 공정위와 네이버가 정면으로 맞붙은 것입니다. 오랜 기간 공정위는 네이버를 손보려고 벼르고 있었는데요. 또 한번 포문을 열었습니다. 최근 발생한 부당행위를 문제삼으며 26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것이죠. 사실 공정위는 2008년과 2014년에 네이버에 비슷한 액션을 취한 바 있고요. 이후에도 여러 차례 시정방안을 요구했는데요. 대규모 과징금을 때린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음.. 대체 어떤 일 때문일까. 한 마디로 이야기하자면 "강력한 플랫폼 파워를 이용해 자사서비스를 우선 노출함으로써 다른 시장참여자를 부당하게 배제하고 공정경쟁을 방해했다는 것"입니다. 현재 관련 이슈는 여러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대략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가장 큰 이슈인 네이버쇼핑에 한정해 이야기를 풀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정위의 공식입장을 들어볼까요? "네이버는 '이중적 지위'를 가진 플랫폼 사업자입니다"
대기업과 경쟁을 걱정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다나와를 보자
“네이버가 이 서비스 따라하면 어떻게 하실겁니까?” 스타트업이 항상 받는, 지겹고 곤혹스러운 질문입니다. 트래픽과 자본력을 보유한 대기업과 어떻게 경쟁할거냐는 거죠. 여기에 대한 정석적인 답은 다음 기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참조 - 스타트업이 대기업보다 경쟁우위에 있는 열가지) 그러나 오늘은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해 좀 더 생생한 답을 드리고자 합니다. 네이버와 직접 경쟁하면서도 10년 넘게 잘 성장하고 있는 기업, 바로 다나와입니다. 다나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격비교 사이트입니다. 가격비교 사이트는 고객이 가격 비교를 통해 지마켓, 쿠팡 등에서 상품을 구입하면, 이 업체들에게 1-2% 가량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다나와의 가장 큰 경쟁자는 '네이버쇼핑'입니다. 가격 비교 사이트의 매출은 결국 트래픽에서 나오는만큼, 다나와가 네이버쇼핑에 많이 밀리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요. 예상과 달리 실적이 상당히 견조합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