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대개편으로 다운로드 1위 오른 네이트온, 반등할 수 있을까
2025년 9월 23일, IT 업계뿐 아니라 전 국민을 떠들썩하게 만든 카카오톡의 대규모 개편이 단행된 날입니다. 대표적으로 친구목록이 사라지고 피드형 인터페이스와 숏폼 영상을 바로 시청할 수 있는 탭이 도입됐죠. 카카오는 'AI 및 콘텐츠 결합형 플랫폼으로의 진화 라고 설명했지만 이용자들의 반응은 다른 의미로 뜨거웠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는 카카오톡의 1점 리뷰가 폭주했습니다. 특히 친구탭을 피드형으로 전환한 것에 '내 친구목록에서 회사 사람들의 사생활을 가장 위에, 가장 크게 봐야 하는 게 싫다', '친구 찾기 너무 불편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고요. 'SNS 따라 하려다가 끔찍한 혼종이 됐다', '메신저라는 본질이 사라졌다'는 반응이 압도적이었습니다. 결국 카카오톡의 평점은 1.1점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카카오는 국감에서 이전 버전으로 완전히 롤백하는 것은 카카오톡 시스템 전반의 구조를 신규 기능을 위해 바꿨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는데요. '기술 기업인 카카오에서 롤백하는 게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하는 건 말이 안 된다'며 또 한 번 이용자들에 뭇매를 맞았죠. 이런 혼돈의 가운데서 이름이 다시 불리기 시작한 메신저가 있습니다. 바로 네이트온(NateOn)입니다. 피드형 SNS도, 숏폼도, 광고도 아닌 대화에 본질을 지킨 서비스를 찾아 나선 결과인데요. '시대의 유물'로 치부되던 네이트온이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순위권에 진입했습니다. 이에 오늘 기사에서는 네이트온의 전략과 현황을 살펴보고 오랜만에 찾아온 기회를 살릴 수 있을지 업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도 들어보았습니다. 139위 → 70위 → 1위로 급등 먼저 네이트온에 어느 정도의 관심이 몰렸는지 극적 순위 변동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그동안 네이트온은 카카오톡, 라인 등 국내 메신저는 물론 텔레그램, 왓츠앱, 페이스북 메신저 등 글로벌 서비스에 밀려 대부분 100위권 밖에 있었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