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부트캠프
창업 교육은 돈이 안..되지 않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지윤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우연히 이런 소식을 접했습니다. "직장인 창업 부트캠프 창! 2022년부터 지금까지 지원자가 9000명을 훌쩍 넘겼습니다!" "언더독스는 창업 교육만으로 매출 130억을 달성했습니다!" 처음에는 의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창업 교육 지원자가 이렇게 많다니? 창업 교육만으로 매출 130억원? 보통 '창업 교육'이라고 하면, 크게 2가지를 떠올립니다. 첫째, 창업지원센터. 대학교 안에 있거나 공공기관으로 다양한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죠. 교육비는 무료거나 저렴합니다. 둘째,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합격하면 다양한 전문가 조언을 받을 수 있고, 나중에는 투자 유치로 연계되기도 합니다.
김지윤
스텔러스(Stellers) 창업자
2023-10-23
왜 부트캠프는 개발자 인력난을 해소하지 못하는 걸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오힘찬님의 기고입니다. 올해, 실적 악화와 개발자 인건비 상승 등 이유로 국내 IT 기업이 인력 감축 및 채용을 축소한다는 뉴스는 자주 접했을 겁니다. 하지만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75.4%가 SW전문인력 채용 및 유지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으로 '필요한 역량을 갖춘 지원자 부족'을 꼽았습니다. 한쪽에서는 개발자가 잘려나가고, 다른 한쪽에서는 개발자를 채용하지 못하고 있는 거죠. 이에 중기부는 2027년까지 1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해서 중소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개발자 부족 현상에 따른 개발자 양성이 이뤄지지 않은 게 아닙니다. 2020년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한 축으로 2025년까지 AI/SW 인재 10만명을 양성한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그럼 도대체 지금까지 양성한 SW 인재들과 IT 기업의 구조조정으로 채용시장에 나온 개발자들은 어디에 있으며, 왜 부족해서 추가 양성이 필요한 걸까요? 이는 한동안 불었던 부트캠프 열풍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참조 - 벤처창업기업(스타트업) 아카데미) (참조 - 2025년까지 데이터 시장 43조원 창출) 부트캠프 열풍의 시작 부트캠프는 2011년부터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일반적으로 12주에서 24주 사이로 진행되며, 평균 주당 4시간은 수업, 20시간은 자기 주도 학습, 30시간은 수업 과제 및 프로젝트 일정을 소화하는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짧은 기간 안에 실무에 필요한 기술을 익힌 후 포트폴리오를 완성해 개발자 채용 시장에 뛰어드는 것을 목표로 하죠.
오힘찬
테크 칼럼니스트
2023-09-14
"수업료는 취업하면 받아요" 교육업계에 부는 '소득공유' 바람
저희 어머니는 고등학교 선생님이신데요. 얼마 전 집에서 이런 대화를 나눴습니다. "XX 투자처가 요즘 인기래. 그거 안 위험할까?" "흠... 저도 투자 잘 모르지만, 가장 안전한 투자는 자기가 잘 아는 자산에 투자하는 거래요." "중국이든 신도시 아파트든 내가 잘 모르는데 다른 사람 믿고 투자하면 오를 때까지 믿고 버틸 수가 없잖아요." "반대로 남들이 위험하다고 해도 내가 그 자산의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눈이 있으면 안 위험한 거죠." "그래? 맞는 말인 것 같긴 하다. 그런데 내가 잘 아는 자산이 없잖아." "그러니까 투자하려면 공부해야죠, 뭐." "만약 학생이 투자 자산이라면 엄마 진짜 투자 잘하실텐데." "그게 무슨 소리야?" "예를 들면, 엄마가 가르치는 학생 중에 몇명을 골라 투자할 수 있는 거에요." "지금 돈을 주고, 나중에 그 학생이 버는 돈의 일부를 수익으로 돌려받는 거죠. 기업 주식 사는 것처럼요." "오, 신박한데? 그런게 있으면 좋겠다. 20년 넘게 내가 본 학생만 몇명이겠니." "딱 보면 각 나오거든. 내가 아주 기가 막히게 투자할 수 있지." 농담처럼 나온 이야기라 여기까지 말하고 지나갔는데요. 그런데 '학생의 미래에 투자한다'는 아이디어가 진짜 교육계에 뜨고 있었습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