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기업가치 7000억이던 뉴넥스는 왜 기업회생에 들어가게 됐나
한때 '패션 유니콘'으로 불린 '뉴넥스(구 브랜디)'가 2025년 9월, 기업회생을 신청했습니다. 뉴넥스는 여성 쇼핑앱 '브랜디'로 시작해 남성 쇼핑 플랫폼 '하이버', 동대문 풀필먼트 '헬피' 등으로 확장하며 2020년대 초반 지그재그, 에이블리와 함께 국내 3대 패션 플랫폼으로 불리던 기업인데요. 네이버, DSC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누적 1600억원이 넘는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약 7000억원을 인정받기도 했죠. 그러나 2023년부터 성장세가 급격하게 꺾였습니다. 2022년 1000억원이 넘던 매출은 2023년 521억원, 2024년 195억원으로 해마다 반토막이 났고요. 오랜 적자와 함께 무리한 물류 확장, 과도한 인력 채용 등으로 미처리결손금은 2000억원이 넘어 완전자본잠식상태가 됐습니다. 결국 현금이 마르고 채무 상환도 겹치며 운영 자체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뉴넥스는 '회생'이라는 카드를 꺼낼 수밖에 없었습니다. 취재 중 서정민 뉴넥스 대표와 연락이 닿아 회생 신청 과정과 현재 상황에 대해 직접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재무적 한계에서 회생 신청 유일한 해결 방법이었습니다" 우선 서정민 대표는 지난 9월, 판매자 대상으로 공지를 한 것처럼 기업 회생을 경영 및 서비스를 정상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채무를 제때 갚지 못한 저희의 재무적 한계였습니다" "채무 규모가 컸기에 만기 연장을 두고 협의를 시도했지만 부득이하게 합의에 이르지 못했어요" "채무를 갚지 못하면 '기한이익 상실'이 통지되고 PG사 정산 대금과 은행 자금이 묶이는데요. 그러면서 저희 유동성이 말 그대로 정지됐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사회와 논의하고 법무 자문도 받았는데 해결할 방법이 법정관리(회생)밖에 없었습니다" "회생을 신청하면 포괄적 금지명령과 보전처분이 내려지고 법원 관리인 체제에서 급여, 운영비 등을 지출을 허가받아서 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서비스 정상화의 출발선으로 판단했고 조금 급하게 회생 신청에 들어갔어요" (서정민 뉴넥스 대표) Q. 그래서 현재 브랜디와 하이버의 운영이 가능한 것이군요. 그럼, 이 상황을 판매자들에게 어떻게 설명하고 서비스 재오픈을 설득했는지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