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우버잇츠
아마존‧우버‧쿠팡도 하는 공유배송에 회의론이 나오는 이유
요즘 뜨거운 공유 서비스 모델 중 하나가 바로 '공유배송'입니다. 영어로 '크라우드소스 배송(Crowd-sourced Delivery)' 이라고 불리는 이 개념은 미국선 꽤 일반화 됐고요. 국내선 일반인이 배송에 참여하는 쿠팡플렉스를 통해 이제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이 됐습니다. 국내 공유배송은 지난해 쿠팡플렉스가 나오기 전부터 배민라이더스, 푸드플라이, 부릉 등을 통해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소속 기사들이 맛집 음식, 편의점 상품 등을 배달하는 방식이었죠. 공유배송은 1)대형 유통업체 뿐만 아니라 배송여력 없는 소규모 사업자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는 점. 2)일반인은 부수입을 얻을 수 있다는 점. 에서 장점이 크단 평갑니다. 시장 초창기라 성장잠재력은 커보이지만. 배송 품질, 기사 처우 문제와 관련해 미국선 회의론도 나오고 있는데요. 아마존 플렉스의 경우 기사들이 기대만큼 일감을 구하지 못하고요.
우버는 어디서 돈 벌어 어떻게 쓰나
차량호출 서비스 우버. 막대한 기업 가치만큼 영업손실도 방대합니다. 지난 3분기엔 성장세 둔화로 적자가 1조원대였는데요. 동종업계 경쟁심화와 사업 확대로 인해 회사 규모에 걸맞은 수익을 못 올립니다. 최근 우버의 운영비용, 사업모델, 펀더멘탈, 미래 먹거리를 분석한 보고서가 나와 눈길을 끄는데요. CB인사이츠의 '우버는 어떻게 돈을 버나'입니다. 우버의 돈벌이 구조에 대한 내용인데요. 이를 토대로 우버의 사업 운영비용, 사업모델 특성, 신성장 동력 등을 살펴봤습니다. (참조 - 우버는 어떻게 돈을 버나) 우버는 어디에 돈을 쓸까? 보고서에 따르면 우버는 운전기사‧고객 확보, 서비스 지역 확대, 규제 비용에 돈을 씁니다. 1)운전기사 확보, 유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