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긱 이코노미
임직원은 ‘경영 자원’이요, 채용은 ‘자원 내재화’입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다니엘님의 기고입니다. 처음 사업을 시작하면, 한동안 창업팀 멤버만으로 일하게 됩니다. 아이디어 구체화, 타깃 고객 선정, 제품 기획까진 자체 인력만으로 할 수 있으니까요. 기획자와 디자이너만 있고 개발자는 없거나 엔지니어만 모였지 마케팅이나 영업 담당은 없는 상황이 흔합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제품 제작 및 시장 진입 준비 단계에 들어서면,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품과 서비스가 고도화될수록 R&D 인력이 더 필요해지고, HR이나 마케팅 쪽으로는 실무자만큼이나 전체를 총괄할 C레벨 임원도 필요합니다. 이런 상황에 직면한 대표 임원들의 머릿속엔 근본적인 질문이 떠오릅니다. "채용할까요, 아니면 그냥 외주를 줄까요?" "채용한다면 반드시 정규직이어야 할까요?" 당연히 정답은 없지만, 사업과 인력 구조가 안정기에 접어들기 전까지 피할 수 없는 질문이죠. 창업자가 평소 나름의 원칙과 철학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제때 충원하지 못하거나 간단한 외주로 끝낼 업무에 정규직을 채용하고, 반대로 사내에서 해결해야 할 업무를 외주사에 맡겼다가 감당이 안 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정규직은 일단 계약을 체결하면 뒤로 무르기 힘들기 때문에 채용하겠다고 결심하기 전에 꼭 한 번은 생각해봐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용에 관한 철학적이고 전략적인 의미를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
다니엘
2022-06-21
믿고 맡기는 아이 돌봄 서비스, 그 이상을 향해! '째깍악어'
"기자님. 워킹맘들이 무너지는 이유는 애 봐줄 사람이 없어서가 아녜요" "그럼요?" "사람은 어떻게든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애 봐주는 이모님이 갑자기 일주일간 자리를 비울 때" "아무도 예측못한 코로나로 인해 유치원이 갑자기 2주일간 문 닫을 때" "내일 출근 준비를 마친 밤 늦게 갑자기 아이가 끙끙 앓기 시작할 때"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스러운 와중에 주변 사람들은 '네가 돈 얼마 번다고 온 가족을 이렇게 고생시켜?' 라고 말하기 시작하고" "마음속에 '일을 계속하는 게 내 욕심인가?' "아이가 나때문에 불행해지는 건가?' 자괴감과 자책감이 스멀스멀 올라올때 워킹맘은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김희정 째깍악어 대표) "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전업 주부에게도 육아는 힘들죠. 애들 유치원 가면 엄마들이 쉬나요? 청소하고 빨래하고 반찬 만들죠" "한달 한 번 찾아오는 생리통이 이달따라 유독 극심할 때 아이들이 엄마 사정 봐주나요?" "요 몇시간만 넘기면 어떻게든 살 수 있을 것 같은데 주변엔 믿고 맡길 그 누구도 없죠"
포도밭에 들어간 여우의 딜레마 : '긱 이코노미'의 함정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미준님의 기고입니다. 누구나 돈을 벌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즐겁게 돈을 벌고 싶어 하죠. 그래서 여러 방법을 고민하게 되는데요. 요즘은 아무래도 유튜버가 되는 걸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억대 연봉을 훌쩍 넘어서는 ‘인플루언서’의 특징은 바로 그들이 ‘일반인’에서 출발했다는 점이니까요. 이름 출생연도 구독자수 연수익 도티 1986년 240만 19억원 대도서관 1978년 188만 17억원 씬님 1990년 158만 12억원 벤쯔 1990년 295만 10억원 (2018년 10월 기준. 자료=랜선라이프 방송) 엄청난 제작 기술이나 환경 없이 개인의 탄탄한 콘텐츠만으로도 성공가도를 달리고, 어떤 경우에는 유명 연예인보다 대접을 받기도 하니까요. 이들처럼 되고 싶은 사람들은 방송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긱 이코노미’ 시대 ‘긱 이코노미’란 고용을 전제로 한 노동이 아니라 본인의 노동력이나 콘텐츠를 파트타임 형태로 제공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합니다. ‘긱’(Gig)이란 단어 자체가 ‘일시적인 일’이라는 의미로 대부분 온디맨드 형식의 플랫폼 내에서 활동이 일어나죠. 유튜버도 그 중 하나입니다. (참조 - ‘긱 이코노미’(Gig Economy)란 무엇인가?) 이미 국내에서도 직장의 겸업금지가 이슈가 될 정도로 수많은 사람들이 유튜버 비롯하여 ‘긱’이 되기를 자처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소기업 직장인으로 유튜브에서 활동하며 큰 인기를 모은 ‘이 과장’님이 적절한 예지요. 스스로를 ‘중낳괴’(중소기업이 낳은 괴물)라고 칭하는 그는 ‘크리에이터 이 과장’이라는 이름으로 중소기업의 현실을 신랄하게 보여주다가 결국 퇴사를 하고, 퇴사하는 모습까지도 방송을 했는데요. 7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모은 그는 월급을 포기하고 ‘긱’을 선택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준
프로덕트 오너
2019-05-30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