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버거킹
2023년 유튜브에서 사랑받은 콘텐츠 마케팅 5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서양수님의 기고입니다. 구글이 주최하는 콘텐츠 마케팅 어워즈, '유튜브 웍스 어워즈(Youtube Works Awards)'는 한 해 동안 나온 유튜브 광고 중 최고의 캠페인을 뽑는 행사입니다. 디지털 콘텐츠 어워즈 중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올해에는 파이널리스트에 42개 작품이 선정됐고, 10개 부문에서 수상작을 발표했습니다. 저는 올해로 3년째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는데요. 매년 심사를 하다 보니 지원작들의 변화가 눈에 띄었습니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스킬도 점점 늘고 있는 게 보이더군요. 유튜브라는 대세 매체를 어떻게 하면 잘 활용하고, 고객의 시선을 끌 수 있을지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 느껴졌습니다. (참조 - 유튜브 광고제 심사 후 꼭 전하고 싶은 이야기) 이번 글에서 그러한 변화와 인사이트를 수상작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유튜브 광고를 할 계획이 없거나 아직 작은 브랜드라서 좀 먼일이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네요. 하지만 적은 비용으로 우리의 잠재고객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갈 방법도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서양수
'유튜브 마케팅 인사이트' 저자
2023-11-22
F&B 브랜드가 다른 업종과 손잡고 펼치는 이색 콜라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윤진호님의 기고입니다. 예전엔 패션 업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브랜드 콜라보를 진행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짱구, 스펀지밥, 해리포터 등 다양한 캐릭터를 입히며 성장한 패스트패션 브랜드 '스파오'가 있고요. 휠라는 샌드위치 브랜드 '서브웨이', 크록스는 KFC와 콜라보한 제품을 선보여 주목받았습니다. 캐릭터와 패션의 만남은 팬들에게 주목과 재미를 주기 좋은 아이템이었습니다. 패션 업계는 왜 콜라보에 적극적이었을까요? 매출 그 자체만이 목적은 아닙니다. 패션 콜라보는 보통 한정 수량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죠. 그보단 콜라보 소식을 전하고 한정된 수량을 완판시키는 과정에서 브랜드에 위트를 주어 이색적인 고객경험을 만들고요. 이렇게 만든 관심도를 다른 기존 제품 구매로 연결하겠다는 목적으로 진행했습니다. 즉, 고객의 관심을 끄는 매력적인 '미끼 제품' 역할을 한 겁니다. 그런데 최근, 패션 카테고리를 넘어 뜨겁게 콜라보를 펼치는 분야가 있습니다. F&B, 먹고 마시는 브랜드가 콜라보의 중심에서 다양한 협업을 펼치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앞서 F&B 브랜드가 캐릭터에 빠진 이야기를 전해드렸는데요. (참조 - F&B 브랜드들은 지금 캐릭터에 푹 빠졌습니다) 이번에는 F&B 브랜드와 다른 산업군의 브랜드가 만나 펼친 이색적인 콜라보를 살펴볼까 합니다.
뜨거운 버거 시장, 그 성장기와 관전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윤진호님의 기고입니다. 버거에 열광하는 사람들 한국인 두 사람 중 한 명(54%)은 한 달 내에 버거를 먹었다고 할 만큼 버거가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월평균 3.3번, 헤비유저는 7.3번을 먹는다고 해요. 남성(3.7번)에게 더 사랑받는(여성 2.9번) 푸드 카테고리이기도 합니다. (참조 - 버거 프랜차이즈 트렌드 리포트 2023) 2023년엔 국내 버거 시장 규모가 5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래서인지 건설사부터 치킨 회사까지 모두 버거 전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기업이 뛰어드는 이유는 외식 시장에서 구매력이 높은 주 소비자층인 '영 어덜트 세대'를 사로잡기 위해서입니다.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는 버거 시장,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1세대 버거 전쟁 보통 맥도날드, 버거킹, 롯데리아를 '버거 3대장'으로 꼽습니다. 이전에 존재했던 '파파이스'는 2020년 완전 철수 후, 최근 새롭게 재탄생했죠. 이제는 '맘스터치'까지를 '4대 버거'로 놓기도 합니다.
2022 칸 국제 광고제 주목할 광고 '브랜드X아이디어 편' TOP 7
*이 글은 외부필자인 서양수님의 기고입니다. 지난번에는 칸 국제광고제(칸 라이언즈)에서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광고 7개 편을 소개했습니다. 광고계의 올림픽이라 불리는 칸 국제광고제의 수상작 중, 특별히 '사회적 의미'에 무게를 둔 작품들이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수단으로 광고가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례였죠. 저는 그중에서도, 휴먼 소사이어티의 'Save Ralph' 다큐멘터리와 총기규제 강화 단체의 '학생 없는 졸업식 장면'이 기억에 남았던 것 같아요. (참조 - 2022 칸 국제 광고제 주목할 광고 '사회적 의미 편' TOP 7) 이번 글 역시 칸 국제 광고제(칸 라이언즈)의 이야기를 이어가겠습니다. 전편과는 달리 상품 자체에 집중한 광고들을 살펴볼 텐데요. 이른바 칸 국제 광고제 '상품 광고편' 입니다. 앞선 글이 사회적 변화를 위한 의미를 찾기 위한 광고들이었다면, 이번에는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자사의 상품을 빛나게 하는 광고들입니다. 그래서 훨씬 더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총 7편의 광고를 골라봤는데요. 칸이 선택한 상품 광고들은 어떤 게 있는지 함께 보시겠습니다. 1. Detectives / (애플 - 필름부문 황금사자상) 애플은 주목도 높은 광고를 만드는 데 참 많은 고민을 하는 브랜드입니다.
서양수
'유튜브 마케팅 인사이트' 저자
2022-07-19
행동하는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앤제리스', 다른 기업이 따라할 수 있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마야님의 기고입니다. 여기 글로벌 대기업 광고 세 편이 있습니다. "계속 움직이게 할 거야. 나를. 미래를. 미래는 기다려 주지 않아" (나이키 재팬)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합니다" (버거킹) "당신이 될 수 있는 최고의 남성" (질레트) 크게 관련 없어 보이는 세 광고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첫째, 자칫 민감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를 활용한 브랜드 광고이며 둘째, 공개하자마자 '좋아요'만큼 '싫어요'를 만만찮게 받았습니다. 불매 운동을 하겠다는 댓글도 달렸죠. 나이키 재팬은 소외당하는 일본인 소녀, 재일 조선인 소녀, 흑인 혼혈 소녀를 등장시켜 오랫동안 존재한 인종/민족 차별을 이야기했습니다. 버거킹 핀란드는 버거킹 마스코트와 맥도날드 마스코트가 키스하는 옥외 광고로 LGBT를 공개 지지했고요. 질레트는 기존 슬로건 '남자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것'을 '당신이 될 수 있는 최고의 남자'로 바꿨습니다. 사회가 강요하는 '남자다움' 이미지에 가려진 집단 폭력과 성희롱 등을 더 이상 묵인하지 말자, 진정한 남자다움은 방관이 아닌 행동이라는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PC(Polictical Correctness;정치적 올바름) 트렌드에 발맞춘 변화죠.
김마야
프리랜서 기고가
2022-06-24
블리자드가 역대 최고 실적 거두자 가장 먼저 영입한 사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조인후님의 기고입니다. 블리자드가 코로나 사태로 역대 최고 실적을 거두자 가장 먼저 한 행동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게임 명작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콜오브듀티, 오버워치, 그리고 캔디크러쉬사가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일단 시작하면 쉽게 그만둘 수 없다는 것이고요. 두 번째는 이 게임을 모두 액티비전 블리자드가 소유하고 있다는 겁니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집에 머무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수요도 급증했죠. 덕분에 2020년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역대 최고의 호실적을 거두었습니다. 매출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80억8600만 달러(약 9조570억원)를 기록하고, 영업이익은 31억2500만 달러 (약 3조 4997억원)로 약 35% 증가했습니다. (참조 - 액티비전블리자드, 2020년 영업익 3조5천억원...콜오브듀티가 주도)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출범 이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며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야심 찬 계획을 발표하는데요. 놀랍게도 그 변화는 새로운 게임시리즈 론칭도 아니고 또 다른 게임회사의 인수도 아닌, 바로 외부인의 영입이었습니다. 직원 한 명 영입하는 것이 무슨 큰 이슈냐고요? 그건 아마 그가 게임업계의 베테랑도 아닐 뿐더러 게임과는 전혀 무관한 소비재기업 출신이기 때문일 겁니다.
조인후
2021-07-26
아쉬울 게 없던 스탠퍼드대 교수가 '임파서블 푸즈'를 창업한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선우님의 기고입니다. 2009년이었습니다. 스탠퍼드대 생화학과 패트릭 O. 브라운(Patrick O. Brown) 교수는 안식년을 맞았습니다. 당시 55세였던 브라운 교수는 앞으로 도전해 볼 만한 프로젝트가 뭐가 있을지 찾아보기로 합니다. 반드시 뭔가를 해야 할 필요가 있었던 건 아니었습니다. 그는 이미 많은 업적을 이룬 과학자였으니까요. 창업의 이유 고민 끝에 그는 진짜 고기 같은 맛이 나는 식물성 고기를 만들어 보기로 합니다. 일명 가짜 고기(fake meat)라고 하기도 하죠. 채식주의자가 적지 않은 미국에서는 식물성 고기로 만든 햄버거 패티는 어렵지 않게 구할 수는 있습니다. 보통 ‘베지 버거’라고 하죠. 하지만 맛은 정말이지 별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차라리 그냥 야채를 먹으면 먹었지 식물성 고기는 못 먹겠더라구요.) 가능성을 발견한 브라운 교수는 2011년 ‘임파서블 푸즈(Impossible Foods)’를 창업합니다. 그는 무엇보다도 지구를 살리기 위해 임파서블 푸즈를 창업했다고 말합니다. 소 한 마리는 5톤의 사료를 먹고 3000갤런(약 1만1350리터)의 물을 소비합니다. 소고기에서 100g의 단백질을 얻기 위해선 15kg의 온실가스가 생겨납니다.
김선우
2020-02-20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