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수제맥주
수제맥주 1호 상장사 제주맥주의 경영권 매각이 남기는 시사점
지난 2018년 여름을 돌이켜보면 아직도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습니다.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불던 여름 밤, 도심 한가운데 잔디밭을 민트색 돗자리들이 군데군데 물들였고요. 조금은 들떠 보이는 사람들이 삼삼오오 돗자리에 모여 앉아 민트색 캔에 든 맥주를 들이켜고 있었죠. 도심 한복판에 제주 여름 바다의 청량함과 낭만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장면이었습니다. 이 도심 피크닉은 수제맥주 기업 제주맥주가 기획한 이벤트였는데요. 당시 제주맥주는 '서울시 제주도 연남동'이라는 슬로건 아래 '연트럴파크'에서 약 3주 간 팝업스토어를 열었습니다. 팝업스토어는 대흥행하여 행사 기간 동안 약 5만 5000명이 방문했고요. 맥주는 팝업스토어에서만 하루 평균 1000잔 이상 팔렸다고 해요. (참조 - 제주맥주 팝업스토어는 어떻게 주말 하루 2,000잔의 맥주를 팔았나?) 팝업스토어가 대흥행하면서 제주맥주는 브랜드 인지도를 폭발적으로 올렸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의 머릿속에 힙한 브랜드로 인식될 수 있었죠. '서울시 제주도 연남동'은 그 후로도 오랫동안 마케팅 성공 사례로 회자되었습니다. 제주맥주는 팝업스토어 이전에도 양조장 투어 프로그램, 신선한 콜라보 제품 발매 등을 통해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쳤습니다.
맛 vs. 비주얼 vs. OO?.. 성공하는 콜라보의 4가지 조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광석님의 기고입니다. 우리나라 맥주, 아니 술 역사의 한 획을 그은 맥주가 있습니다. 곰표맥주인데요. 하이네켄, 칭따오, 카스와 같이 우리가 흔히 아는 대부분의 맥주는 제조사가 제품의 IP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너무 당연한 것처럼 들리지만 곰표맥주의 탄생 배경은 조금 다릅니다. 제조사가 제품을 만들고 유통사를 통해 판매하는 일반적 사례와는 달리 처음부터 IP사, 제조사, 유통사가 합작해 개발한 조금 특이한 맥주입니다. 대한제분은 레트로 열풍과 이전의 콜라보 성공 경험으로 '곰표'라는 '플랫폼' 보유하게 되면서 자사의 IP를 입힐 차기 제품을 찾고 있었습니다. 제조사인 세븐브로이는 1세대 수제맥주 회사로 제조/생산은 가능하지만 대중적 브랜드 인지도가 다소 아쉬웠고, 유통사인 CU는 엎치락뒤치락 GS25와 편의점 매출 1위 경쟁하다 보니 히트 상품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철저히 비즈니스 관점에서 보면 '환상의 콜라보'라 할 만하고, 맥주라는 제품 본연의 가치에서 바라보자면 '환장의 콜라보'가 아닐까 합니다. 맥주라는 술 자체가 워낙 오랜 역사를 지닌 만큼 수 백년의 역사를 가진 맥주 브랜드가 즐비한 현대 맥주 시장에서 고작 3년 차인 곰표맥주는 어떻게 역사에 족적을 남길 수 있었을까요. 곰표맥주의 족적
이광석
브랜드 컨설턴트
2023-11-30
수제 맥주 콜라보 시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마시즘님의 기고입니다. 코로나19 이후의 수제 맥주 시장은 '노아의 방주' 이야기에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맥주 펍에서 팔던 기존 수제 맥주는 소비자를 잃고 말았습니다. '편의점'이라는 방주에 올라탄 수제 맥주만 살아남았죠. '곰표 밀맥주'나 '말표 흑맥주' 등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수제 맥주의 인기에 "수제 맥주 시장이 발전했다"라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아졌는데요. 그보단 "수제 맥주가 양극화되었다"라고 보는 편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방주에 올라탄 수제 맥주라고 꽃길만 기다리는 것도 아닙니다. 오늘 마시즘은 어쩌면 맥주만큼 쌉쌀할 수제 맥주 이야기를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그냥 맥주도 아니고 '수제 맥주'가 무엇일까요? 수제 맥주가 생소한 분들이 계실 법합니다. 그냥 맥주도 아니고 수제 맥주라니.. '수타면' 같은 건 당연히 아닐테니까요.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대기업 자본 없이 소규모 양조장(혹은 개인)에서 자체 개발한 제조법으로 만든 맥주입니다. 해외에서는 보통 '크래프트 비어(Craft Beer)'라고 부르는데요. 보통 규모와 생산량을 기준으로 분류하지만, 굉장히 창의적인 시도가 돋보인 맥주도 '크래프트하다'고 말하곤 합니다.
마시즘
2022-09-07
코로나는 음료산업의 변화를 촉진시켰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마시즘님의 기고입니다. 연말을 맞이해 트위터 공식 계정에 재미있는 트윗이 올라왔습니다. "2020년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 그러자 세계적인 기업들의 웃픈 답변이 쏟아졌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DELETE(삭제)', 유튜브는 'Unsubscribe(구독취소)', 어도비는 'Ctrl+Z(실행취소)'라고 올해를 정리했습니다. Ctrl+Z를 아무리 눌러봤자 코로나19가 실행취소되진 않지만요. 음료산업 역시 어려운 한 해를 보냈습니다. 그런데 막상 마지막에 돌아보니 큰 타격을 입은 개별 브랜드는 많지만, 시장 전체적으로 보면 걱정만큼 괴멸적인 타격은 없었던 듯합니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린다고 먹고 마시는 일을 줄이진 않으니까요. 다만 그 형태나 구매방법이 바뀌었습니다. 저는 이 흐름이 갑작스러운 환경변화에 맞추기 위한 임기응변이었다기보다는 원래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에 따르는 희생이 너무나도 컸지만요. 오늘은 코로나19 때문에 바뀔 2021년 음료시장의 미래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1. '혼술'을 넘어 '홈술'이 대세가 됐습니다.
마시즘
2020-12-28
'수제맥덕' 확대 노리는 제주맥주의 마케팅 승부수는?
맥주의 청량감을 대리하는 그들. 이 남자. 저 남자. 그녀들. 맥주 브랜드의 마케팅서도 톱스타 모델의 가치는 크죠. '톱스타 = 브랜드'란 공식처럼. 업체들은 톱스타의 유명세에 힘입어 자사 브랜드의 존재감을 각인하고요. 브랜드 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립니다. 이로써 스타들도 자신들의 입지와 인지도 향상을 실감할 수 있죠. (아이돌에겐 '면세점 모델 발탁'이 한류스타 보증 수표가 됐듯!) 최근 수제맥주 스타트업 씬을 보면 기성 업체들의 톱스타 일변도 마케팅과 차별화된 움직임이 눈에 띄는데요.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