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김이경
요즘 말로, 프로엔잡러. 소니, 엘지전자, 카카오, 딜로이트 재팬, 일본 소프크뱅크 그룹 등에서 재직했고 창업경험이 있으며 현재 컨설팅 펌에 소속돼 있습니다. 모든 것을 비즈니스 또는 비즈니스모델로 풀어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각종 비즈니스/프로젝트에 다양하게 참여 중이며, 브런치(이경느님)나 유튜브, 클럽하우스(Lemon Kim) 및 카카오 음(Lemon)에서도 연재, 방송 등을 진행/활동 중입니다.
음원 강자의 오디오 SNS, 그린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이경님의 기고입니다. 그린룸도 한국에 올까? 음원 하면 떠올리는 큰 기업 중 하나인 스포티파이가 한국에 상륙한 지도 어느덧 반 년 정도가 되었습니다. (참조 - 스포티파이가 한국시장에 진출해 멜론과 붙는다면?) (참조 - 스포티파이 "한국 시장 키우기 위해 왔다…성공전략은 '개인화'") 스포티파이는 해외의 음원 플랫폼으로써 국내에서도 유명했죠. 단 해외 플랫폼이다 보니 아무래도 국내에서는 가입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오늘 이야기 드릴 그린룸이라는 어플도 아직 국내에서는 온전히 출시되지 않아 한국 계정으로는 다운로드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스포티파이 역시 해외 플랫폼으로 시작했지만 결국 한국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죠. 스포티파이에서 운영하는 그린룸도 국내에 도입되어 국내 오디오 SNS들과 경쟁하리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스포티파이는 가입자가 2억명이나 되는 음원 플랫폼이죠. 본사는 스웨덴의 기업이며, 현재 세계 81개 나라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업체입니다. 또한 2019년 당시 가입자 약 2억700만명 중 절반에 가까운 9600만명이 유료 가입자이며, 흑자를 기록했다는 소식으로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수익성도 좋아 지난해 4분기 사상 최초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잉여 현금흐름 모두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참조 - 스포티파이, 개성 존중하는 조직으로 11년만에 가입자 2억명) 2020년 말에는 유료 가입자가 24% 증가하여 1억5500만명에 이르렀습니다.
김이경
2021-08-25
애자일? 린? 프로젝트 관리 기법 내게 맞게 활용하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이경님의 기고입니다. 일할 때 '프로젝트'라는 말을 참 많이 씁니다. 하지만 정작 그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기법을 알려주지 않은 채, 혹은 교육하지 않은 채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기도 하죠. 오늘은 많은 프로젝트 관리 기법 중 특히 유명한 '워터폴'과 '애자일', 그리고 '식스 시그마'와 '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각 기법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소개해 드릴 텐데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프로젝트에서 각 기법을 활용하실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1. 프로젝트 관리 기법 '프로젝트 관리' 하나만 해도 그 개념과 툴 등 설명할 것이 워낙 많습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그러한 지식과 툴을 활용해 어떻게 프로젝트를 관리하는가, 하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입니다. 물론 프로젝트 관리 기법에도 수십 가지가 있는데요. 오늘은 프로젝트 관리 기법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워터폴'과 '애자일'을 비교하고 나서, '린'과 '식스 시그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워터폴과 애자일, 하이브리드 애자일이라는 기법이 구체적으로 등장하기 전에는 워터폴(Waterfall)이라는 방법론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해왔습니다. 물론 각 기업이나 프로젝트에서 정의하는 세부적인 내용은 다를 수 있지만..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워터폴은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아웃풋)을 전부 완벽히 정해 놓고 시작하는 기법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워터폴 모델의 경우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요구 분석 →) 요건 정의 → 설계 → 개발 및 디자인 → 테스트 그 흐름이 마치 폭포수 같다고 하여 워터폴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김이경
2021-08-02
구독 비즈니스의 미래 (feat. 메타버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이경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카카오의 구독 플랫폼인 '구독ON'이 새롭게 오픈했습니다. (참조 - 카카오, 정기 구독 플랫폼 '구독ON' 선봬) (참조 - 아웃스탠딩글 번외편 : 카카오구독ON) 기존의 구독들과는 다르게 구독 서비스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서비스가 오픈했는데요. 이 시점에 구독이라는 서비스 자체, 그리고 구독 서비스의 미래 형태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구독, 그리고 구독 서비스는 무엇이며, 우리는 앞으로 어떤 분야를 개척해 갈 수 있을까요? 이에 관해 구체적으로 짚어보고자 합니다. 구독이란 다들 아시다시피 구독이라는 것은, 정기적으로 또는 정액으로 물건을 반복하여 구매하는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렇게 유행하기 훨씬 전부터, 구독이라는 개념은 우유나 신문, 학습지 구독이나 잡지 및 월간지 구독 등의 형태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죠. 어쩌면 구독으로 점철된 하루 또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어느 주말 아침에 일어나 매주 구독하는 뉴스레터를 읽으며, 매일 아침 도착하는 빵을 챙겨 먹고요. 점심에 있는 친구와의 약속에는 서브스크립션으로 집에 도착한 꽃을 갖고 가서, 구독하는 차를 타고 이동하고, 식사 때에도 구독으로 연결된 프로그램이나 할인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겠죠. 밤에는 서브스크립션으로 도착한 술을 잔에 따라먹으며 넷플릭스를 보고 잠드는 하루. 이제는 구독이 일상인 것이죠. 구독 서비스의 종류
김이경
2021-07-02
코로나 1년, 뜬 비즈니스 뜰 비즈니스 (국내 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이경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해외 전반에 걸쳐 코로나로 인해 1년간 뜬 비즈니스와 진 비즈니스, 앞으로 뜰 비즈니스와 진 비즈니스를 다뤘습니다. (참조 - 코로나 1년, 뜨는 비즈니스 지는 비즈니스 (해외 편)) 이번에는 국내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춰 뜬 비즈니스와 뜰 비즈니스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뜬 비즈니스 (1) 의료 스타트업 코로나로 인해 방역과 위생에 대한 의식이 전체적으로 높아졌죠. 그만큼 의료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또 주목 받았는데요. 특히 의료진의 고충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치료나 통원, 검사 과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중요해졌습니다. 그중 하나가 원격치료일 텐데요. 국내에는 원격판독은 도입되어 있지만 원격치료는 허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코로나에 의해 한시적으로 전화 상담이 허용되었으나, 비대면 진료에는 제약이 있죠. 때문에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기술 발전이 쉽지 않습니다. (참조 - 일상 깊숙이 들어온 원격의료 기술…제도는 제자리걸음) WHO는 원격의료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중국 및 프랑스 등 해외에서는 이미 원격의료를 제공하거나 의료보험 혜택을 부여하고 있고요. 우리나라에서도 원격진료 본격 도입을 준비하려는 여러 움직임이 있습니다. 우선 올해 한국원격의료회가 창립되었고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디지털 치료기기' 카테고리를 만들어 검증 기준을 만들고 있습니다.
김이경
2021-06-04
코로나 1년, 뜨는 비즈니스 지는 비즈니스 (해외 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이경님의 기고입니다. 코로나라는 단어가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친 지 일 년이 지났습니다. 국내에서는 QR코드 체크인이 당연해졌고, 이제 마스크 쓴 얼굴들이 어색하지 않지요.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은 특히나 비즈니스, 스타트업, 새로운 브랜드, 시장 현황에 관심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그런 여러분께서는 코로나 이후 변화할 비즈니스 양상이나 비즈니스 모델에도 관심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로나 이후, 뜨는 비즈니스와 지는 비즈니스를 짚고 가 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해외와 국내의 상황이 조금 다른데요, 여기서는 해외의 상황으로 전체 개요를 짚고, 국내 편에서는 국내 상황에 좀더 특화한 이야기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너무 뻔한 이야기만 하기보다는 산업별로 분리하여 다각도로 생각해보고요. 또한 코로나 상황이 매우 악화됐던 지난 1년,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시기의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 1년간 있었던 변화 (1) 위생의 중요성 부상 위생에 대한 의식이 달라졌습니다. 아시아권에서는 마스크를 쓰는 일이 어색하지 않습니다.
김이경
2021-05-13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