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서비스가 한계에 처할 때 쓸 수 있는 카드 3가지.. 넷플릭스의 교훈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호섭님의 기고입니다. 지금 몇 가지의 구독 서비스를 쓰고 계신가요? 저는 10가지가 넘는 구독 서비스에 매달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있습니다. 구글과 애플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비롯해 포털과 쇼핑, 그리고 영상, 음악, 게임 서비스에 최근 다시 가입한 전자책 서비스까지 적지 않은 구독 요금제에 갇혀 있습니다. 처음 구독 서비스에 젖어 들 때만 해도 개수가 조금 늘어나도 그리 부담스럽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습니다. 한 달에 영화 두 편만 봐도 손해는 아니고, DVD나 음반을 사던 것에 비하면 훨씬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것들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 수집으로 인한 즐거움도 있지만 보관과 관리는 적지 않은 스트레스를 주기도 했습니다. 구독은 많은 부분을 해소해주었습니다. 진입장벽을 낮춰주었고, 수없이 쏟아지는 콘텐츠 홍수 속에서 이건 꼭 갖고 있어야겠다는 판단을 확실히 할 수 있었지요. 구독 서비스는 단순히 빌려 쓴다는 것 이상의 편리함을 주는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콘텐츠 하나하나의 가치를 제대로 판단하기 어렵고, 애정을 갖기보다는 흘려보내는 것이 많다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구독 서비스에 대한 이점과 아쉬움은 아마 많은 분들이 저마다의 생각을 갖고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느새 훌쩍 늘어나 버린 구독 서비스에 '이제는 조금 다이어트를 해볼까?' 하는 생각이 매달 반복되지만 또 쉽게 떨쳐 버릴 수 없는 것이 이 구독 서비스이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그 고민을 자꾸 부추기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구독 서비스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넷플릭스입니다. 넷플릭스는 콘텐츠 유통에서 점차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이 높아지면서 HBO나 디즈니 못지않게 강력한 콘텐츠 제작자로서의 역량을 보여주면서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