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강병호님의 기고입니다. AI 인프라 산업과 클라우드 AI 인프라 산업은 AI 모델을 구동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AI 인프라는 AI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이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빅테크 기업과 대형 IT 기업 및 규제로 인해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없는 기업), 대부분의 기업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Cloud Service Provider; 이하 CSP)가 제공하는 AI 인프라를 활용합니다. AI 인프라는 일반적인 서버에 비해 운용 난이도가 높은 편이며,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전에는 비용 효율성도 매우 떨어집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AI 인프라는 CSP를 중심으로 형성 및 발전되어 가고 있습니다. CSP는 클라우드를 통해 서버를 임대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을 관리형으로 제공해주는 사업자를 의미합니다. 아마존에서 운영하는 AWS(Amazon Web Services),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 네 기업이 글로벌 시장의 주요 CSP입니다. 국내 CSP로는 SK C&C, 네이버 클라우드, KT 클라우드, NHN 클라우드, 삼성SDS 등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형 CSP는 자체 인프라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형태와 AWS 등 글로벌 CSP 서비스를 재판매하는 서비스 컨설팅 및 중개 판매 중심의 형태로 양분되어 있습니다. CSP 기업은 서버를 대량으로 구매해서 임대하는 데이터센터 사업을 기초로 합니다. CSP를 통해 인프라를 사용하면 데이터센터의 구축 비용부터 서버 조달 및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CSP 사용 비용에 이러한 제반 비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데이터센터라는 규모의 경제 형성과 서버 조달 시간의 절약, 운영 기술의 확보 등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기업은 CSP를 사용하는 것이 금전 및 시간 비용을 줄이는 방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