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에 데뷔한 영화감독 3인.. '각자의 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얼마 전 박찬욱 감독의 신작 '헤어질 결심'을 봤습니다. 주연배우의 훌륭한 연기는 물론 원숙한 영상미, 미장센과 카메라워킹, 짜임새 있는 네러티브, 그리고 산과 바다를 필두로 한 다양한 은유와 대비 요소 등을 보고 있노라니, 과연 이 영화는 영상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많은 것들을 함유한 선물세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십여년 전, 공학을 전공하고 본격적인 밥벌이의 길을 시작하기 전, 영화를 업으로 삼아보려고 했던 시절도 있었는데, 이 영화와 기생충을 생각하니 서양 및 일본 영화 등으로 점철된 세계영화사도 점차 개편이 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대중가요를 비롯하여 웹툰, 예능,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자본이 수출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90년대만 하더라도 한국의 대중문화는 수입 위주였고 일부는 외국의 작품을 카피하면서 콘텐츠를 생산해 나가던 시기였습니다. 세계 3대 영화제는 물론 대중적인 할리우드에서도 한국이라는 나라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당시 국내에는 '씨네21'이나 '키'노와 같이 영화를 다루는 매체가 많이 있었습니다. 이들 매체를 통해 접했던 전 세계 영화계를 강타했던 흐름 중 하나는 덴마크의 '라스 폰 트리에(Lars von Trier)'를 주축으로 한 도그마95 선언이었습니다. 당시 다양한 매체에서 이 도그마95를 주목한 까닭은 2000년 깐느 영화제 황금종려상(53회)을 수상한 작품 어둠속의 댄서 (Dancer In The Dark)를 만든 감독이 바로 '라스 폰 트리에'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도그마95를 주창한 사람들은 이 라스 폰 트리에를 비롯한 4명의 덴마크 영화감독들이었으며, 이들은 당시 유행하던 작가주의 영화와 할리우드 장르 영화를 부정하고 영화 자체의 순수성을 회복하려는 선언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