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토스
토스 '열린 플랫폼' vs 카카오뱅크 '편리한 은행'
(사진=아웃스탠딩) 모바일 중심 금융 서비스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핫’한 이슈를 주도하는 쪽은 단연 인터넷은행 진영입니다. 업계에서는 ‘인터넷 은행업 인가’만으로도 1조 원의 가치를 가진다고 평가받고 있죠. 케이뱅크가 먼저 출시됐지만 역시 시장에 준 충격은 카카오뱅크가 훨씬 큰 것 같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오프라인을 찾을 필요 없이, 공인 인증서도 필요 없이 은행 계좌를 만들어주는 매우 편리한 사용 경험을 선사하는데요. ‘카카오’ 브랜드의 힘을 보여주며 출시 직후 먼저 선보인 K뱅크의 초기 수치를 따라잡은 것은 물론 실제 은행권에 ‘이대로 있으면 안 된다’는 엄청난 충격을 선사하며 업계 전반에 엄청난 파괴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 두곳에 불과한 공식 인터넷 은행업 인가, 카카오라는 우수한 브랜드, 풍부한 자금력 등 많은 것을 갖춘 카카오뱅크는 그야말로 ‘금수저’ 서비스라고 할 수 있죠. (참고 - "너 혁신 안하면 카뱅한테 죽어요 ㅠ.ㅠ") 다른 한편에서는 바닥을 박박 기며 이용자를 늘려온 스타트업 진영들, 카카오에 비교하면 금융 ‘흙수저’들이 있습니다. 촘촘한 규제의 빈틈을 파고들거나 기존 금융 인프라를 활용해 정보 격차의 해소, 편리한 결제, 송금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여러 핀테크들이 악전고투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2015년 50억원, 2016년 265억원 2017년 55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한국에서 가장 성공한 스타트업 중 하나라고 평가받고 있는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가 가장 눈에 띄는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준호
2017-08-15
왜 실리콘밸리는 토스에 550억원을 투자했을까
이승건 대표를 처음 만났을 때 느꼈던 것은상당히 이상지향적이라는 점입니다. 일단 널리 알려진 것처럼전 직업이 치과의사죠. 집안이 어렵고 공부는 잘해서의대생의 길을 걸었는데단순 이러한 이유로 인생을 걸기에는너무 아까웠다고 합니다. 그리고 회사 이름도 비바리퍼블리카,프랑스 대혁명 시기"공화국 만세"라는 구호를 뜻합니다. 사업 아이템도 그렇습니다. 처음에는 모두가 쉽게 의견을 표명하고여론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어플,'다보트'를 만들었고요. 그 다음에는 송금서비스, 토스를 만들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우리는본인인증, 보안 프로그램 설치,보안카드 및 공인인증서 발급 등복잡한 전자금융 환경 아래 있는데요. 한번 카드정보만 입력하면결제할 때마다 비밀번호 입력만으로모든 게 끝나는 외국과는 사뭇 다르죠. 그래서 가장 자주 쓰이는 송금서비스를 시작으로전자금융 활동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겠다는포부를 세웠고 그 결과물이 토스인 겁니다. 대체 어떻게 하면전자금융 활동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을까. 이승건 대표가 주목한 것은은행자동출금(CMS) 서비스였습니다.
반쪽짜리 송금서비스였던 '토스'는 어떻게 국민앱이 됐을까?
세상을 더 행복하게 만들고 싶다. 많은 스타트업들의 사업 목표로내세우는 말이지만, '선한 목적 의식'은 결코 성공을담보해주지 않습니다. 장래가 유망했던 치과 의사가‘더 많은 사람에게 행복을 주고 싶다’며창업한 비바리퍼블리카도 사업 초기 두 서비스가 연달아 실패했고 세번째 시도한 간편 송금 ‘토스’를제가 처음 접했을 때도‘뜻은 좋으나 이게 과연?’이라는생각이 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2년여전 국내 창업투자회사가금융업체에 투자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해외 투자자에게 투자금을 유치해돌파구를 마련하더니 올해는 KTB네트워크와 굿워터캐피탈,알토스벤처스 등으로부터265억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누적 투자금액 300억원을 넘어 버렸죠. 물론 아직도 사업성이 불투명해‘투자자가 뭘 보고 투자했을까?’라는의문이 늘 부록으로 따라오기도 하고 국내 굴지의 IT기업들이 각자의‘XX페이’ 서비스를 선보이며주요 기능으로 ‘간편 송금’을 앞세울 때도‘이젠 힘들지 않을까?’라는 의견도 나왔지만.. 대기업의 참전으로 오히려‘간편 송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모든 서비스 지표가 상승했다고 하더군요. 어떤 ‘서비스 분야’가 붐 업이 되면그 영역 1등 기업은 자연스럽게홍보 효과를 얻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토스가 딱 그 케이스였던 거죠. 아무튼 이승건 대표가 한국 핀테크 협회초대 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하는 등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는 한국을 대표하는핀테크 스타트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서비스 시작 1년 6개월만에 누적 송금액 1조원 돌파를 발표하기도 했죠.
최준호
2016-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