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압도적 위상은 유지될까요? SWOT 분석해 봤습니다.
2020년 7월 8일.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인텔을 추월했습니다. (참조 - AI 시대 리더 엔비디아, 인텔 시가총액 추월) 10년간 주가가 무려 40배 오른 것인데요.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이하, GPU)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GPU(Graphic Processing Unit) GPU는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화면에 출력시키는 일을 합니다. 젠슨 황이 엔비디아를 창업했던 1993년. 당시 GPU는 존재조차 없었고, 인텔이 중앙처리장치(이하, CPU)시장이자, 반도체 시장을 압도적으로 지배하고 있었습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를 해석,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엔비디아는 어떻게 존재도 없던 GPU를 세상에 태어나게 한 뒤 미국 반도체기업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설 수 있었을까요. 지난해 9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황의 법칙이 무어의 법칙을 대체한다'는 칼럼을 통해 이를 분석했는데요. (참조 - Huang's Law Is the New Moore's Law) *황의법칙 엔비디아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 경영자인 젠슨 황(Jensen Huang)의 이름을 딴 법칙입니다. 인공지능(이하, AI)을 구동하는 반도체의 성능이 2년마다 2배 이상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조 - 엔비디아 황의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