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은 어떻게 극한의 가격차별화에 성공했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영준님의 기고입니다. 경영학에선 가격차별화를 이익 극대화를 위한 최고의 방법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나의 상품을 하나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경우 그 가격 이상의 지불의사를 가진 소비자들의 수요밖에 끌어오지 못하지만 차별화된 가격으로 판매할 경우 서로 다른 지불의사를 가진 사람들의 수요를 모두 끌어올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은 일입니다. 소비자들은 동질적 재화를 다른 가격에 판매하는 것에 쉽게 분노하니까요. 지금은 비교적 안정되었지만 과거 CGV가 극장의 좌석에 따라 다른 가격을 부여한다고 했을 때 많은 소비자들이 분노했던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이러한 가격 차별화의 정석을 충실히 시행하는 산업이 있습니다. 바로 항공여객 산업이죠. 모두가 잘 아시듯이 항공여객 산업은 가격차별화의 극한을 달립니다. 동일한 비행기를 타고 있더라도 같은 돈을 지불하고 탄 사람을 찾기가 매우 어렵죠. 그렇다면 항공산업은 어떻게 이런 극한의 가격차별화를 가능하게 한 것일까요? 여행과 출장 1970년대 후반, 전 세계 항공산업을 옭아매고 있던 규제가 철폐되면서 진정한 경쟁의 시대가 열립니다. 그 이전까지는 항공사들이 노선을 두고 경쟁하는 것을 철저하게 억제하고 있었기 때문에 황금 노선을 가지고 적절한 투자를 하면 돈을 벌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물론 그 반대급부로 기내 서비스와 요금 등에 대한 철저한 통제가 이뤄졌지만요. 하지만 항공산업 자유화와 함께 그 빗장은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자유화와 함께 티켓 가격 또한 고도화가 이뤄지죠. 자유화 이전엔 동일한 항공편의 비행기 티켓에서 가격 차이의 핵심은 서비스의 차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