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가 인간을 완성한다.. 오드리 헵번 이야기
Manner Maketh Man. 영국의 이른바 '신사'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비밀첩보조직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킹스맨'은 세계적으로 흥행하면서 후속작까지 제작되었습니다. 그런 성공의 큰 부분은 말쑥한 영국 신사의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 귀티 넘치는 배우 콜린 퍼스의 활약 덕분이었는데 특히 그가 깡패들을 때려눕히기 전에 멋지게 내뱉는 'Manner Maketh Man'이 영화 전체를 대표하는 대사로 많은 이들의 기억에 남았습니다. 영국 귀족답게 현대어인 'makes'가 아니라 고어인 'maketh'로 발음한 이 영국 속담은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로 번역되어 마치 신사가 되려면 매너가 있어야 한다는 것처럼 이해하는 분들이 많았지만 실은 보다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일단 'man'은 '남자'라기보다는 보편적인 '인간'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make'도 '만든다'라는 의미보다는 '완성한다'는 의미에 가까울 것입니다. 즉, 인간은 그저 태어난다고 다 인간이 되는 것은 아니고 매너를 갖추었을 때 비로소 제대로 된 인간으로 완성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지요. 문제는 'manner'라는 단어입니다. 차라리 예의 바름, 친절함 등 그 자체로 좋은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였다면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정도로 쉽게 해석될 수 있는 말일 텐데 '매너'는 그 의미가 좀 다릅니다. 사전적으로 보자면 '매너'는 '일이 되어가는 방식'이고 '다른 사람을 대하는 외면적인 태도'입니다. 즉, 사회적으로 반복적으로 통용되고 고정되어 있는 어떤 코드에 따라서 다른 사람을 대하는 것이 '매너'의 기본적인 의미인 것입니다. '매너'는 좋은 의미인 반면 매너에 얽매이는 '매너리즘'은 '항상 틀에 박힌 일정한 방식이나 태도를 취함으로써 신선미와 독창성을 잃는 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합니다. 이 둘 사이의 거리감은 어째서 발생하게 된 것일까요? 이 속담이 애초에 답하고자 하는 질문은 '인간은 무엇으로 인간이 되는가, 무엇으로 제대로 된 인간이 되는가'일 것입니다. 당연히 제대로 된, 완성된 인간은 우선 그 자신이 '괜찮은 사람'으로 내재적으로 완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정하고, 친절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려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겠죠. 문제는 그런 내재적 가치는 결국 외면으로 드러나는 무언가를 통해 확인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너'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가치를 외부로 표현하는 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