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메일이 해킹당하면서 알게 된 것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미준님의 기고입니다. 퇴근 후 습관적으로 이메일을 보다가 갑자기 등골이 서늘해졌습니다. 영문으로 쓰여 있는 메일에는 제 네이버 메일이 해킹되었고, 비번을 알고 있으니 비트코인으로 돈을 보내라는 이야기가 담겨 있었는데요. 이메일을 통해서 간단하게 컴퓨터에 바이러스를 심었고, 더 나아가 네이버 메일을 통해서 연결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디바이스를 해킹했으니 이제 와서 바이러스를 지워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물론 가장 소름 끼치는 대목은 제 네이버 비밀번호가 메일에 찍혀 있었던 것이죠. 아주 정확하게 말입니다. 일단 컴퓨터를 켜서 네이버 아이디의 비번부터 바꾸고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했는데요. 검사를 하면서도 온라인 뱅킹이며 웹캠이며 너무 신경이 쓰여서 나도 모르게 짜증이 올라왔죠. 안 그래도 그날 수상한 메일을 하나 받았던 기억이 났는데요. 'Teamviewer'라고 하는 컴퓨터 원격지원 서비스에 누군가가 계속 로그인을 시도하고 화면 공유를 요청한다는 메일이었어요. 너무 수상해서 일단 팀뷰어의 모든 소프트웨어를 삭제하고 비번도 바꿔버렸던 참이었죠. 이 해킹과 연관이 됐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니까 소름이 돋았습니다. 그 사이에 남편이 이 메일의 내용에 대해서 검색을 시작했습니다. 온라인상에서 찾은 여러 사례들을 보면서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었습니다. 이 메일은 'hoax(혹스)' 메일이라고 부르는 스팸의 한 형태로 hoax란 가짜로 속여서 골탕먹이다는 뜻의 단어라고 하는데요. 다수의 블로그에서 피해 사례와 원인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혹스 메일 해킹, 어떻게 당했나 다수의 정보들을 종합해본 결과, 혹스 메일에서 얘기하는 바이러스를 심었다거나 저의 모든 디바이스를 장악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