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와 위안화 강세,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오건영님의 기고입니다. 올해 초 약세 국면에서 벗어나는 듯했던 달러가 다시금 약세 전환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런데요, 이번 약세 국면에서는 다른 통화보다도 위안화 대비 달러 약세가 보다 뚜렷한 듯합니다. 달러당 위안화 환율이 지난 2월 달러 저점에서 달러당 6.4위안이었는데요, 지금은 철옹성처럼 느껴지던 달러당 6.4위안 선이 무너지면서 달러당 6.36위안 수준입니다. 달러당 6.4위안을 줘야 1달러를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6.36위안만 줘도 1달러를 살 수 있으니 위안화가 강세를 보인 것이죠. 6.4와 6.36으로 비교하니까 실감이 나지 않을 수 있는데요, 지난 2019년 8월에는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2위안이었답니다. 당시에는 7.2위안을 줘야 1달러를 살 수 있었지만 지금은 6.36위안만 줘도 1달러를 살 수 있으니 현재 위안화가 꽤 강세라는 걸 느낄 수 있죠. 그럼 두 가지 궁금증이 생길 겁니다. 첫째는 잠시 강세 전환했던 미국 달러화가 왜 다시금 약세 전환하면서 반대편에 있는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지… 둘째는 이런 움직임, 즉 달러 약세와 위안 강세가 계속해서 이어지게 될 것인지... 이런 궁금증이 있겠죠. 오늘 에세이에서는 이런 움직임을 다루어봅니다. 달러가 강세를 보였던 이유 지난 1월 이후 나타난 변화는요, 미국의 백신 보급 속도였답니다. 미국 백신 보급 속도는 다른 어떤 국가보다 빠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죠. 백신 보급으로 인한 경제의 재개가 다른 어떤 국가보다 선제적일 것이고 회복이 강한 만큼 올해 미국의 성장이 유럽, 중국, 일본, 이머징 국가를 넘어설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던 거죠. 여기에 새롭게 들어선 바이든 행정부는 강한 경기 부양을 약속합니다. 우선 3월 초에 1.9조 달러에 달하는 American Rescue Plan을 통해서 미국 가정 1인당 1400달러(약 155만원)의 현금 수표를 쥐어주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