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플랫폼 회의론이 존재하는 이유는 돈이 많이 들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벤처업계에서 이른바 유동성 혹한기가 이어지면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영역은 플랫폼 스타트업입니다. 아무래도 그 이유는 돈이 많이 들기 때문이겠죠. (1) 기본적으로 사이즈가 큰 IT프로덕트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연봉 인재으로 구성된 개발팀을 운영해야 하고 (2) 제품출시 후에는 이용자 모객과 파트너사 모집을 위해서 상당 규모의 마케팅 활동을 집행해야 하고 (3) 플랫폼을 운영하는 과정에도 수많은 이해관계자에 대해 끊임없이 정산을 해줘야 합니다. 고로 투자자 입장에선 회수에 이르기까지 최소 수백억원의 비용을 집행해야 하는데요. 자칫 격한 시장경쟁에 휩싸이거나 수익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그 이상의 자본을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지원해줄 수 있었죠. 금리가 낮고 주식시장 상황이 좋았던 터라 그리 어렵지 않게 벤처펀드를 조성했으니까요. 그러나 지금은 그러기 어려운데요. 위와 같은 기조 변화로 최근 2~3년간 많은 회사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OTT 플랫폼 왓챠는 공룡 사이에서 시장경쟁을 이기지 못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고 인테리어 플랫폼 어반베이스는 적절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해 폐업했습니다. 육가공 플랫폼 정육각 또한 자금난을 견디지 못해 자회사 초록마을과 함께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으며 카카오가 엄청난 자본을 들여서 인수한 웹소설 플랫폼 래디시가 얼마 전 서비스를 종료했습니다. 승차공유 플랫폼 풀러스는 규제리스크 속에서 장기간 견디다가 마침내 문을 닫았고 명품 플랫폼 발란은 경영난을 겪다가 공개 매각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배달 플랫폼 요기요와 배달대행 플랫폼 메쉬코리아는 자금소진을 이기지 못해 대규모 구조조정을 시행했으며 극심한 사업 경쟁력 훼손을 감당해야 했습니다. 최근에는 세탁대행 플랫폼 런드리고, 농수산물 플랫폼 트릿지와 그린랩스가 재무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