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를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것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택경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글에서 초기 팀구성을 위해 공동창업자를 찾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번 편에서는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디어는 어떻게 비즈니스 모델이 되나 “목동인 조셉은 양들이 울타리를 넘어 이웃 농장을 망치는 바람에 매일 꾸중을 들었다. 그러던 중 양들이 장미덩굴 쪽으로는 접근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아버지와 함께 가시처럼 만든 철조망을 완성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고 철조망을 발명한 조셉은 엄청난 부자가 되었다.” 이 얘기는 ‘지우개 연필’과 함께 발명의 역사에서 유명한 사례이기에 아마 많은 분들이 들어봤을 겁니다. 이처럼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스타트업도 쉽게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아이디어 하나로 성공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 철조망 사례도 관련 특허로 성공을 거두었다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많이 왜곡된 일종의 ‘동화’입니다. 조셉이 60대에 특허를 취득하였는데 목동으로서 발명했다는 것도 뭔가 맞지 않고, 철조망을 처음으로 발명한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는 그 당시 다양한 철조망 특허들 중 가장 뛰어났던 것이죠. 이렇게 특허권 하나로 큰 성공을 거둔 사례는 주로 옛날 이야기이고, (철조망도 19세기 사례죠) 사업은 ‘발명’이 아니기 때문에 초기 아이디어보다는 이후 아이디어를 다듬고 실제로 사업을 진행하는 ‘실행력’이 성공에 더욱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