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의 폭우, 경제적 의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오건영님의 기고입니다. 하늘이 뚫린 것처럼 폭우가 왔었죠. 서울 전역이 물난리를 겪던 그날 다행히 폭우가 쏟아지기 시작할 무렵 집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1시간 정도 늦었어도 아마 교통 정체로 인해 상당한 고생을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뉴스를 통해서 보는 강남 일대 침수 현장은 정말 참혹했습니다. 제가 사는 지역의 중앙공원 냇가 역시 범람해서 도로까지 물이 올라왔죠. 아무쪼록 글을 읽으시는 독자분들께서는 비 피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지나간 일들보다는 앞으로 다가올 일들이 걱정이죠. 그래서인지 비가 온다고 하면 겁이 덜컥 나고 차를 가져가면 안 되겠다라는 생각을 계속해서 하게 되네요. 날씨 얘기를 조금 더 이어가 보도록 하죠. 한국에 내린 이번 비가 100년만의 폭우라고 하는데요, 갑자기 이런 현상이 왜 생겼을까..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기상청에서는 이번 폭우의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했죠. 100년 만에 나타난 현상이라면 이런 거대한 변화의 징후를 의심해볼 수도 있을 겁니다. 그렇지만 반면 이런 생각도 들죠. 이번이 이상 기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죠. 우연찮게 폭우가 과도하게 내렸는데, 그걸 어떤 기후변화와 같은 구조적인 이슈로 너무 확대 해석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 역시 사실입니다. 그런데요, 이런 기사들을 보면 얘기가 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