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을 해치지 않고 물가를 잡을 방법이 있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오건영님의 기고입니다. 2022년도 상반기가 거의 끝나갑니다. 올해 상반기는 참 많은 이슈를 남겨줬죠. 2008년도 이후 처음으로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깨진 반기였구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부담이 극에 달해 투자자들의 스트레스 역시 극심했던 시기였죠. 그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도 커졌구요, 역대급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미국 연준 역시 2000년 이후 볼 수 없었던 빅스텝(50bp인상)을, 그리고 94년 이후 볼 수 없었던 자이언트스텝(75bp인상)을 단행했죠. 올해 초 0% 수준이었던 금리가 어느새 1.75%까지 높아졌죠. 물가가 잡히는 순간까지 이런 빠른 스텝의 금리 인상을 이어간다고 하니 하반기 역시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최근 많은 분들이 하시는 질문은 인플레이션이 언제쯤 끝날 것 같은가... 그리고 미국의 금리 인상은 언제쯤 마무리될 것 같은가... 로 모아집니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 때문이죠. 금리 인상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려면 인플레이션이 피크 아웃(peak out)하는 징후가 나타나 줘야 합니다. 그렇지만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실망감을 던져줬다시피 여전히 미국의 물가 지표는 강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죠. 물가가 쉽게 잡히지 않는다면 연준 역시 물가가 잡힐 때까지 더욱 강한 스텝을 가져갈 수밖에 없을 겁니다. 0.25%p와 0.5%p 패키지를 던졌음에도 꿈쩍도 하지 않는 인플레이션을 보면서 연준은 0.75%p의 자이언트 스텝 금리 인상을 단행했던 거죠. 그럼에도 잡히는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면 더욱더 빠른 스텝업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문제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물가를 잡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물 경제의 둔화를 야기할 수 있는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인플레이션은 성장을 인질로 잡아서 연준 앞에서 인질극을 벌이고 있는 상황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