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미분류
핀테크의 핵심은 '금융 정보의 자기결정권' 보장이다
#장면 1 우리나라 은행 창구에 가면행원 앞에 앉아서뭔가 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는사람들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주로 대출을 받으러 온 사람들이죠. 은행이 가져오라고 하는수십 개의 서류를 어렵게 준비해 오면 은행원은 뭔가 근엄한 표정으로자료를 살펴본 후 자료들을 복사합니다. 그리고는 행원만 볼 수 있는 컴퓨터로뭔가 매우 중요한 일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주로 대출자가 ‘돈을 빌려줘도 되는 사람인지은행 내부 자료와 외부 신용 평가 기관 자료’를살펴보는 것이겠지요. 문제는 이 과정에서 정작 ‘정보’의 소유자인금융 소비자는 철저히 배제된다는 것입니다. 도대체 저 행원은 무슨 정보를 보는 걸까?내 신용도는 얼마일까? 또 이 은행의 대출 상품이 정말 내게 가장적합한 대출 상품인지 알아볼 방법도 없습니다. 그저 초조하게 기다릴 뿐이죠. 이 상황이 과연 ‘고객’을 대하는‘기업’의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장면 2
최준호
2018-03-13
페북 알고리즘 개편이 '스튜핏'한 4가지 이유!
(사진=페이스북) 지난 1월 22일 페이스북은 한국 기자들에게 뉴스피드 랭킹 시스템 개편을 통보했습니다. 페북 측은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욱 의미 있는 소통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사 전체의 방향이 변했고 이에따라 뉴스피드 시스템 변경을 변경했다고 밝혔습니다. *뉴스피드 페이스북에 로그인해서 보이는 메인 섹션. 친구의 게시 글, 기업 페이지 글, 광고 등이 노출된다. 이 자료의 전문은 저희 자유게시판에 링크해뒀습니다. (참조 -페이스북, 기업 콘텐츠·신뢰도 낮은 뉴스 '확' 줄인다) 위 게시글이 올라간 후 페이스북 코리아 측은 '기업 계정 노출 하락, 광고하려면 돈 더 내라'라고 결론낸 제 해석에 오해의 소지가 있고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며 매우 정중하게 연락을 주셨는데요. 분명히 너무 짧은 글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왜 '결국 광고 단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 같다고 단언했는지 설명해 보려 합니다. 1. 주요 팩트 체크 일단 페이스북 측의 공식 발표를 인용해 페이스북이 현재의 뉴스피드 노출 알고리즘을 어떤 방향으로 수정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페이스북은 여러분이 보다 가깝게 연결되고 교류하실 수 있도록 만들어졌고, 이를 위해 친구와 가족과 나누는 소통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습니다" (중략) "최근 기업이나 브랜드, 혹은 매체가 게시하는 전체 공개 콘텐츠의 증가로 뉴스피드 상에서 친구와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진다는 분들의 의견을 전달 받을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업데이트가 적용되면 기업, 브랜드 그리고 언론이 게시하는 전체 공개 게시물은 뉴스피드에 덜 노출될 것 입니다"
최준호
2018-01-22
2018년 주목해야할 기술 트렌드 10
매년 뻔한 것 같아도 쫙 펼쳐보면막상 뻔하지 않은 내용입니다. IT 업계의 기획자, 개발자라면적응해야 하거나 적어도알고는 있어야 하는 내용이기도 합지요ㅠㅠ 2018년에 주목해야할 기술 트렌드입니다. 당장 내년 도입해야한다!는 것은 아니구요.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10개로 추려봤습니다. 1.비즈니스에 필요한 인공지능은? 약한 AI 가트너는 2016년에 낸 ‘2017 기술 트렌드’보고서에도 머신러닝의 진일보라는 제목으로딥러닝의 비즈니스 적용을 다뤘었죠.알고리즘 중 인간의 신경망을 심화시킨 것으로요. 올해엔 ‘딥러닝 적용-용도’가 이슈입니다.비즈니스에 범용(강한) AI가 적합한가,특정 목적을 위한 약한 AI가 맞는가의 문제죠. 가트너는 후자가 적합하다고 이야기합니다.예를 들어 통번역에서 언어를 이해하거나통제된 환경에서 자율주행차를 움직이는 AI죠.범용은 학계, SF 소설가에게 맡기라고 하네요. 기업들은 안그래도 특정 목적으로AI를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모읍니다. 세계 59%의 영리/비영리 조직이약한 AI 전략을 세우기 위해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답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분석을 하는 AI켄쇼는 알고 싶은 것의 키워드만 입력하면수분 안에 검색, 분석, 브리핑을 해줍니다. 또한 과거 유사한 상황에 대한시장의 반응을 찾아서 투자 실적을예측하는 결과물을 내놓는데요. 골드만삭스가 약 550억원을 투자했고,리포트를 작성하는 데도 사용 중입니다.최대 주주이자 주요 고객인 셈입니다.
장혜림
2017-11-21
왕훙도 이젠 MCN 시대(2편)- 차별화 전쟁
이번 편은 지난 MCN 종합편에 이어‘한우물만 파는’ 중국 MCN을 소개하겠습니다. 한 우물만 파는 <버티컬형> 지난 편에 소개했던 종합형 MCN들도최근 패션, 음식, 뷰티 등 버티컬 내용을 다룹니다. <버티컬하다>는 것은 특정 전문 영역에서 더 깊숙하게 하나만 판다는 것을 의미하죠. 버티컬한 왕훙 IP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바로'전문성'에 기인한 높은 진입장벽과수익 창출이 쉽다는 데 있습니다. 버티컬 MCN은 일종의전문가 집단 같은 개념인데요. 이들의 연대는 콘텐츠 제작면에서더 높은 퀄리티를 뽑아낼 수 있고 한 업종의 광고주들과 꾸준히 관계를유지하며 규모를 키우고 있습니다. 결국엔 콘텐츠와 왕훙이 난무하는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 집단으로 성장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는 것이죠. 음식만 하는 르르주(日日煮) 지난 7월 르르주는 알리바바가 주도로 하는168억원(1억 위안)의 시리즈B 투자를 받았습니다. 르르주는 홍콩 유명 증권사 출신의노르마(Norm) 대표가 2012년부터재밌는 요리 동영상을 만들기 시작하며만든 브랜드였습니다. (사진=르르주) 중국의 SNS와 동영상 플랫폼에 요리 콘텐츠를 가장 빨리 선보인 왕훙 IP 제작자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2017년 구글 하드웨어 행사를한 문장에 담은 제목입니다. 구글이 10월 4일(현지 시간)샌프란시스코에서 하드웨어를발표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여덟 개의 하드웨어를 새로 냈네요. 1. 구글 홈1-1. 구글 홈 미니1-2. 구글 홈 맥스2. 픽셀북3. 픽셀폰 2 / 2XL4. 데이드림뷰5. 픽셀 버즈6. 구글 클립스 제품을 바로 소개하기 전에순다 피차이 구글 CEO의 큰 그림과,이를 구현해나가는 릭 오스털로하드웨어 선임 부사장의 시각을좀더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합니다. 구글이 본격적으로 하드웨어를수입원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시점으로 보자면 지난해(2016년)부터고요. 따라서 이 거대한 소프트웨어 회사가어떤 모습으로 진지하게 하드웨어에접근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섭니다. 우선 순다 피차이 구글 CEO는하드웨어+AI+소프트웨어의유기적인 연결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만들고 싶은 비전으론생활이 기술에 적응하기보다는기술이 생활에 스며드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이미 매일 쓰는 구글의 핵심 제품들에AI를 적용해서 의식할 필요조차 없이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만들겠단 것이죠. 구글 번역기의 언어 수를 늘리는 것부터머신러닝이 캘린더에 저장된 일정들을 보고다음주 월, 화요일에 사용자가 무엇을할지를 예측해서 액션을 취하는 것까지. 그리고 인도 등 인터넷을 처음 접하는 인구가많은 나라에서 구글 맵스와 이미지 인식 기술로집 번지수를 정리,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주는,국가 차원의 큰 일까지. 피차이 CEO는 키노트 첫 무대에서이렇게나 크게 청사진을 늘어놨고요.
장혜림
2017-10-04
인스타그램, 스냅챗 제대로 보고 비교하기
스마트폰 시대,넥스트 페이스북이 있을까요?있다면 어느 플랫폼일까요? 인스타그램과 스냅이지금까진 그나마 유력할텐데요.그래서 둘의 비교 기사는 늘 주목받습니다. (참조 – 10대는 페이스북을 안 좋아합니다) 둘은 사실 태생부터 다릅니다.CEO들의 철학도 다르고요.그리고...공교롭게도 페이스북에 팔린 회사,페이스북에 팔지 않은 회사로 나뉘네요.^^; 이 유력한 두 플랫폼을,제대로 비교해보려고 합니다.간단히 표로 시작해볼까요? 두 서비스의 시작과 철학 케빈 시스트롬 CEO는 2010년,웹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버번’이었습니다.위치 체크인이 핵심 기능인 서비스였죠. 당시 체크인은 혁신적이고,미래를 좌우할만한 기술이었습니다.이 기술은 ‘좌표 찍어줘’ 서비스로 구현됐죠.대표적으로 포스퀘어가 있었습니다. “지금 어디어디 있는데, 근처에 있거나원하는 사람들은 와서 같이 놀자”는 거죠. 그런데 이것만으론 “쿨하지 않아서”,아이폰 성능이 매년 놀랍게 좋아져서,또! 덕분에 앱 경제가 부흥해서,서비스에 변화를 주기로 합니다. 사진과 스마트폰 위치 추적을십분 활용하기로 한 겁니다. 어차피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니까여기저기 좌표를 찍을 수 있고요.사람들은 예쁜 사진을 좋아하니까요. 이를 반영해서 웹서비스를앱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름도 바꿨죠.
장혜림
2017-08-24
카카오톡을 통해 아웃스탠딩을 구독하세요!
안녕하세요. 얼마 전 회사에좋은 소식이 하나 생겼습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채팅 옆에'채널'이라는 콘텐츠 카테고리가 있잖아요. 이것을 뉴스피드 및 페이지 형태로여러 모바일 콘텐츠 기업에 개방을 했는데영광스럽게도 아웃스탠딩이 들어갔습니다. 이로써 독자님들은 카카오톡을 통해서도아웃스탠딩을 접할 수 있게 됐습니다. 콘텐츠는 랜덤으로 뜨는 식인데요. 만약 페이스북과 마찬가지로즉각 즉각 구독을 하고 싶다면지금 바로 휴대폰을 꺼내시고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르시면 됩니다. ^^ 1. 플러스친구 검색 '친구찾기'에서 아웃스탠딩을 검색하시면홈으로 들어갈 수 있는데요. 상단 ‘친구맺기’를 누르시면 되겠습니다. 2. 아이콘 클릭 이것은 또다른 방법입니다. 채널에 노출된 콘텐츠 아래를 보면홈으로 바로 갈 수 있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1...6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