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우리나라 가계자산의 부동산 편중은 늘 지적되어 오던 것입니다. 2018년 한국은행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 따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약 8726조원)’ 중 약 75%는 주택 및 주택 외 부동산으로 집계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약 25%를 차지하는 순금융자산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보험과 예금이 2/3가량을 차지하고, 나머지 1/3가량이 증권이나 펀드 등에 가입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참조 -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작성 결과) 하지만 이러한 흐름은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점차 변화의 바람을 맞이하고 있는데요. 암호화폐는 물론 최근 잇따라 진행되고 있는 기업공개(IPO)에 대한 관심 등을 고려하면 변화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부동산의 경우 안전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고 비교적 자산 가치의 등락이 크지 않지만, 암호화폐나 주식 등은 단기간 가치의 등락이 커서 제대로 알지 못하고 투자하면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가치 우선 암호화폐의 경우 자산 가치를 측정하기 쉽지 않습니다. 작년에 기록적인 실적을 보여줬던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자산 가치는 다른 자산과 낮은 상관관계(Low correlation)를 갖습니다. 비트코인은 주식(S&P500), 채권, 금이나 원유, 신흥국 통화 등 전통적인 자산과는 별로 관련이 없는 가치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물론 포트폴리오 구성 차원에서 주어진 투자금액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투자 자산에 포함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만 암호화폐 자체로 가치를 평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찰리 멍거(Charlie Munger) 같은 투자자는 암호화폐에 대해 극도로 경계하는 의견을 제시하곤 합니다. (참조 - 버핏 단짝 멍거 “비트코인 역겹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