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코는 NHN엔터에게 회사미래일까, 돈낭비일까
요즘 NHN엔터가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코'에 어마어마한 돈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최근 자회사 분할 후 외부로부터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는데요. 일단 NHN엔터의 대주주인 이준호 의장이 500억원을, 거대 유통회사인 GS홈쇼핑이 500억원을, 벤처캐피탈인 한화인베스트먼트가 250억원을 넣었습니다. 합치면 무려 1250억원입니다. 투자조건을 살펴보면 회사 벨류에이션은 대략 5200억원, 세 개 투자자 집단이 23.8% 지분을 가져가며 리픽싱 옵션이 들어간 전환우선주입니다. *리픽싱 실적 및 기업가치 변화에 따라 주식 전환비율을 달리 하는 것. 만약 추가로 증가할 때 이전보다 싼 가격으로 주식을 발행하면 같은 조건으로 전환비욜을 조정할 수 있음. (참조 - 보통주, 우선주,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침조 - 초기기업의 유상증자는 어떻게 이뤄질까) 얼마 전 카카오페이가 알라바바로부터 2300억원 투자를 유치했을 때 산정 기업가치가 6000억원이었으니 거의 여기에 비등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사실 NHN엔터는 이전에도 페이코에 어마어마한 돈을 쏟어부었는데요. 일단 초기 개발비용이 들어갔고요. 2015년 서비스 런칭에 맞춰 2732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는데 이중 1200억원을 페이코 마케팅에 활용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지금까지 700억원 가량을 썼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