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로켓그로스 진출의 3가지 의미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효선님의 기고입니다. 쿠팡이 지난 3월 로켓그로스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로켓배송의 범위를 넓혀 중소상공인들도 상품 입고만 하면 물류 서비스 전체를 제공받도록 한 것인데요. 기존 로켓배송은 쿠팡이 상품 물량을 직접 매입하고 물류 창고에 보관, 판매해 수요가 적은 중소상공인들이 이용하기 어려웠죠. 로켓그로스 서비스는 중소상공인이 상품 입고만 하면 로켓배송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또한 기존 로켓배송의 범위 확장으로 그동안 언급됐던 쿠팡의 물류 업계 진출이 가속화될지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참조 - 쿠팡 마켓플레이스) 쿠팡이 로켓그로스를 내놓은 이유는 작년 실적의 매출 성장이 부진했던 점에서 유추해볼 수 있는데요. 2022년 매출은 26조 5917억원, 영업적자는 1447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10분의 1 이하로 줄었으나 흑자 전환 이후 매출 증가 폭이 전년 대비 12%에 그쳤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신사업도 다소 부진한 상황이라 커머스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하고, 그간 공을 들인 물류 시스템을 활용한 수익성 강화가 필요한 시기가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출 로켓 성장을 이끌 로켓그로스 결론적으로 보면 로켓그로스가 수익 개선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쿠팡은 지난 5월 10일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보다 20% 늘어난 58억 53만달러(약 7조 3990억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냈다고 공시했는데요. 특히 커머스 순매출은 5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습니다. 로켓그로스 출시 직후 이룬 의미 있는 성과라 올해 이룰 성장도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로켓그로스를 자세히 살펴보자면, 기존 쿠팡 배송 방식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