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들이 앱에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이유
*이 글은 외부필자인 길진세님의 기고입니다. 국내에서 평범한 월급쟁이로 살아가다 보면 금융 관련해서는 다 비슷비슷한 UX를 가지게 됩니다. 계좌는 보통 대학교 학생증 체크카드 만들면서 처음 만들고, 처음 입사하면서 신용카드 만들고, 와이프 몰래 주식하려고 마이너스 통장도 만들고 집 구매 시점이 되면 거액의 (?!) 대출을 받고자 은행문을 두드리게 되고 주담대나 신용대출 잔금을 보며 회사님 충성충성하며 살게 되는.. 아마도 대부분의 월급쟁이의 삶이 이럴 겁니다. 이 틈바구니에서 제가 속해 있는 카드산업속의 카드사 앱들도 고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고객님이 우리의 카드와 서비스만 쓰게 할까 어떻게 하면 우리 앱 안에서만 붙잡아 둘 수 있을까' '강제구동이 아닌 자가구동을 어떻게 하면 높일 수 있을까' 같은 고민이죠. 물론 이런 고민은 카드사만 하는 건 아닙니다. 모바일 앱 비즈니스의 근간이고 관련된 지표들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오히려 카드사의 이런 고민은 다른 산업군에 비하면 늦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카드사들의 앱 전략의 변화가 눈에 띄는데요. 오늘은 몇몇 카드사들의 이런 노력을 짚어보고 인사이트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신한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