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커뮤니티' 검색결과
브랜드 콘텐츠 '광고'와는 달라야 합니다.. 브랜드 콘텐츠로 세계관 만들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정훈님의 기고입니다. 요즘 콘텐츠를 브랜딩과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마케팅에 있어서는 다소 보수적이라는 금융권에서도 콘텐츠에 관심이 많죠. 토스의 경우 '토스피드', 카카오뱅크의 '돈이 되는 이야기' 등이 대표적이고, KB 국민은행도 '스토리가 있는 금융'을 선언하고 웹드라마를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광고만으로는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죠. 지난번에 '우리 브랜드를 어떻게 프레이밍할 것인가?'하는 내용으로 이야기했는데, 이번 글에서는 우리의 브랜드 프레임을 어떻게 소비자들과 소통할 것인가의 방법으로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참조 - 브랜딩은 프레임 싸움이다) 혹시 콘텐츠는 '우리 회사랑은 관계없는.. 큰 회사들이나 하는 마케팅 방식 아닌가' 생각하는 회사들이 계실까봐 미리 말씀을 드리자면, 제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콘텐츠는 유튜브나 TV 영상이나 광고 같은 것만을 의미하진 않으니 끝까지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브랜드 콘텐츠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우리가 이런 브랜드 콘텐츠에 가진 선입견에 대해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이유로 브랜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랜드 콘텐츠에 대한 오해 첫째는 결국 브랜드 콘텐츠 역시 '광고'라는 인식입니다. 광고 좀 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보통 빈도와 횟수를 중심으로 효과를 측정합니다. 총 몇 번 노출(Impression)이 되는가, 그리고 얼마나 자주 노출되는가(Frequency) 같은 수치들이죠. 그래서 가장 잘 보이는 시간에 핵심 타깃에서 적절하게 노출을 해주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최정훈
브랜드 칼럼니스트
2023-02-16
디스코드는 왜 GAS 앱을 인수했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신필수님의 기고입니다. 디스코드가 소셜미디어 앱 가스(Gas)를 인수했습니다. 지난 1월 메신저 서비스 디스코드(Discord)는 SNS 앱 가스(GAS)를 인수했다고 밝혔는데요. (참조 - WELCOMING GAS TO DISCORD) 이번 인수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기 전에, 두 서비스를 간략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디스코드는 일명 '게이머들을 위한 슬랙'이라고 불리는 메신저 서비스입니다. 물론 게이머 전용이라고 하기엔 사용자층이 다양해지긴 했지만, 아직까지는 게임할 때 특히 많이 사용되는 메신저입니다. 슬랙과 비슷한 기본 구조에 보이스챗, 커뮤니티 관리, 스트리밍 기능 등 게임에 특화된 여러 기능이 붙어 있습니다. GAS는 2022년 8월에 론칭한 익명 기반의 SNS입니다. 미국 10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앱의 이름은 '칭찬, 지지와 격려를 줘 다른 사람의 자존감을 북돋아준다'는 의미의 슬랭인 '가스'에서 따온 것인데요.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위치 정보를 통해 내가 다니는 학교를 인증하면 익명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 학교 2학년 남자아이 중 가장 잘생긴 아이는?' '옷을 제일 잘 입는 아이는?'처럼 10대들이 관심 있어 할 만한 질문들이 나오고, 우리 학교 학생들의 실제 이름이 객관식 보기로 나옵니다. 보기의 이름 중 한 명에게 투표하면, 어떤 친구가 가장 많은 표를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익명 기반의 인기투표' 느낌이라고 보면 됩니다. 또, '가장 못생긴 아이는?'같이 남을 흉보는 주제는 다루어지지 않습니다. 긍정적인 투표만 제공해 참여자들이 서로 칭찬하는 분위기를 유도합니다.
신필수
2023-02-13
2023년 1월 신규 투자 유치 스타트업 TOP 20
이번 달에도 돌아온 월별 신규 투자 유치 스타트업 리포트입니다! 벌써 한 달이 지나갔습니다. 지난 2023년 1월 한 달 동안에는 과연 어떤 스타트업들이 투자를 유치했을까요? 화제성이 높은 경우만 모아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자 금액이 큰 순서대로 20건만 다루기로 했습니다. 공동 20위가 발생한다면 그 기업들은 모두 순위에 포함했고요. 그 외 집계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투자 유치 소식을 최초로 발표한 시점을 기준으로 집계했습니다. 따라서 해당 월 이전에 투자를 유치했더라도 해당 월에 투자 소식을 발표했다면 집계 대상에 포함했습니다. 또한 언론에 투자 정황이 보도되었더라도 아직 투자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신주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경우만 투자 유치로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따라서 전환사채, 구주 인수, 벤처대출 등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3) 집계 대상 기업의 기준은 아래와 같이 정해 보았습니다. - 스타트업이란 혁신 기반의 초기 기업을 뜻합니다. - 상장하거나 매각된 경우는 초기 기업이라는 기준에 맞지 않으므로 제외했습니다. - 대기업의 자회사까지 포함하면 너무 방대해지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단, 스핀오프(분사)된 회사나 조인트벤처(합작법인)의 경우 지배구조상 자율성이 보장되고 비즈니스 행보에 스타트업 요소가 많다면 포함하겠습니다. - 업력이 20년 이상이면 제외했습니다.
조혜리
2023-02-09
직원들의 '소속감'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글은 외부필자인 박광현님의 기고입니다. 저는 회사에서 재무 담당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은 소속된 조직의 CA로 활동하면서 조금 특별한 한 해를 보냈는데요. CA는 '변화 관리자'를 뜻하는 'Change Agent'의 약자입니다. 조직문화 전담 부서와 별개로 각 단위조직에서 선발되어서, 소속 부서의 문화적인 개선 과제를 자발적으로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요즘은 많은 기업들이 CA를 운영하면서 조직문화 개선에 있어 구성원들의 주도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다수 기업들이 갖는 공통된 고민은 단연 '소속감'입니다.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 역시 어떻게 하면 직원들을 업무와 조직에 더 몰입시킬 수 있을까 하는 것이 가장 큰 고민입니다. 1년 동안 CA로서 진행했던 일들이 그렇게 대단하진 않았지만, 그저 조직의 케어와 인정을 바라는 개인이었던 제가 구성원의 몰입을 독려하는 입장이 되어보는 일은 '소속감'이라는 주제를 조금 더 관심있게 바라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 작은 경험과 더불어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높이기 위해 가져야 할 관점에 대한 얘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인간관계에 관심이 적은 MZ세대? 팀장: 엠제트 특, 상사는 퇴근도 안 했는데 혼자 칼퇴함~ 팀원: 엑스세대 특, 퇴근 전에 꼭 일시킴… 팀장: 엠제트 특! 조직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음!
박광현
2023-02-08
현지 창업 vs. 플립(flip).. 글로벌 진출 해법은 무엇인가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은 다양하죠. 비즈니스의 종류나 스타트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글로벌 진출의 해법은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글로벌 진출 방식을 열거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우선 센드버드, 스윗 등이 해서 주목 받은 플립(flip) 방식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국내 본사를 해외로 옮기는 법인 전환입니다.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노리고 현지 창업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밖에 본사는 한국에 두고 현지에 지사를 설립하는 방식도 있겠고요.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원격으로 현지 고객을 확보하는 것도 글로벌 진출의 한 방식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각 방식의 특징과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글로벌 진출을 시도해온 스타트업과 VC 업계를 취재해 알아봤습니다. 플립(flip) 최근 몇 년 사이 크게 주목 받은 플립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플립을 하는 이유나 장점은 다음과 같은데요. 우선 해외 자본을 유치하는 데 플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내 스타트업이어서 해외 VC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플립을 하는 편이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톱 엑셀러레이터인 와이콤비네이터는 미국 회사가 아니면 투자를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죠. 이 때문에 와이콤비네이터에 선정돼 플립을 하는 스타트업이 적지 않습니다.
'브랜드와 유튜버의 콜라보' 진화하고 있는 PPL 3단계
*이 글은 외부필자인 서양수님의 기고입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어떤 콘텐츠를 제일 재미있게 보고 계신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SNL 시리즈를 꼽습니다. 독한 개그뿐만 아니라 스타들의 의외의 모습이 좋아요. 그중 MZ오피스는 뼈 때리는 공감 대사 때문에 숱한 패러디와 이슈를 만들기도 했죠. SNL 정치풍자 코너는 또 어떤가요. 표정까지 모사하는 걸 보고 '얼굴 갈아 끼웠다'는 평이 있을 정도였죠. SNL에서는 버릴 코너가 하나도 없다는 말이 사실 같아요. 그런데 저는 그중에서도 유독 눈에 들어온 코너가 있었는데요. 바로 PPL을 소재로 한 '고지전' 편입니다. 대략적인 구성은 이렇습니다. 긴박한 전쟁 씬에서 동료를 잃은 전우들이 울부짖죠. "혁아! 너 죽으면 안 돼! 전쟁 끝나고 대학 가서 공부하기로 했잖아! 혁아~!!" 그렇게 혁이의 죽음 속 슬픔에 빠진 이들이 갑자기 CM 송을 부릅니다. "한국 사이버 대학을 나와서 나의 성공시대 시작됐다~" 그것도 아주 진지하게 말이죠. 중저음의 화음까지 넣어가며 떼창을 하는 모습에 빵 터지게 됩니다. 물론 이건 진짜 PPL은 아니에요. 그냥 눈치 없이 튀어나오는 PPL을 개그 소재로 활용한 것뿐이죠.
서양수
'유튜브 마케팅 인사이트' 저자
2023-02-07
리더에 귀천은 없다, 아니, 없어야 한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신현규님의 기고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문기자를 하다가 현재 실리콘밸리에서 '글리터'라는 새로운 공론장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공동창업자 신현규라고 합니다. 이번이 두 번째 원고가 되겠네요. 저는 한국에서 일할 때 '리더십'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실무에서는 뛰어났던 사람이, 리더가 되니 Dog판으로 일하는 경우도 있었고, 반대로 실무에서는 별로였지만 리더가 되니 진가를 발휘하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런 고민을 많이 했었습니다. "만일 내가 리더가 된다면, 어떻게 일하는 것이 좋을까?" 그리고 주변에 많이 물어봤죠. 하지만 특별한 해답은 없었습니다. 거의 이런 답이 대부분이었죠. "리더는 학교 다닐 때 반장 같은 거지. 돌아보면 반장 될 친구들 정해져 있잖아? 카리스마 있고, 비전 있고, 말 잘하고. 리더 될 사람? 그거 딱 보면 알지 않아?" 저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했었습니다. "아…카리스마, 비전, 달변… 나하고는 거리가 멀구나….. 나는 리더가 되긴 글렀나 보다" 그런데, 저는 2019년 미국에 와서 한 가지 놀랐던 사실이 있습니다. 의외로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리더가 될 사람이 미리 정해져 있다고요? 터무니 없는 소리 마세요 그런 게 어딨어요!"
신현규
2023-02-06
글로벌 소셜미디어의 초기 유저 확보 3가지 전략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이재하님의 기고입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핀터레스트, 링크드인, 클럽하우스. 이들은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글로벌 소셜미디어 서비스입니다. 평소에 숨 쉬듯 당연하게 우리 곁에 자리해 온 서비스이지만, 이러한 큰 규모의 글로벌 서비스들이 초기에 어떻게 유저를 확보했는지에 대해서는 막상 생각해 볼 일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소셜미디어는 이용자가 많을수록 그 가치가 높아지는 '네트워크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는 분야이다 보니, 새롭게 시작하는 스타트업이 어떻게 그 가치를 많은 유저에게 전달하며 성장했을지 상상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처럼 많은 유저를 확보하고, 엄청난 규모의 기업가치를 자랑하는 기업들도 처음에는 작은 스타트업에 불과했습니다. 이들 역시 현재의 많은 스타트업들처럼 다양한 전략을 시도해 왔는데요. 지금 이 순간에도 초기 유저를 확보하고 커뮤니티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스타트업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오늘은 글로벌 소셜미디어 서비스들이 어떤 방식으로 초기 유저를 확보해 대중적인 서비스로 가는 첫 단추를 꿰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서비스가 다양한 성장 전략을 교차해서 사용해 왔지만, 그중 가장 초기 유저 확보에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되는 전략을 중심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폐쇄적인 커뮤니티 구축 가장 정석적인 방식으로 여겨지는 방법은 처음부터 대중을 타깃으로 삼지 않고,
이재하
2023-02-06
만수르 재산 10배 빈 살만 왕세자가 K-콘텐츠에 꽂혔다?.. 사우디국부펀드 이야기
최근 재밌는 투자 유치 소식이 있었죠. 바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1조 2000억원 규모의 해외 자본을 유치했다는 소식인데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인 퍼블릭인베스트먼트펀드 (Public Investment Fund/PIF)와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 소유 투자사 피랩인베스트먼트로부터 각각 6000억원의 자금을 수혈받았습니다. (참조 - 1.2조 투자 유치한 카카오엔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까?) 이 투자 유치 소식은 국내 콘텐츠 기업이 해외 투자금을 끌어온 사례 중 역대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어요.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물론이고 문체부에서도 'K-컬처의 위상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면서 한껏 고무된 분위기입니다. 이번에 투자를 집행한 싱가포르투자청은 2019년부터 야놀자, 토스, 우아한형제들 등에 잇따라 대규모 투자금을 집행하면서 일찌감치 국내 스타트업계의 '큰손'으로 떠오른 바 있습니다. 아웃스탠딩에서도 이 싱가포르투자청에 대해서 다룬 바 있죠. (참조 - 스타트업계 떠오르는 글로벌 큰손 '싱가포르투자청(GIC)')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PIF 또한 빵빵한 오일머니와 함께 말 그대로 큰손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PIF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이전에도 한국 기업에 여러 차례 투자한 바 있어요. 대표적으로 넥슨에 2조 4000억원, 엔씨소프트에 1조원을 투자해서 각 사의 2대 주주에 올라있습니다. 이번에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다시 한번 조 단위 투자를 하면서 PIF가 K-콘텐츠에 단단히 꽂힌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죠.
암호화폐는 미래의 디지털화폐가 될 수 있을까?
*이 글은 외부필자인 류경석님의 기고입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고강도 긴축, 여러 가지 사건사고들로 인해 크립토 시장은 유래 없는 겨울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서 자산시장의 애물단지로 전락한 암호화폐. 과연 크립토 시장은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고 미래의 디지털 화폐가 될 수 있을까요? 박상기의 난과 개인적 체험 2017년으로 잠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2017년은 코인 광풍이라는 표현이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전국민이 코인에 열광한 한해였습니다. 매스컴에서는 연일 비트코인이 최고점을 돌파했다는 보도가 흘러나왔고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비트코인과 관련된 각종 해학적인 유머가 쏟아졌습니다. 누구는 얼마를 투자해서 몇 배 수익이 났다느니 같은 소식은 너무 식상할 정도였죠. 그때 분위기는 뭐랄까 코인 안 하면 바보 취급받던 그런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2018년 1월 11일.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암호화폐 금지법안을 준비하고 있다는 속칭 박상기의 난이 일어납니다. 여기까지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박상기의 난과 1차 암호화폐 파동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박상기 장관을 암호화폐 폭락의 주범이자 장본인으로 기억하고 계신데요.
류경석
2023-02-03
메타버스 '경험',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지윤님의 기고입니다. 2022년 내내 책 원고를 쓰고 있었습니다. 주제는 '메타버스'입니다. ..혹시 이 두 문장만으로도 벌써 김이 팍 새는 기분이셨나요? "또 메타버스? 메타버스무새가 난무한다~~" "메타버스 정의, 메타버스 사례, 뭐 그렇고 그런 뻔한 내용이겠네요" 메타버스 관련 논의가 코로나 이후에도 주구장창 이어졌으니 이렇게 염증을 느낄 법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메타버스는 혹시 VR뿐이지 않나요? 3D 그래픽에 불과한가요? 스마트폰, 혹은 PC 화면이 전부인가요? 메타버스가 '겨우' 그것뿐일까요? 제 근본적인 의아함은 이런 질문에서 비롯됐습니다. 언뜻 봐도 메타버스는 큰 단어인데 그 용례는 좁게 갇혀있는 듯했거든요. (참조 - 메타버스는 그저 저커버그의 취미일 뿐일까요?) 물론 메타버스를 연구하는 전문가는 훨씬 정확하게 광의의 개념으로 다루겠지만요. 저는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약간 다르게 보는 연습을 해왔습니다.
김지윤
스텔러스(Stellers) 창업자
2023-02-03
'메쉬코리아 사태'가 주는 시사점 두 가지
메쉬코리아 사태가 일단락되었습니다 메쉬코리아가 무슨 회사냐고요? 네이버, GS리테일, 현대자동차 등 유수의 대기업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고, 한때는 유니콘을 바라본다는 평가까지 받았던 물류 스타트업입니다. 하지만 최근 몇 달간 벼랑 끝에 놓인 것과 같은 재무 위기를 겪었고요. 경영진 간 극단적인 갈등 상황이 외부로 노출되기도 했습니다. 사무실이 폐쇄되었다며 이사회 장소를 옮기기도 했고, 유정범 의장이 자금을 출금해서 급여를 지급하지 못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는데요. 최근 주요 채무가 변제되었고 인수 주체가 hy로 사실상 결정나는 등 사태가 정리되어 가는 모양새입니다. 아웃스탠딩에서도 지난 10월 메쉬코리아의 위기에 관해 진단하는 기사를 쓴 적 있는데요. (참조 - 시리즈E까지 유치했던 메쉬코리아는 왜 위기에 처했을까) 이후 해당 사안이 어떻게 진행됐으며, 시사점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4개월간의 경영권 정상화 과정 메쉬코리아는 2022년 10월 경영권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식을 밝혔습니다. (참조 - 돈줄 마른 메쉬코리아, 결국 경영권 매각한다)
조혜리
2023-02-02
창업자가 반복해서 읽으면 좋은 책 다섯 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손종수님의 기고입니다. 우리는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고공행진하던 환율은 갑자기 힘을 잃었는데, 이자율은 여전히 고공행진하고 있고, 유럽의 전쟁은 끝이 보이지 않는 한편, 실내 마스크는 제한적 해제가 되고 엔데믹을 눈앞에 두고 있죠. 이런 시기에 리더가 할 수 있는 일은 뭘까요?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대기업이 보유한 자산도, 글로벌 브랜드가 가진 인지도도 없습니다. 만약 지금 창업이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 리더라면 그야말로 앞이 깜깜할지도 모릅니다. 어려울 때 기본으로 돌아가라는 말이 있지만 이런 상황의 기본은 뭘까요? 저는 그게 창업자의 축적된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역량을 축적하는 가장 좋은 시기는 지금이라고도 생각합니다. 연초에, 불확실한 환경에, 뭘 해야 할지 손에 잡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걸 해도 붕붕 뜨는 느낌을 받기 쉽습니다. 오늘은 이런 리더가 맞이할 수 있는 방황의 시간을 축적의 시간으로 만들어드릴 만한 책 5권을 추천해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초기 창업이나 큰 변화를 맞이하는 리더들의 상황을 고려해서 다음과 같은 주제로 선별했습니다. 1. 리더의 자기관리를 위해 2. 사업과 삶의 방향 설정 3.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4. 조직관리의 북극성 5. 실용적이면서 본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물론 같은 창업자인 저도 여러 번씩 읽은, 어려울 때마다 힘을 주는 명저들입니다. (편의상 작가 호칭은 생략합니다.) 1. 리더의 자기관리를 위해
손종수
브라운백 주식회사 CEO
2023-02-02
컨슈머인사이트 리포트를 통해 본 '금융앱의 미래'
*이 글은 외부필자인 길진세님의 기고입니다. 금융권, 핀테크 업계 동향을 보다 보면 여러 가지 통계나 설문결과를 접하게 됩니다. 그런데 오랫동안 보다 보면 '이것도 꼭 현실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구나' 라는 걸 알게 됩니다. 조사 방식과 문항으로 편향성이 생길 수도 있고, 조사의뢰처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으며, 나온 결과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해서 결과를 발표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흔히들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본다고 하는데,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줄 수도 있는 게 바로 통계나 기사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업계에 오래 있다 보니, 이제는 이런 자료들을 보면 '왜 이걸 이렇게 만들었구나, 어떤 결과가 필요했구나' 이런 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자료가 나오면 그냥 받아들이기보다는 매의 눈초리로 보게 되는데요. 컨슈머인사이트의 작년 말 금융리서치 자료는 보고 나서는, 꽤 느낀 바가 컸습니다. 짧은 자료였지만 평소에 현업에서 느끼던 점들이 의외로 녹아 있었거든요. 오늘은 이 자료를 바탕으로 금융앱 현황 관련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컨슈머인사이트의 2022년 12월 '금융앱 이용 만족도 종합 순위' (참조 - 카카오뱅크, 토스, 뱅크샐러드 1점차 안팎 대경합) 컨슈머인사이트는 22년간 리서치 사업을 쭉 해 온 데이터 제공기관입니다. 자동차, 금융, 이동통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조사자료를 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자료는 '2022년 금융 앱 이용 만족도 종합 순위'로 이 업체에서 매주 조사한 자료를 수합하여 낸 통계라고 합니다.
길진세
작가, 한국금융연수원 교수
2023-01-30
스위트바이오 대표가 노점을 국내 1위 그릭요거트 회사로 키워낸 사연
"처음에 테스트용으로 만든 제품을 여의도 길거리에서 팔아보기 시작했는데요" "첫 날은 사람들에게 다가갈 용기가 없어서 길거리를 빙빙 돌기만 했습니다" "팔려고 가져간 제품들을 그대로 집으로 가져왔죠" "그 다음에는 비교적 사람이 적은 여의도 공원에서 가서 팔아봤어요" "그 다음에는 점점 더 용기를 내서 역과 가까운 첫 직장 근처에서 장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전 직장 동료들이 와서 사 주시기도 하고 가게에 조금씩 납품도 하면서 그렇게 1년 정도 테스트 기간을 거쳤어요" (스위트바이오 오종민 대표) 혹시 그릭요거트가 어떤 제품인지 아시나요? 그릭요거트는 그리스와 같은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만들어 먹는 전통방식의 요거트인데요. 인공적인 첨가물 없이 원유를 발효시켜 만들죠.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요거트보다 고소하고 꾸~덕한 맛이 특징입니다. 단백질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 다이어트식품으로 알려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그릭요거트를 마트, 매장, 온라인몰 등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어요.
국내 변호사 3명 중 1명이 쓸 만큼 인기.. 엘박스 인터뷰
최근 몇 년 사이 변호사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엘박스'인데요. 유료 구독 서비스임에도 무려 1만1000여명의 국내 변호사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변호사 수는 3만명이 조금 넘고요, 다시 말해 변호사 세 명 중 한 명은 엘박스를 쓰고 있다고 볼 수 있죠.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자 평소에 알고 지내는 한 변호사 지인에게 물어보니 "엘박스 없이는 일 못한다"고 말하더군요. 그렇다면 엘박스는 무엇을, 어떻게 제공하는 회사이길래 이처럼 큰 인기를 끄는 것일까요. 얼마 전 18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한 리걸 테크 스타트업, 엘박스의 이진 대표를 만나고 왔습니다. (참조 - 리걸테크 스타트업 '엘박스', 180억 원 시리즈 B 투자 유치) 엘박스가 변호사들의 선택을 받는 이유 "안녕하세요 대표님" "엘박스가 국내 변호사들에게 커다란 인기를 끌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왔습니다" "우선 간단히 회사와 대표님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반갑습니다, 엘박스의 이진 대표입니다" "엘박스는 2019년 5월 설립된 리걸 테크 스타트업이에요" "약 189만개의 판결문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고요" (2023년1월26일 기준)
넷플릭스가 '더 글로리' 시청자를 천천히 말리는 이유
"난 니가 시들어가는 이 순간이 아주 길었으면 좋겠거든" "우리 같이 천천히 말라 죽어보자. 나 지금 되게 신나" (문동은(송혜교 분),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 속 대사)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를 본 시청자들의 목이 말라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가 '더 글로리'를 두 파트로 쪼개서 파트1만 공개한 탓입니다. 갈증이 해소되려면 파트2가 공개되는 3월까지 기다려야 하죠. '더 글로리'는 어린시절 학교폭력을 당한 피해자 문동은이 가해자들에게 복수를 하는 이야기인데요. 김은숙 작가가 처음 선보인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이자,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 작품입니다. 송혜교를 비롯해 임지연 등 악역으로 나온 배우들의 호연으로 뜨거운 인기몰이 중입니다. 공개 이틀 만에 넷플릭스 시리즈 순위 세계 5위를 기록했고요.(플릭스패트롤 기준) 1월 2주차에는 2주 연속 국내 통합 콘텐츠 랭킹 1위에 올랐죠. (키노라이츠 기준) '더 글로리'의 흥행으로 넷플릭스는 신나게 파트2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참조 - 공개 이틀 만에 전세계 5위인데… '더 글로리' 제발 보지 마세요?) "넷플릭스 '더 글로리' 보지 마세요" (커뮤니티에 퍼진 글 중 일부) 전에 없던 시청자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파트2를 보기 위해 2개월 이상 기다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애플은 왜 '완전 자율주행 애플카'를 포기했을까?
*이 글은 외부필자인 박천욱님의 기고입니다. 애플이 자동차를 만든다는 건 이미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이 퍼져있는 오래된 이야기입니다. (참조 - Apple Car on track for 2026 release, under $100K price, custom chip, and no full self-driving at launch) 그런데 얼마 전 애플이 애플카 출시를 2026년으로 기존보다 1년 연기하고 완전자율주행은 포기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나왔습니다. 내용의 골자는 애플카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타이탄'의 계획을 대폭 수정한다는 것입니다. 당초 애플의 목표는 운전대나 페달이 없는 레벨 5단계의 완전 자율 주행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었는데요. 이 계획의 실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는 겁니다. (참조 - 자율주행차,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나) 물론 자율주행기술을 완전 포기하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 동작하는 수준으로의 변형이라고 봐야 할 듯합니다. 그 이유는 앞으로 출시될 애플카에 완전 자율주행이 탑재되는 것이 아니라, 고속도로에서는 작동하는 수준인 레벨3 수준으로 변경될 것이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즉, 운전자들은 고속도로에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할 수는 있지만 도심이나 기상 상황이 매우 나쁜 경우에는 직접 운전을 해야 합니다. 이 기술도 북미 지역에서 먼저 선보인 후에 다른 지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에 있다고 합니다.
박천욱
2023-01-20
하우스앱은 살아남기 위해 '숏폼'을 택했습니다
하우스앱은 더 이상 가구, 인테리어 분야가 아닙니다 가구, 인테리어 분야 앱 하면 떠오르는 앱이 있습니다. 바로 '오늘의집'인데요. (시작부터 위험한 타사 언급..)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10월까지 오늘의집의 평균 점유율은 89.165%입니다. (참조 - 1위와 2위의 차이가 압도적으로 큰 39개 업종 살펴보기(앱 MAU 기준)) 1위와 큰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2위 앱도 분명 있습니다. 바로 '하우스앱'이죠. 하지만 하우스앱은 더 이상 가구, 인테리어 분야에 속하지 않습니다. 2021년 6월 숏폼 리뷰 커머스로 재탄생했기 때문인데요. 성장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하우스앱의 매출은 2021년 13억원에서 서비스 전환 이후 2022년 100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연 거래액은 2022년 1000억원을 넘어섰고 누적 가입자 수도 300만명을 돌파했고요. 하우스앱이 기업의 명운을 걸고 피보팅(사업 전환)한 결과였죠. 인테리어 앱에서 숏폼 커머스가 되기까지 하우스앱은 2021년 6월 피보팅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경쟁사에 비해 성과가 부진했기 때문인데요. 가구, 인테리어 분야를 어느 정도 키운 다음 매각을 하느냐 혹은 추가 투자를 유치하느냐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섰다고 합니다.
"CheatGPT 되면 어쩌나".. OpenAI를 둘러싼 몇 가지 논란들
OpenAI가 ChatGPT를 출시한지도 두 달이 다 돼갑니다. 그동안 ChatGPT의 성능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는데요. 간단한 문서 작업부터 코딩까지 생각 보다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연일 증명되면서 많은 이들의 감탄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반면에 예상되는 해악이 만만치 않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아직은 구체적인 오남용 사례가 충분히 보고되지 않았지만, ChatGPT의 성능이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면 우려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건데요. 과연 ChatGPT 등 AI 서비스를 둘러싼 어떤 우려와 논쟁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heatGPT 되면 어쩌나.. 염려하는 교육계 교육계는 학생들이 수업을 듣거나 과제를 할 때 스스로 학습하는 대신 ChatGPT 활용한다면 학습 효과가 크게 저하될 거라고 우려합니다. 일부 미국 학교들은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는데요. 뉴욕시 교육부는 학교 기기와 네트워크에서 OpenAI가 출시한 ChatGPT 사용을 금지한다고 지난 6일(현지 시간) 발표했습니다. (참조 - ChatGPT banned from New York City public schools' devices and networks) ChatGPT가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금지 이유였는데요. ChatGPT를 통해 빠르고 쉽게 정답을 얻을 수 있는 건 사실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판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 배양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거죠. 그렇다면 ChatGPT는 정말 우리네 교육 현장에 위협이 될 수 있을까요? 이와 관련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의 IT 칼럼니스트인 조안나 스턴은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01biyMZjEo&t=333s
제품 없이 고객을 만나는 방법, '유저 인터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란경님의 기고입니다. "사람들이 원하는 걸 만드세요(Make People want)" 미국의 유명한 엑셀러레이터 Y-콤비네이터는 창업가에게 이 말을 반복해서 말한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즉 니즈가 없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선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우리가 만든 프로덕트를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런 의문을 해소할 수 있는 활동이 바로 '유저(사용자) 인터뷰'입니다. 유저 인터뷰(User Interview)는 스타트업 혹은 예비창업자가 최소 한 번쯤은 꼭 거치게 되는 활동 중 하나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우리 서비스/제품을 이용할 고객으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과정'입니다. 이름처럼 '유저(이용자)'에 집중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유저 인터뷰의 가장 큰 목표 자체가 '유저를 이해하기'입니다. 유저를 잘 이해해야 그들의 니즈도 더 잘 파악할 수 있고, 그들이 정말로 원하는 걸 만드는 길에 가까워질 수 있을 테니까요.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와 유저 인터뷰는 같은 개념 아닌가요?" 이 두 가지가 간혹 혼동해서 사용되므로 한번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성 테스트는 제품 개선 목적으로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는 테스트입니다. 사용자를 현장으로 불러와서 어떤 과제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김란경
2023-01-19
기프티콘 사고 팔 때 3대 중고거래 플랫폼 대신 니콘내콘 쓰는 이유
가벼운 답례나 기념일 선물 혹은 이벤트 리워드로 기프티콘을 주고받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었죠. 그런데 의외로 모든 기프티콘을 알뜰하게 쓰기란 힘든 일입니다.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브랜드가 우리 집 주변에 없을 수도 있고 내가 선호하는 브랜드나 상품이 아닐 수도 있어요. 그런 상황에 기프티콘을 '중고거래'할 수 있는데요. 중고거래 플랫폼에 기프티콘을 원래 가격보다 조금 싸게 올려놓는 것입니다. 판매가 이루어진다면 판매자는 안 쓰는 기프티콘을 현금화해서 좋고 구매자는 필요한 기프티콘을 몇 백원이라도 싸게 살 수 있어 좋죠. 하지만 기존의 기프티콘 중고거래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는데요. 우선 구매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기프티콘이 언제 올라올지 모르고요. 판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자가 언제 나타날지 모르죠. 가장 큰 문제는 중고거래 사기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기사용한 기프티콘을 판매하는 등 디지털 이미지로 이루어진 기프티콘은 사실 사기치기 너무나 좋은(?) 아이템이죠. 더블엔씨가 운영하는 니콘내콘은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는 국내 최초 기프티콘 중고거래용 플랫폼인데요. 성장세가 꽤 좋습니다. 2017년 서비스 출시 후 작년에 거래액 1000억원을 돌파했고요. 2020년에 매출 100억원을 넘겼으며, 2021년에는 약 180억원 매출을 냈습니다.
스타트업 대표들의 스트레스 해소법, 어떤 게 좋을까요? 전문가에게 물었습니다! (Feat. 가지랩)
지난 주 월요일 스타트업 대표 220명의 스트레스 해소법과 건강관리법을 모은 기사를 냈습니다! (참조 - 스타트업 업계 대표 220명의 스트레스 해소법과 건강관리 비결은?!) 제 입으로 이런 말 하긴 그렇지만 기사는 꽤나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고 커뮤니티 상에서도 큰 화제를 모았으며 주변으로부터 '아웃스탠딩이니까 가능한 콘텐츠' 라는 과분한 칭찬도 들었습니다. 그러나 원망섞인 의견도 있었는데요. "기자님...이렇게 긴 기사를 언제 다 읽어요? 요약본 좀.." "지혜야...너 솔직히.. 플렉스(Flex)하려고 기사 쓴 거 아니냐?" "마지막에 짧게라도 해석을 좀 해주시지.." 후... 제 생각이 짧았지 뭐에욤... 그래서 전문가의 시선으로 이 거대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실질적인 처방전을 내리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오늘의 인터뷰이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눔(NOOM)의 한국지사 및 일본지사 대표를 역임한 후 웰니스 큐레이션 플랫폼을 창업한 김영인 가지랩 대표를 모셨습니다! (참조 - 네이버·카카오 투자받은 가지랩, 13억 규모 브릿지 투자 유치) 김영인 대표는 창업자인 동시에 의사로서 일주일에 한 번은 스타트업 대표들을 실제로 만나 진료를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나이키, 스타벅스가 NFT와 운명의 단짝인 이유
*이 글은 외부필자인 조하나님의 기고입니다. 나이키가 NFT 결합 실물 운동화 '크립토킥스 iRL'를 내놓았어요. (참조 - 크립토킥스 iRL) 이 운동화는 M2E(Move to Earn - 움직이면서 돈 벌기)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보상 내용은 미공개) 만9000켤레 한정 당첨자 대상 판매로, NFT를 먼저 구매하고 올해 6월 실물 운동화를 받을 수 있다고 해요. 나이키는 얼마 전 NFT 거래 플랫폼 닷스우시를 출시하기도 했죠. (참조 - 닷스우시) 스타벅스(이하 스벅)도 NFT 활용 고객 보상 프로그램 '오디세이 체험판'을 내놓았는데요. (참조 - 스타벅스 오디세이) (참조 - 수수료, Z세대, 중국.. 3가지 키워드로 본 스타벅스 NFT) 그동안 별을 모으면 등급별 혜택을 받을 수 있었잖아요. (그래서 스벅 = 별다방) 이제 '별' 대신 NFT를 받을 수 있어요. 수많은 기업이 NFT에 발을 내딛고 있지만 나이키와 스벅은 확실히 달라요. 그저 트렌드를 흉내 내는 1회성 NFT 발행이 아닌 '판깔기'를 하고 있거든요. (제대로 꽂힌 진심 행보) 두 브랜드의 지난 마케팅을 살펴보면 NFT 찐사랑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답니다. 절대 금사빠가 아니라는 것! 먼저 스벅. 나는 스벅 굿즈가 고프다 - 헝거 마케팅 왜, 배고플 때 쇼핑하지 말라고 하잖아요. 뭐든 사고 싶어진다고. 헝거 마케팅은 물건을 한정적으로 풀어 시장이 배고픈 상태를 만드는 거예요. 공급을 줄여 판매를 늘리는 방식!
조하나
웹3 뉴스레터 '코넛' 발행인
2023-01-13
혁신사업체가 비혁신사업으로 돈을 버는 이유
국내 최대 스타트업인 비바리퍼블리카(토스)의 가장 큰 매출원은 뭘까요. 바로 결제대행(PG) 수수료입니다. 2021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무려 70% 비중을 차지하고 있죠. 토스는 2020년 LG유플러스의 PG사업부를 인수한 다음 자체 조직과 통합시킨 바 있는데요. 여기가 가장 큰 매출원인 셈입니다. PG비즈니스는 핀테크 분야에선 20년 전에 나온 모델이기에 조금 어색하게 보이는 게 사실이죠. 야놀자는 토스와 더불어 국내 최대 스타트업 중 하나입니다. 야놀자도 토스와 비슷하게 매출 중에서 IT비즈니스가 아닌 실내 인테리어 및 건축, 숙박비품 및 가구판매, 마케팅 대행 등 전통 비즈니스가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2019년만 하더라도 40%에 육박했죠. 야놀자는 성장과정에서 온라인 플랫폼과 브랜드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부가 비즈니스를 벌인 바 있습니다. 그러다가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2021년엔 그 비중이 20%로 떨어졌는데요. 그래도 여전히 작지 않습니다. 이처럼 대형 스타트업이 혁신 비즈니스나 본업보다는 비혁신 비즈니스나 부업으로 돈을 버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예컨대 국내 최대 프롭테크 스타트업 알스퀘어도 사무공간 검색 플랫폼을 통해 모객을 하되 실제 대부분의 매출은 공사 및 인테리어 대행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만의 '유바이크'는 어떻게 수익이 나는 공공자전거가 됐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마야님의 기고입니다. 서울에 사시는 분들은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시나요? 텅 빈 따릉이 거치대가 자주 보일 정도로 이용자가 증가했음을 최근 부쩍 체감하는데요. 그럼에도 따릉이는 여전히 적자입니다. 2019년 90억원, 2020년 99억원에 이어 작년에는 103억원으로 오히려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죠. 이에 따릉이를 운영하는 서울시설공단은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참조 - 서울 지하철·버스 요금 1500원대로↑… 따릉이도 2배 오른다) 사실 공유자전거 사업의 적자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겪는 문제입니다. 낮은 요금과 높은 유지 관리비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에선 유니콘 기업으로 추앙받던 '오포(OFO)'가 2019년에 파산하면서 공유 자전거 비즈니스모델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참조 - 과잉 투자의 저주..중국 오포 '노란색 공유자전거'가 사라졌다) 따릉이의 모델인 프랑스 공유자전거 '벨리브(Vélib)'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2018년, 파리시가 시스템 구축 및 운영사 '제이씨데코(JCDecaux)'와 계약을 해지하자 관리 부실 및 운영 부진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늘어나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파리시는 결국 벨리브 운영 규모를 축소했습니다.
김마야
프리랜서 기고가
2023-01-11
2022년 해외 광고 TOP10과 성공 포인트 5가지
*이 글은 외부필자인 서양수님의 기고입니다. 저는 매해 연말마다 그 해 가장 인상 깊었던 광고 리스트를 아웃스탠딩에 공개해 왔는데요. 이번에도 변함없이 놓치지 말아야 할 해외 광고 10편을 준비했습니다. 단순히 아이디어가 좋은 광고라기보다는 독자 여러분들의 비즈니스와 마케팅에 영감이 될 수 있는 것을 엄선해 봤는데요. 여러 편의 광고들을 모아놓고 보니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 요소들 또한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래서 총 5가지의 성공 요소들을 인사이트로 분류해 봤습니다. 그럼 과연 어떤 광고들이 있는지, 공통적 성공 요소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온/오프라인의 세계관, 어떻게 연결시킬까? 이제 단순히 재미있고 멋진 영상 한편 만들어서 고객에게 다가가기는 쉽지 않은 세상입니다. 웃긴 영상, 슬픈 영상, 감동적인 영상이 넘쳐 나는 세상에 살고 있다 보니 웬만한 자극에는 무뎌진 까닭 아닐까요. 그사이 고객들의 눈높이는 높아만 가고 광고는 스킵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되기 십상이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좀 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필요해 보입니다. "너 아직도 솔로니?" 입을 막고 싶다면 이 기기에 주목 (McCain 사례) 대표적인 사례로 캐나다의 냉동 감자 제조 브랜드 '맥케인'을 소개하고 싶어요. 이제 곧 온 가족이 모이는 설날인데요.
서양수
'유튜브 마케팅 인사이트' 저자
2023-01-11
일본 '기적의 편의점'에서 아이스크림이 많이 팔리는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금동우님의 기고입니다. 여러분은 일본의 최북단에 있는 홋카이도 하면 어떤 키워드가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영화나 드라마에서 본 장면들이나 주위 지인들의 여행 이야기 등으로 눈, 추위, 여행 등을 언급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이런 홋카이도에 '기적의 편의점'이라고 불리는 작은 가게가 있다는 것을 들어보신 분들은 많지 않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바로 2014년 12월에 오픈한 '세이코마트(Seicomart) 쇼산베츠점'이 그곳인데요. 위 사진 속 풍경으로만 보면 여느 한적한 마을에 있는 편의점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은데 어떻게 '기적의 편의점'으로 불리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함께 살펴보고, 2023년 새해를 다시 시작하는 데 있어서 우리들이 어떤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좋을지 잠시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세이코마트는 어떤 곳? 먼저 세이코마트가 어떤 곳인지부터 간략히 알아보죠. 세이코마트는 '주식회사 세코마(Secoma)'가 1971년 8월 창업 후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1호 매장을 개장한 이래 현재까지 홋카이도 1082개 및 관동지역 95개 등 총 1177개 매장을 직영 중심(80% 이상)으로 운영하며 홋카이도 지역 주민 커버율 99.8%를 자랑하는 지역 편의점 브랜드입니다. 세코마는 창업 이래 쭉 유통분야에서 경험을 쌓으며 현재 원료생산·제조, 소매, 물류·서비스 사업까지 산하에 28개사를 두고 수직통합을 이루어낸 그룹사로 지속 성장을 추구하며 홋카이도 대표 브랜드 기업으로 그 가치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특히 세코마가 운영하는 세이코마트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편의점 중 하나로 2010년 홋카이도 내에 1000호 매장을 개장하며 현재 홋카이도 내에서는 가장 많은 편의점 체인으로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 2022년 11월말 기준으로 2만1342곳의 편의점 체인을 보유 중인 일본 최대 편의점 사업자. (세븐일레븐의 홋카이도 매장은 997곳)
금동우
한화생명 동경주재사무소장
2023-01-11
"남들이 먹는다고 따라사지 마세요".. 필라이즈가 영양제 분석 앱을 만든 이유
계묘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나이만큼 늘어가는 것이 한 가지 있는데요. 바로 섭취하는 영양제 개수입니다. 저뿐만 아니라, 주변을 돌아보면 요즘 부쩍 영양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걸 느낄 수 있어요. 저도 3~4종류의 영양제를 챙겨 먹는데요. 영양제를 구매하다 보면 생각보다 영양제의 종류가 무척이나 많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브랜드도 많은 데다가 같은 종류의 영양제라도 성분 함량이 알고 보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보통 아이허브에서 인기 제품을 사거나… 인플루언서, 주변 지인이 먹는 걸 따라 사곤 하죠.ㅎㅎ 또한 영양제를 챙겨드시는 분들은 보통 한 종류만 먹기보다 비타민, 오메가3 등 여러 영양제를 조합해서 섭취하곤 하는데요. 그러다 보면 조합에 따라 어떤 영양소는 과다 섭취해서 부작용이 생기고 어떤 영양소는 결핍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그리고 흡연자가 루테인을 섭취하면 폐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고 고함량의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 또한 주의를 요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데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죠. 결론적으로 그 많은 영양제 중에 어떤 제품이 본인의 신체조건, 현 건강 상태 등에 맞는지, 어떤 영양소 조합이 최적인지 아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일일이 따져 공부하기에는 시간도 많이 들고 전문가가 아닌 이상 정확한 정보를 알기도 어려워요. 필라이즈가 풀고자 한 문제
얼룩소가 글쓴이에게 100만원을 주는 이유
플랫폼 '얼룩소'를 아시나요? 얼룩소는 누구나 글을 쓰고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좋은 글에 합당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말하죠. 이런 얼룩소가 최근 콘텐츠 생산자 공모에 나섰습니다. 선정된 생산자는 1주일에 최소 100만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참조 - 얼룩소가 콘텐츠 생산자를 공모합니다) "그럼 매주 글을 쓰면 한 달에 400만원?!" 이라고 생각하신 분 있으시죠!? (사실 제가 그랬습니다) 원칙적으로는.. 가능합니다! 다만 한 달여 진행된 지금까진 연속 선정은 없었다고 하고요. 이번 프로젝트와 관계없이 꾸준히 보상받아가는 창작자는 늘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콘텐츠 생태계에 관심이 많은 저는 이번 프로젝트를 자연스레 주목하게 됐는데요. 이번 프로젝트에 관해 말씀하시는 분들이 주변에 점차 늘어가더라고요. 관심을 받는 프로젝트인 만큼 이와 관련한 정보들을 정리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프로제트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왜 얼룩소는 이런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것인지, 과연 이번 프로젝트가 반향을 일으킬 수 있을지, 같이 한번 살펴보시죠!
기믹의 시대.. 무비스타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지윤님의 기고입니다. 최근 기억나는 TV 광고가 있으신가요? 전 유튜브 프리미엄과 넷플릭스를 구독하면서 전형적인 TV 광고는 못 보게 된 지 꽤 오래된 듯합니다. 소셜미디어에 떠다니는 각종 SNS 스타일 광고는 '백색소음' 같습니다. 엄청 자주 접하지만 마음을 동요시키진 않은 그냥 공기(!)처럼 존재한달까요? 여러분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요즘 저를 움직이는 광고는 이런 류입니다. 네.. 콘텐츠는 무심코라도 보거든요. 그러다가 견물생심이 생긴 나머지 그날 저녁, 혹은 다음날 점심 식단이 콘텐츠 이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공기처럼 떠다니는 SNS식 광고보다 더 자연스럽게 스미는 광고입니다. 심지어 재미있으면 광고를 찾아보는(!) 정성까지 생깁니다. 그처럼 입소문을 불러일으킨 광고는 '공유와 검색'이란 세례를 받곤 합니다. 작년에 쓴 한 기고에서 이런 미디어 환경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좋아하는 광고'의 시대입니다"
김지윤
스텔러스(Stellers) 창업자
2023-01-05
사장이 직원보다 많은 시대
한 가지 흥미로운 질문을 던져볼까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사장님' 소리를 듣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2021년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802만명, 법인사업자 117만명 합쳐 모두 920만명 가량 됩니다.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가 2840만명 가량 되니까 전체 일하는 사람 3명 중 1명이 사장님인 셈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특히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2001년에는 370만개에 불과했으니 그 숫자가 불과 20년 만에 2.5배 증가했다는 점인데요. 매년 150만개의 등록이 이뤄지고 90만개의 페업이 발생합니다. 이로써 매년 60만개 사업자가 증가하죠. 현재 증가속도를 유지하면 10년 안에 직원보다 사장님이 더 많아질 판국입니다. 물론 920만명 사업자 중 겹치는 케이스가 분명 있을 것입니다. 1명이 다수의 사업등록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공동창업과 초기투자가 활성화되면서 대표가 아니지만 유의미한 지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늘고 있고 미등록-미신고된 상태 혹은 실업 상태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사람 등 사업자로 잡히지 않지만 사업자로 봐야 하는 케이스를 고려하면 상쇄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사장님이 빠르게 늘어나는 트렌드는 막을 수 없다고 보는데요. 이것은 기존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뒤바꿀 만한 사건입니다. 지금의 노사관계는 300년 전 산업혁명기에 정립됐습니다. 이때 열악한 노동환경과 보수, 빈부격차 등 온갖 문제점이 발생했는데요. 칼 마르크스는 저서 '공산당선언'을 통해 경제활동인구를 두 가지로 구분했습니다.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는 소수의 자본가와 생산수단 밑에서 노동을 해야 하는 다수의 노동자.
웹 3.0시대의 마케팅은 타깃을 '모아야' 합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용태님의 기고입니다. 군중(public)은 거대한 군집(cluster)의 합입니다. 여기서 '거대한'은 '군집'이 아니라 '군집의 합'을 설명하는 수식어입니다. 그러니까 군중이란 군집과 군집이 얼기설기 모인 형태입니다. 시장을 이해한다는 건 사막에서 모래알 세기만큼 막막한 일인데요. 타깃을 '불특정 집합'이 아닌 '특정 커뮤니티'로 이해하면, 훨씬 쉬워집니다. 마케팅을 바라보는 관점도 그렇게 변화했습니다. 과거에는 '절대다수 노출'을 목표로 규모에 집중했지만, 소셜 미디어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확한 타깃 설정 및 도달'을 척도로 삼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웹 3.0이라는 전환기에 들어서면서 '타깃 찾아가기'가 아닌 '타깃 모으기'가 해답이 되었고요. 이번 글에서는 마케팅, 그중에서도 광고 시장에서의 커뮤니티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여기에 '크리에이터'를 곁들여서 말이죠. 미디어 변화와 함께 찾아온 광고 변혁 이야기에 앞서 한 가지를 짚고 넘어가야겠습니다. '광고'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김용태
더에스엠씨그룹 대표
2023-01-04
“가상자산에도 공시와 평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쟁글 인터뷰
"최근 출시한 라이브워치는 가상자산 유통량을 감시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제 코인 유통량의 추이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앞으로 유통량 계획은 무엇인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계획 유통량을 넘어설 경우 '유의'를 주고요. 블록체인 재단에서 3일 내로 설명하지 않으면 거래소나 투자자에게 전하는 시스템입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위믹스인데요. 이는 최근 위믹스 유통량 문제가 있기 전부터 논의돼 온 사항입니다" "라이브워치는 두 기업에게 좋은 기회가 될 거라 생각하는데요" "모든 프로젝트가 라이브워치로 유통량에 대해 조금 더 인식하고 잘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이현우 크로스앵글 공동대표) 크로스앵글은 가상자산 정보 공시 플랫폼 쟁글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2018년 가상자산공개(ICO)가 유행처럼 번졌지만 일반 투자자들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상장사에 투자하고 싶은 사람들은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 알아볼 수 있는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죠. 일각에선 정부가 나서주길 바랐지만 코인 투자는 불법으로 치부돼 규제의 공백이 있었습니다. 또, 코인이 세계적으로 거래되는 만큼 우리나라만의 자산이라고 보기도 힘들었죠. 이에 크로스앵글은 가상자산 정보 공시로 사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쟁글은 사기업인데 공시 플랫폼을 운영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우 대표님. 정말 TMI이긴 한데 제 동생하고 이름이 같네요. 그래서 더 반갑습니다"
고등학교 자퇴, 24살 늦깎이 대학생, 창업.. 비즈니스캔버스 대표가 말하는 '방황'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방황을 합니다. 누구는 조금 일찍, 누구는 조금 늦게 방황합니다. 어떤 방황은 소나기처럼 잠깐 찾아왔다 이내 사라지지만 어떤 방황은 오랜 기간 이어지기도 합니다. 오늘은 오랜 방황과 시행착오를 겪은 한 스타트업 대표의 이야기를 들려드리고자 합니다. 한때는 공부를 곧잘 하던 모범생이었지만 뒤늦게 온 사춘기로 고등학교를 자퇴한 사람. 22살 영화감독이 되겠다며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지만, 이후로도 한동안 갈피를 잡지 못했던 사람. 24살 늦깎이 대학생으로 마침내 경영대학에 입학해 보란듯이 4년 반 만에 런던정경대학(LSE) 석사과정과 예일대 MBA 교환 과정까지 이수한 사람. 유수의 컨설팅 회사를 거쳐 지금은 문서 협업툴 '타입드'로 글로벌 SaaS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 바로 어제 50억원 규모의 시리즈A2 투자 유치 소식을 전해온 비즈니스캔버스(타입드)의 김우진 대표의 이야기입니다. (참조 - 비즈니스캔버스, '혹한기'에 50억원 투자 유치…경쟁력은?) 모범생이던 그가 고등학교 자퇴를 선택한 이유 "대표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서 협업툴 '타입드'를 만들고 있는 비즈니스캔버스의 김우진 대표입니다" "대표님이 하신 기존 인터뷰들을 찾아봤습니다" "고등학교를 자퇴한 이력이 있던데요" "쉽지 않은 결정을 하게 된 사연이 궁금합니다"
머스크의 유료화 소동.. 트위터는 무엇을 파는 기업인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호섭님의 기고입니다. '140자의 예술'로 꼽히던 트위터는 피처폰의 막바지, 그리고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전 세계 사람들을 관심사로 묶어낸 소셜 미디어로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미디어를 다룰 수 있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틱톡 같은 플랫폼에 그 영광을 물려주고 대세보다는 마니아들이 모이는 환경이 됐지요. 그런데 요즘 트위터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우습게도 트위터의 새로운 서비스나 트렌드의 변화가 아니라 경영이 그 이슈의 중심에 있습니다. 바로 트위터의 새 주인이 된 일론 머스크 CEO 때문입니다. 트위터의 유료화, 번복, 그리고 다시 유료화 최근 트위터의 흥미로운 정책 중 하나는 '트위터 블루'입니다. 트위터 블루는 트위터가 2021년 이용자들에게 꺼내 놓은 첫 유료 구독 서비스입니다. (참조 - Introducing Twitter Blue - Twitter's first-ever subscription offering) 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피드 사이에 광고가 줄어들고, 글에 첨부하는 동영상의 화질을 높이는 등 조금 더 나은 경험을 주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트위터는 짧은 텍스트 중심의 플랫폼이기 때문에 이 서비스를 7.99달러나 주고 써야 하는 정책을 반기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사실상 유료화에 실패한 것이죠. 그런데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의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는 이유로 다시 이 트위터 블루를 꺼내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이용자들이 매달 돈을 내려면 그만큼 매력적이거나 피할 수 없는 무엇인가가 있어야겠지요. 그래서 이번에 다시 돌아온 트위터 블루에는 인증 서비스가 따라붙었습니다. 트위터를 비롯해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는 대부분 본인 인증 로고가 붙습니다. 이름 옆에 작은 표식이 붙는 건데, 이를 통해서 그 계정이 본인의 것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최호섭
IT 칼럼니스트
2023-01-02
데이팅 앱 매출 1위 '위피'를 만든 엔라이즈가 홈트 앱을 운영하는 이유
데이팅 앱 사용해보신 적 있나요? 크리스마스 전후로 나도 데이팅 앱 한번 써볼까, 생각 드신 분도 많으실 것 같은데요. 데이팅 앱에서 마음에 드는 사람끼리 매칭 확률을 높이는 데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아세요? (당연히 사용자의 외모 아니겠어?) 물론 외모도 있는데요. 높은 매칭율과 깊은 상관 관계가 있는 요소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첫 번째는 잘생길수록, 예쁠수록 유리한 사진 퀄리티! 두 번째는 의외로(?) 프로필의 진정성이에요. 나머지는 세 번째는 무엇일까요? 궁금하시면 기사를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ㅎㅎ 저는 무슨 근거로 이런 이야기를 하냐고요? 데이팅 앱 '위피'를 운영하는 엔라이즈의 김봉기 대표에게 직접 답변 들은 내용입니다. '위피'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인앱 결제 기준, 소셜 카테고리 3년 연속 매출 1위인 데이팅 앱이에요. 엔라이즈는 위피뿐만 아니라, 2020년, 구독형 비대면 홈트레이닝 서비스 '콰트'를 출시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데이팅 앱과는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홈트레이닝 서비스를 출시하고 동시에 운영 중인 것도 흥미로웠는데요. 더 흥미로운 점은 나중에 출시한 콰트의 매출이 위피의 매출을 뛰어넘었다는 겁니다.
망할 것 같았던 오프라인 유통의 반격은 어떻게 가능했나?
*이 글은 외부필자인 박천욱님의 기고입니다. 오프라인 유통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대표적인 업종이었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백화점 체인인 로드앤드테일러가 법원에 파산신청을 낸 것을 포함해 니먼 마커스와 JC 페니, 독일의 갈레리아, 영국 데버넘스 등 세계 유수의 백화점이 줄줄이 파산 신청을 냈었고 실제로 파산으로 이어지기도 했죠.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이 외부 활동을 중단하게 되면서 백화점의 경영 환경이 위기를 맞이하게 된 것은 일견 예견된 일이었을 것입니다. 백화점에 방문하는 소비자의 트래픽이 줄어드니 판매가 줄어들게 되었고 보유한 재고가 폭증하게 되었고 백화점의 현금 흐름에 일차적으로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 문제는 백화점이라는 공간이 차지하고 있는 막대한 고정비용과 매달 지출해야 하는 기타 비용의 부담으로 연결되면서,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백화점의 위기로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 여기에 더해 온라인 상거래의 발달로 인해 사양산업이 됐던 오프라인 유통업계가 코로나로 인해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그럼 앞으로도 오프라인 매장은 영영 사라지고 모든 상거래가 온라인으로만 이루어지게 될까요? 아니면 오프라인 매장은 새로운 변화를 통해 다른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을까요? 유통업계의 판도는 어떻게 흘러가게 되었는지 한번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 유통의 성장세와 오프라인 유통의 쇠퇴 먼저 유통 업계의 최근 트렌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모든 경제활동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우리의 소비 활동은 더욱 왕성해졌고 새로운 형태의 쇼핑 트렌드가 눈에 띄게 두드려졌습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온라인 쇼핑몰의 무서운 성장세였습니다.
박천욱
2022-12-30
2022년 미술시장, 숫자는 화려했지만 마냥 좋아할 순 없습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허유림님의 기고입니다. 미술시장 관계자들은 2022년이 갈 곳 없는 자본의 유입과 팬데믹 완화라는 호재를 발판 삼아 더욱 몸집을 키운 한 해였다고 기억할 듯합니다. '숫자로 말한다'라는 시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끝까지 화려했다고 요약할 수 있겠네요. 지난 11월, 뉴욕 크리스티가 주관한 '폴 앨런 컬렉션 경매'만 봐도 잘 드러납니다. 빌 게이츠와 마이크로소프트(MS)를 공동창업한 폴 앨런(1952-2018)의 소장품이 경매 첫날에 2조6000억원(15억달러) 어치가 팔렸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첫날 판매된 작품은 전체 컬렉션 150여점 중 60점입니다. 그중 낙찰가가 1억달러(1381억원)를 넘긴 작품도 5점이나 됩니다. 프랑스 점묘파 화가 조르주 쇠라의 1888년 작 '모델들, 군상'이 가장 높은 가격인 2000억원(1억4920만달러)에 낙찰됐고요. 폴 세잔의 대표작 '생트 빅투아르산'는 1900억원(1억3780만달러)에 낙찰, 작가의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의 '사이프러스가 있는 과수원'도 고흐 작품 중 역대 최고가를 갱신한 1600억원(1억1720만달러)에 낙찰됐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전 세계가 경기 침체에 대비하고 있다는 소식에도 미술시장 최상위 포식자들은 여전히 마스터 피스에 열광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하지만 중저가 작품으로 내려가면, 대부분 추정가에 미치지 못한 가격에 낙찰됐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치솟았던 블루칩 아티스트들의 작품 역시 조정 국면에 들어선 모습입니다.
허유림
2022-12-29
틴더보다 인기 있는 소모임에 2030이 열광하는 이유
오늘은 가벼운 퀴즈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채팅 및 모임' 카테고리에서 2030에게 가장 인기 있는 앱은 무엇일까요? 어떤 앱이 독자분들의 뇌리를 스쳤을지 궁금한데요. 아마도 네이버카페나 네이버밴드 같은 거대 IT기업의 서비스가 아닌 이상, 데이팅 앱이 먼저 떠오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실제로 틴더나 위피, 글램 같은 유수의 데이팅 앱은 여전히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카테고리에서 2030으로부터 데이팅 앱보다 더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소모임'이라는 앱입니다. (참조 - 엔데믹에 2030 선택 '오프라인 모임 앱' 몰렸다) 후술하겠지만 앞서 언급한 데이팅 앱들과 비교해도 활성 사용자 수가 월등하게 많고요. 주변에서도 소모임을 사용하는 2030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과연 이 소모임이라는 서비스는 얼마나 인기가 있으며 그러한 인기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DAU는 틴더의 2배.. 다양한 취향이 모이는 곳 소모임 앱이 뭐 하는 앱인지는 정직한(?) 이름에서 드러납니다. 쉽게 말해 온라인에서 저마다의 취향에 따라 삼삼오오 모인 이들이 오프라인에서 소모임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입니다. 이른바 '동호회' '정모' 등으로 불리는 모임이 만들어지고 또 운영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지역별, 취미별로 모임을 만들거나 가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7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