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가 도시를 통째로 만들려는 이유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금동우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3월 24일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자동차와 통신기업 NTT가 업무자본제휴를 발표했습니다.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발 및 실현을 위한 것으로 2000억엔(약 2.3조원) 상당의 주식을 상호 취득하고 스마트시티 비즈니스 파트너가 되는 그림인데요. 이미 토요타자동차가 스마트시티 구축을 발표한 시즈오카현 스소노시 히가시후지 지역 ‘Woven City’와 NTT의 개발 지역인 동경도 미나토구 시나가와 일대의 ‘스마트시티 플랫폼’ 실용화를 1차 목표로 하고 있죠. 토요타자동차의 동일본공장이 있는 곳과 NTT그룹이 자사 기술로 혁신 거리를 조성 중인 곳을 선정한 것이죠. 한마디로 미래 사회를 꿈꾸며 다양한 실험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두 지역을 기반으로 양사가 힘을 모아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힌 것입니다. 이들이 지향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이란, 길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정보 관리나 도시만들기에 필요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하는데요. 여기에는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인프라나 개인용 통신 디바이스 등을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도 당연히 포함됩니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거주 환경을 꿈꾸고 있기에 폭넓은 생활 모습을 상정하고 설계될 수밖에 없고, SW와 HW가 모두 포함된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라 자본 제휴까지 합의하게 된 것입니다. 일단 토요타자동차와 NTT그룹이 손을 맞잡았다는 점에서 이슈가 크게 되었지만, 특정 지역 기반의 기술 인프라 비즈니스인 스마트시티에 양사가 미래를 걸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자동자 제조사인 토요타자동차가 스마트시티를 어떤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