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너무 많이 해서 문제" 카이스트 총장이 된 '큰 괴짜' 이야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홍선표님의 기고입니다.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가 한국의 기초과학 연구와 공학기술 개발을 대표하는 기관이라는 데 이견이 있으신 분들은 거의 없으실 텐데요. 조직의 설립 목적 자체가 그렇습니다. 카이스트는 1971년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발전’이라는 목표에 따라 국내 최초의 이공계 특수대학원으로 설립됐습니다. 미국 국제개발처가 제공한 차관, 즉 외국에서 빌려온 돈을 투자해 설립한 학교였는데요. 당시 미국 국제개발처의 타당성 조사단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했던 프레드릭 터만 박사는 카이스트의 30년 뒤의 모습에 대해서 ‘국제적인 명망을 가진 이공계 교육 기관으로 성장해 학계의 본보기가 되는 학교’, ‘한국인의 생활 수준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는 학교’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습니다.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터만 박사의 예견은 이미 현실이 됐죠. 총장이 된 괴짜 교수 그리고 2021년 3월, 앞으로 4년간 카이스트를 이끌 새로운 선장으로 이광형 총장이 취임했는데요. 이광형 총장은 취임식 자리에서부터 파격적인 발언으로 과학기술계와 교육계를 놀라게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 카이스트의 문제점은 학생들이 공부를 너무 많이 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의 전공 공부 시간을 10% 줄이고 그 시간에 인성과 리더십을 교육하겠습니다” “성적 우수상 외에 질문왕, 도전왕, 독서왕, 봉사왕을 총장상으로 제정하겠습니다” “연구실 하나가 벤처 하나를 만든다는 생각으로 부작용이 생길 정도로 창업을 지원하겠습니다” “성공 가능성이 80%가 넘는 연구 과제에는 연구비를 지원하지 않겠습니다” 그가 취임식과 언론 인터뷰를 통해서 했던 말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