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제품이 코로나 백신' 모더나 이야기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선우님의 기고입니다. 2007년이었습니다. 일본 과학자 야마나카 신야(山中 伸弥)가 줄기세포 분야 연구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룹니다. 체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주입해 인체 모든 장기로 분화가 가능하게 만들어진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었죠.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재생의학이나 난치병 치료에도 새로운 길이 열릴 수 있죠. 그는 이 연구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없는 건 아니었어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과정에서 DNA 변이가 일어날 수도 있었거든요.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암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야마나카 교수의 연구를 주의 깊게 지켜보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같은 분야인 줄기세포를 연구하던 데릭 로시(Derrick Rossi) 하버드대 교수였어요. 그는 줄기세포 대신 당시로서는 새로운 분야였던 메신저 RNA(mRNA)를 사용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를 창업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DNA에는 손을 대지 않고 대신 mRNA를 이용하면 DNA 변이를 피할 수 있을 테니까요. (이 아이디어가 로시 교수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아닙니다. 관련 연구는 이전부터 계속돼 왔어요. 진전이 더딜 뿐이었죠.) DNA가 우리의 유전 정보를 담은 ‘매뉴얼’이라면 RNA는 그 매뉴얼에 따라 일을 하는 ‘현장 작업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mRNA는 메신저라는 이름에 걸맞게 DNA의 유전 정보를 해독하고 세포에 전달해 단백질 합성을 돕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은 인간의 생명현상을 조절하죠. 그래서 mRNA는 ‘생명체의 소프트웨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 몸 안의 단백질이 망가지거나 결핍됐을 때 세포에 정상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를 주입하면 단백질이 제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