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신청한 왓챠..창업자와 투자사의 입장을 들어봤습니다
국내 1세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왓챠가 기업회생 절차를 앞두고 있습니다. (참조 -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이번 기업회생은 왓챠가 아닌 CB 투자사 인라이트벤처스에서 신청해 더욱 이슈가 됐는데요. *CB 투자는 전환사채(Convertible Bond)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CB를 발행하는 회사는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해야 하고, 투자자는 전환권을 행사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됩니다. 왓챠는 2021년 490억원 규모의 CB를 발행했고 당시 인라이트벤처스(200억원), 두나무(100억원)가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으며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카카오벤처스, LSS프라이빗에쿼티 등의 기존 주주도 참여했습니다. 특이한 케이스기도 하고 또 왓챠는 그동안 아웃스탠딩에서 여러 번 다뤘기에 더욱 눈길이 가는 곳이라 취재를 시작했습니다. 우선 기업회생 신청은 기업의 자기자본 10% 이상에 해당하는 채권을 보유한 채권자라면 기업과 협의 없이도 신청이 가능한데요. 2024년 기준 왓챠의 자본은 -875억원이기 때문에 인라이트벤처스가 단독으로 신청이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기업회생을 신청한 인라이트벤처스와 왓챠 양측의 입장을 모두 들어보았습니다. 김용민 인라이트벤처스 대표 파트너는 아웃스탠딩과의 취재에서 '왓챠의 악화되고 있는 재무를 개선하고 정상화를 위해 신청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채권투자를 한 회사의 재무상태가 악화되고 있다면 감자를 통해 채권을 조정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왓챠에 투자를 진행한 후 기업가치가 하락하고 재무상태가 악화하는 것을 보면서 먼저 감자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 "왓챠 측에서 만기일 연장을 요청한 것은 사실입니다. 만기일 연장을 요구할 때 그에 따른 자구책도 필요한데 왓챠에 이 상황을 타개할 자구책이 없다고 판단했고 더는 만기일을 미룰 수 없었습니다" 박태훈 왓챠 대표는 투자사들과 올해까지도 전환사채 만기일 연장에 대해 많은 논의를 해왔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회생보다도 작년 말부터 그리고 올해까지 투자사들과 연장 만기일에 대한 논의를 더 많이 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