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혹한기, 스타트업 생존의 세 가지 법칙
*이 글은 외부 필자인 박마가님의 기고입니다. 투자 혹한기입니다. 지난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발표에 따르면 지난 7월 국내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전체 투자 금액은 8368억원이었습니다. (참조 - 2022년 7월 스타트업 투자 동향 리포트) 이는 지난해 7월의 3조 659억원에 비해 약 73% 감소한 수치인데요. 직전 달인 6월(1조 3999억원)에 비해서도 약 39% 줄었습니다. 상반기 스타트업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벤처캐피탈(이하, VC)의 올해 상반기 스타트업 투자 금액은 약 7조 873억원, 투자 건수는 977건으로 전년 하반기 대비 약 2100억원 정도 줄었습니다. (참조 - 2022년 상반기 스타트업 투자 동향 리포트) (참조 - VC 투자액 첫 감소…스타트업 '투자 한파') 국내 스타트업의 반기 투자 금액이 하락세를 기록한 것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다만 감소폭이 체감하는 것만큼 크지는 않아서 VC 입장에서는 옥석 가리기를 통해서 유망한 스타트업을 이전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투자하는 트렌드가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어려운 상황인 것은 분명합니다. 예년만큼의 기업 가치(밸류에이션)를 인정받을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투자 금액을 조달하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주식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성장이 아닌 생존을 위해 투자가 필요한 스타트업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