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5, 아이폰 15 프로.. 무엇이 나에게 맞을까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호섭님의 기고입니다. 아이폰 15가 국내에도 출시됩니다. 매년 가을이면 으레 나온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매년 프로세서부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소재 등 변화를 꾸준히 이어가는 기술적인 변화를 살펴보는 재미도 있습니다. 특히 아이폰 15 시리즈는 USB-C 커넥터로 당장 피부에 와닿는 변화부터, 소재와 새 프로세서에 대한 기대까지 겹쳐 있습니다. 짧지만 며칠 동안 아이폰 15와 아이폰 15 프로 맥스를 써 본 느낌을 토대로 두 제품에 대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디자인 전체적인 디자인에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가 있습니다.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데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작은 라운드 처리를 했습니다. 딱 눈에 들어오지는 않지만 촉감으로는 큰 변화가 있습니다. 또한 뒷면이 일반 아이폰 15와 아이폰 15 프로 모두 무광에 매트한 질감이 있어서 손에 쥐는 느낌이 좋습니다. 아이폰 X 이후로 세 번째 디자인인 셈인데, 전면 디스플레이라는 너무 뻔한 디자인 안에서 옆면을 완전한 곡선과 직선으로 바꿔 왔고, 이번에는 직선 위주에 작은 곡면을 넣으면서 조금은 더 가다듬어지고 단단한 느낌을 줍니다. 특히 아이폰 15 프로는 티타늄의 질감과 잘 어울립니다. 디자인적으로는 화면의 틀을 바꾸지 않는 이상 더 이상 뭘 할 게 더 있을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작지만 꽤 의미 있는 변화라고 봅니다. 다만 이 디자인의 변화는 케이스를 씌우는 순간 사라지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이긴 합니다. 아이폰 15 프로의 티타늄에 대한 기대가 컸는데 첫인상은 오히려 일반 아이폰 15가 더 강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