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냉정과 열정 사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철용님의 기고입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나온 지 얼마 안 된 사회 초년생 시절이었습니다. 당시 근무했던 한 중소기업에서 죽이 잘 맞는 동료 두 명이랑 점심을 먹다가 번뜩 아이디어가 하나 떠올랐습니다. "곧 있으면 칠월칠석인데, 우리 연인들한테 떡 좀 팔아볼까?" 요지는 이거였어요. '밸런타인데이니, 화이트데이니 그러면서 연인들 사이에 초콜릿과 사탕을 돌리는데 이는 너무 상업화된 서구 문화다. 우리나라엔 이미 1천 년 전부터 연인의 애타는 감정을 기리는 '칠월칠석'이라는 특별한 연인 데이가 존재하는 데 이를 활용하자" "초콜릿이나 케이크 말고 전통적인 떡 콘셉트로 하면 힙하고 재미있어서 연인들 사이에 줄 서서 선물해 줄 거다" 이 아이디어에 동료 2명 모두 '재미있을 거 같다'라고 흔쾌히 동의를 해 준 덕분에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죠. 일인당 30만 원씩, 총 90만 원을 모은 후 견우떡, 직녀떡, 오작교떡(무지개떡)을 만들어서 칠월칠석날 연인들이 가장 많을 법한 대학로로 향했습니다. 결과는? 처참했죠. 우리 노점 가판대 옆의 노숙자 한 분이 배고프다고 하나 사 먹은 게 유일한 매출이었습니다. 대학가 연인들은 낄낄대면서 재미있다고 그럴 뿐 구입하지도 선물하지도 않았어요. 자정을 넘기고 동료 중 한 명이 해결책으로 견우이고, 직녀이고, 오작교이이고 다 필요 없고 이 시간 배고픈 사람들한테 떡을 팔자고 그래서 동대문 도매시장으로 장소를 옮겨서 새벽까지 뛰어다닌 덕분에 결국 그 많던 떡들을 거진 다 팔아내긴 했죠. 그러고도 남은 떡은 다음날 회사 부장님께 지인에게 선물하시라고 강매하다시피 떠넘겼어요. 그렇게 우리들의 첫 사업은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